• 제목/요약/키워드: 03D10

검색결과 1,065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trait in broilers

  • Hu, Y.D.;Lan, D.;Zhu, Y.;Pang, H.Z.;Mu, X.P.;Hu, X.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275-1284
    • /
    • 2018
  • Objective: A 28-d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s with different energy and lipase levels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gut health, and carcass quality in broilers. Methods: A total of 720 one-day-old male Ross 308 broilers ($45.4{\pm}0.5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our treatments: i) RET, reduced energy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2,950 and 3,1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 BDT, basal diet treatment (metabolizable energy = 3,050 and 3,200 kcal/kg for starter and finisher diet, iii) RET015, RET+0.15 g/kg lipase, and iv) RET03, RET+0.3 g/kg lipase. There were 10 replications (cages) per treatment with 18 birds per cage. Results: During d 1 to 14, broilers fed BDT, RET015, and RET03 diets had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than those fed RET diet. During d 1 to 14, 15 to 28 and the overall experiment, feed conversion ratio in RET03 treatment was lower (p<0.05) compared with RET treatment. On d 14,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ether extract (EE), and gross energy in RET03 treatment was higher (p<0.05) than those in RET treatment, while the ATTD of N was increased (p<0.05) by RET03 treatment. On d 28,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p<0.05) ATTD of DM than those fed RET and RET015 diets, while the ATTD of E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RET and RET015 treatments. Broilers fed RET03 diet had higher villus height (VH) and VH:crypt depth (CD) ratio than those fed RET and BDT diets.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in BDT and RET03 treatments was higher (p<0.05) than that in RET treatment. Conclusion: Taken together, lipase supplementation (3,000 U/kg feed)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VH, VH:CD ratio and lipase activity, but decreased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he abdominal fat percentage in broilers fed reduced energy diet.

Hairless mice에서의 대두 홍삼 혼합 분말(APB-03)의 경구 반복 투여 시 피부 주름 생성 예방 효과 (Prevention of Photoaging and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ice Dorsal Skin by APB-03)

  • 이지해;이병석;양미숙;변범선;김완기;김배환;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89-996
    • /
    • 2005
  • 본 실험은 대두 추출물과 홍삼 농축액 분말 혼합물인 APB-03(AmorePacific Beauty-03)의 경구반복투여에 대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hairless mouse에서 경구 반복투여 및 UV 반복조사를 통한 효능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상군(Control group)과 UV 대조군(UV control group), UV/APB-03 저용량군(UV/APB-03(XI) group), UV/APB-03 중간용량군(UV/APB-03(X5) group)과 UV/APB-03 고용량군(UV/APB-03(X10) group)을 두고, 경구로 주 5회 반복 투여하며, 광노화를 유발하기 위하여 주 3회 UV를 조사가 병행되었다. 시험 기간 중 임상증상, 체중변화 및 사료 음수 섭취량 등을 관찰하고, 2회의 피부주형을 채취하여 영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시험 전 기간을 통해 사망한 동물은 없었으며, 본 시험물질에 의한 것이라고 인정되는 임상증상, 행동이상 및 체중변화 등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부검시에도 본 시험물질의 투여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는 어떠한 육안적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다. UV 조사 기간 중, 육안으로 관찰 시 정상군에 비해 UV 대조군의 피부주름 증가가 뚜렷하였으며, APB-03을 투여한 군은 UV 대조군에 비해 주름 증가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정상군과 비슷할 정도로 피부주름 상태가 양호하였다. 8주 및 12주에 제작된 replica를 image analyzer 분석평가를 실시한 결과, APB-03을 경구 반복 투여한 실험군은 UV 대조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주름이 감소하였으며, 실험 12주의 UV/APB-03 고용량군의 피부주름은 UV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H&E(Hematoxylin & Eosin) stain을 실시한 결과, UV 조사에 의한 표피 및 진피, 피하지방층에서의 손상에 대해 APB-03의 치유능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컷 hairless mouse에서 APR-03의 경구 반복 투여 시 UV 조사로 유도된 광노화의 억제 및 피부주름예방효과가 확인되었다.

New Species of the Genus Metschnikowia Isolated from Flowers in Indonesia, Metschnikowia cibodasensis sp. nov.

  • Sjamsuridzal, Wellyzar;Oetari, Ariyanti;Nakashima, Chiharu;Kanti, Atit;Saraswati, Rasti;Widyastuti, Yantyati;Ando, Katsuhik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7호
    • /
    • pp.905-912
    • /
    • 2013
  • A novel species, Metschnikowia cibodasensis, is proposed to accommodate eight strains (ID03-$0093^T$, ID03-0094, ID03-0095, ID03-0096, ID03-0097, ID03-0098, ID03-0099, and ID03-0109) isolated from flowers of Saurauia pendula, Berberis nepalensis, and Brunfelsia americana in Cibodas Botanical Garden, West Java, Indonesia. The type strain of M. cibodasensis is ID03-$0093^T$ (= NBRC $101693^T$ =UICC $Y-335^T$ = BTCC-$Y25^T$). The common features of M. cibodasensis are a spherical to ellipsoidopedunculate shaped ascus, which contains one or two needle-shaped ascospores, and lyse at maturity. Asci generally develop directly from vegetative cells but sometimes from chlamydospores. The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the D1/D2 domain of nuclear large subunit (nLSU) ribosomal DNA sequences strongly supports that M. cibodasensis (eight strains) and its closest teleomorphic species, M. reukaufii, are different species by a 100% bootstrap value. The type strain of M. cibodasensis, ID03-$0093^T$, differed from M. reukaufii NBRC $1679^T$ by six nt (five substitutions and one deletion) in their D1/D2 region of nLSU rDNA, and by 18 nt (five deletions, four insertions, and nine substitutions) in thei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of rDNA, respectively. Four strains representative of M. cibodasensis (ID03-$0093^T$, ID03-0095, ID03-0096, and ID03-0099) showed a mol% G+C content of $44.05{\pm}0.25%$, whereas that of M. reukaufii NBRC $1679^T$ was 41.3%. The low value of DNA-DNA homology (5-16%) in four strains of M. cibodasensis and M. reukaufii NBRC $1679^T$ strongly supported that these strains represent a distinct species.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 방법에 관한 신뢰도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Back Vertex Power for Soft Contact Lenses Using an Auto-Lensmeter)

  • 김건규;이욱진;이선행;곽호원;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6
    • /
    • 2010
  • 목적: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에서 dry blotting과 wet cell 방법에 따른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정에 사용한 소프트렌즈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렌즈 5종류, 4개의 굴절력(-1.50D, -3.00D, -6.00D, -9.00D)을 이용하였고, 두 검사자가 자동렌즈미터로 측정하여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Dry blotting방법으로 측정한 굴절력의 평균 차이는 0.03~0.18D였으며,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0.10~0.18D,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0.03~0.08D로 나타났다. 두 검사 간의 평균 차이는 0.10D이하로 측정자 간의 재현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Wet cell방법으로 측정한 굴절력의 평균 차이는 0.09~0.69D였으며, 두 검사자 간에 평균 차이는 0.02~0.59D로 나타났으며, 소재에 따른 측정의 신뢰도와 검사자 간의 재현성은 낮았다. 결론: 모든 재질에 대해 dry blotting 방법이 wet cell방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두 방법 모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서는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하여 신속히 후면 정점굴절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실무 현장에서 dry blotting방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나노에멀젼 연구 (A Study on Nano-emuls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 채교영;권순식;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1, 0.03, 0.05, 0.10%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5주 동안 이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입도분포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은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5주 동안 실험에서,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였다.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을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il-in-water (O/W) 에멀젼과 비교할 때 나노에멀젼이 피부 흡수가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O/W 에멀젼보다 안정성과 피부 투과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2차원 격자 오차 데이터 기반의 선형 보정 함수들을 이용한 적외선 레인지 파인더 PBS-03JN의 보정 (alibration of Infra-red Range Finder PBS-03JN Using Piecewise Linear Function Based on 2-D Grid Error)

  • 김진백;김병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922-931
    • /
    • 2011
  • An efficient calibration algorithm for mobile robot localization using infrared range finder is proposed. A calibration is important to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other algorithms which use sensor data because it is pre-process. We experimentally found that the infrared range finder PBS-03JN has erro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both distance and scan angle. After obtaining 2-D grid error characteristic data on distance and scan angle, we proposed a simple and efficient calibration algorithm with a 2-D piecewise linear function set.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calibration algorithm is verified by experiments and simulation.

다층 및 다중구획 하이드로젤 제조 및 4D 마스크팩 적용을 위한 자가접힘 특성 분석 (Self-folding of Multi-layered and Compartmented Hydrogel Designed for 4D Mask Pack)

  • 임준우;정나슬;신성규;권혜진;정재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9-405
    • /
    • 2018
  • 다층 및 다중구획 하이드로젤을 설계하여 4D 마스크팩 적용을 위한 자가접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온도민감성 분자를 하이드로젤에 도입하여 팽창비가 다른 두 층으로 구성된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팽창비 차이를 조절하여 자가접힘 정도가 다른 삼중구획 하이드로젤을 설계하였다. 상온에서 각각 0.03, 0, $0.03mm^{-1}$의 곡률을 갖는 구획화된 하이드로젤은 피부 온도에서 1.33, 0, $1.33mm^{-1}$의 곡률로 변화하여, 안면 밀착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층 및 다중구획 하이드로젤 제조 기술은 안면의 부위별 굴곡모양에 따라 자가변환이 가능한 맞춤형 4D 마스크팩 구현에 활용될 수 있다.

Plasma와 MPUV를 이용한 평형수관리장치의 배출수에 대한 해양생태독성 및 해양환경위해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rine Eco-toxicity and Environmental Risk of Treated Discharge Water from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Plasma and MPUV)

  • 손명백;손민호;이지현;이성욱;이재도;문창호;김영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1-291
    • /
    • 2012
  • MPUV와 Plasma를 사용하여 선박의 평형수를 처리하는 ARA Plasma BWTS가 개발되었으며, 이로부터 방류되는 배출수가 해양생태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Skeletonema costatum, Tigriopus japonicus 및 Paralichthys olivaceus를 이용하여 배출수독성시험과 생성된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34 psu 배출수는 P. olivaceus에 대하여 미약한 만성 독성영향을 보였다($7d-LC_{50}{\Rightarrow}100.00%$ 배출수, $7d-LC_{25}{\Rightarrow}85.15%$ 배출수). 34 psu 배출수에서 Bromobenzene, chlorobenzene과 4-chlorotoluene이 해수의 배경농도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MAMPEC을 이용한 Bromobenzene, chlorobenzene과 4-chlorotoluene의 PEC 산출결과는 각각 3.34E-03, 2.10E-03 및 1.73E-03 ${\mu}g\;L^{-1}$이었고, PNEC는 1.6, 0.5 및 1.9 ${\mu}g\;L^{-1}$였다. 세 화학물질의 PEC/PNEC 비율은 1을 초과하지 않았고, PBT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WET test 결과와 환경위해성평가결과는 ARA Plasma BWTS에 의하여 처리된 해수가 해양생태계에 수용 불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였다.

십자 슬롯을 이용한 광대역 원형편파 적층 개구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Wide Bandwidth Circularly Polarized Aperture Coupled Microstrip Antenna using Cross-slot)

  • 양태식;이범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48-754
    • /
    • 2000
  • 단일 급전구조를 갖는 새로운 구조의 십자슬롯 결합 광대역 원형판의 적층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설계된 단일 방사소자의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34.5%(9.45~13.54GHz), 3dB 축비 대역폭은 18.7%(11.17~13.39GHz), 6dB 이득 대역폭은 29% (10.21~13.64GHz)로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순차적 회전 배열방식을 이용하여 설게한 2$\times$2배열 안테나의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35.9%(9.69~13.94GHz), 3dB 축비 대역폭은 34.6GHz (9.93~14.03GHz), 12dB 이득 대역폭은 27.4%(10.35~13.6GHz)로 더욱 개선된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확장된 8$\times$8 배열 안테나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10dB 반사손실 대역폭은 27.3%(10.17~13.41GHz), 3dB 축비 대역폭은 27.9%(10.1~13.4GHz)로 나타났고, 방사패턴은 이론에 의한 것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 안테나는 Ku 대역에서 광대역 응용이 필요한 분야의 통신 또는 방송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디지털 지문 이미지를 잡음원으로 사용하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난수 생성기 (Practically Secure and Efficient Random Bit Generator Using Digital Fingerprint Image for The Source of Random)

  • 박승배;주낙근;강문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3호
    • /
    • pp.541-5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지문 이미지를 잡음원으로 하는 난수 생성기를 제안한다. 생체 정보를 잡음원으로 하는 난수 생성기는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제안되지 않고 있다. 제안한 난수 생성기는 한 지문에 대하여 평균 9,334 비트를 0.03초에 생성하며, 생성된 비트 열은 NIST에서 권장한 16개의 난수성 통계 검증들을 모두 통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