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20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36초

1920년대와 1960년대의 패션에 나타난 유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 정현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4-238
    • /
    • 2004
  • This paper analyzes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Fashion is a reflection of Zeitgeist. The similarity of fashion appeared in the similar social ideal period. The fashion of the 1920's and 1960's have a lot of similarity in many respects. Androgyny was the new word. The woman cut her hair short, wore short skirt, and projected a self-confidence that was considered by many to be too masculine. The new fashions also appeared very youthful. The cult of eternal youth was born. The mature woman was no longer requested. Instead, in the face of changing lifestyles and extremely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taste ran in favor of a young, athletic, and mobile ideal. The new fashions do-emphasized curvaceous shapes through short dresses and short hair-both styles were supposed to express youthfulness. Characteristic of the times was the short loose dress: straight silhouette disguised feminine curves. The new dresses were invented for very young, slim, and wide-eyed women. The common Zeitgeist of the 1920's and 1960's represents the cult of youth and the adoption of innovative style, which emphasized decoration-cleared simplicity, functionality, practicality, activity, androgyny. Innovative short skirt, youth fashion, androgynous style, unisex style, tubular silhouette, short hair style, and eyeline-emphasized makeup were analyzed by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 PDF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의 형식적 특징 (Formal Characteristics of Joseon Films in the Early 1920s)

  • 한상언;정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17-125
    • /
    • 2013
  •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의 제작은 식민지지배기구에서 시작되어 민간으로 확대되었다. 이들 영화는 풍경과 풍속을 기록한 실사영화와 극적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를 촬영하여 보여주는 연쇄극의 자장 안에서 형성되어, 장소를 강조하는 형식으로 발전했다. 이 당시 할리우드 연속영화의 영향으로 조선의 주요한 경승지를 위험과 모험이 일어나는 장소로 사용했다. 하지만 스타일적인 면에 있어서는 롱테이크와 롱쇼트로 촬영되었고, 단조로운 화면은 변사의 설명으로 리듬감을 주었고, 필름에 색을 넣어 시각적인 자극을 강조하는 등 일본영화와 같았다. 일본영화와 비슷했던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는 나운규의 <아리랑>의 등장으로 보다 할리우드 영화와 같은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1-514
    • /
    • 2017
  •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일제 강점기의 신문불매운동 연구 : 192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Audience's Boycott Movement to the Korean Newspapers in the mid-1920s)

  • 채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219-249
    • /
    • 2005
  • 이 논문은 1924년부터 1927년까지 독자들이 특정 신문을 대상으로 집단적인 불매운동을 벌였던 다섯 사례를 분석했다. 1924년 $\ll$동아일보$\gg$의 사설 '민족적 경륜'을 둘러싸고 벌였던 불매운동과 1923년 혁청단의 $\ll$동아일보$\gg$ 불매운동과 진남포 객주조합의 $\ll$조선일보$\gg$ 불매운동, 1926년과 1927년 마산 지역의 유지들이 벌였던 $\ll$남선일보$\gg$ 불매운동, 그리고 1927년 부강 청년회가 벌였던 $\ll$조선일보$\gg$ 불매운동이 본 논문에서 분석되었다. 1920년대 중반 신문 불매운동의 특징으로는 이전 시기에 비해서 훨씬 활발해졌으며 대상 신문도 다양화되었다. 1920년대 초반의 신문불매운동은 주로 $\ll$동아일보$\gg$가 대상이 되었지만 1920년대 중반으로 오면서 $\ll$조선일보$\gg$에 대한 불매운동도 나타났으며 지방지에 대한 불매운동도 벌어졌다. 지역적으로도 널리 확산되었다. 1920년대 초반에는 서울의 운동 단체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1920년대 중반에는 서울뿐만 아니라 마산과 진남포, 부강, 김천, 부산 등 지방으로까지도 확산되었던 것이다. 신문불매운동이 이루어졌던 배경도 이념투쟁 보다는 집단적 이해관계의 의해서 이루어진 것들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사례 중 1924년의 $\ll$동아일보$\gg$ 불매운동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자신들 집단에 대한 보도 태도가 직접적인 이유가 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192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1920년대 초반에 비해 수용자 집단의 저변도 확대되고 이에 따라 수용자들의 적극적 인식도 심화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복식문화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1920년부터 1990년까지- ("The Chang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ronments in Korea"(From 1920 to 1990))

  • 강혜원
    • 복식
    • /
    • 제22권
    • /
    • pp.23-4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dress and adornments by examining articles on dress adornments and related items in Korean newspaper over periods historically and objectively by means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closel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s a micro-cultural system through culturally based model suggested by hamilton. The two-hundreds and eighty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elected from newspapers(most by form Chosun Ilbo and partly from Maeil Shinbo) pulished between 1920 and 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ulture of dress and adornment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30's and 1960's and little during 1950's. 2.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ppeared on and after 1960's: reporting more foreign news items showing foreign-oriented and future-oriented features showing cultural relativism. In the 1920's and 1970's the contents of news items on dress and adornments show the most common- mass- oriented character. Foreign-oriented cultural tendencies in cloth-ing were increasing during from 1960's to 1970's but the tendencies were turned to rather tradition-oriented features on and after 1980's compare with 1960's-1970's. Advisory critical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mall in number and insignificant but compare with other periods these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20's and 1980's. 3. Ide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1920's to 1990. Techo-n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1920's and little during 1960's. The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received a little attention on and after 1920's-1940's and 1990. 4. News items on women's dress and adornment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1920's to 1960's and news items on both men's and women's dress and adorments were in-creasing and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the 1970's. 5. The pragmatic cultures were mostly re-lated to techonological components and evaluative-normative culture were mostly re-lated to ideological and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dress and adorments as a cultural sub-system comprise a dynamic inteacting system that articulated directly with the macro-cultural system.

  • PDF

임시정부 수립 후 1920년대에 전개된 경호 활동 고찰 (The Investigate of Security Service History focused on 1920s aft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 김은정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53-68
    • /
    • 2008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각종 활동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의 초기 정책이나 기관 등을 구성하는데 기틀로 작용되었기 때문에 경호 분야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임시정부 수립부터 1920년대의 경호와 관련된 내용을 다각도로 살펴보았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들을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발굴할 수 있었다. 첫째, 임시정부에서 경호는 '정부 수호'의 역할로 인지되었다. 이에 김구는 독립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경호원들의 훈련까지 관여할 정도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임시정부에서 경호는 "임시정부지방연통제관련법령집" 중에 '통신원 급 경호원'이란 언급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경호과(警護科)'의 등장과 함께, 그 업무를 규정한 "도사무분장규정", "부군처무규정"을 통해서도 당시 임시정부 내 경호임무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셋째, 1920년대 국내외 각종 독립운동단체들에서 나타난 '경호부(警護部)'의 활약은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의열 및 항일무장 투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1920년대 대중들의 일상생활에서 경호는 각종 행사의 질서유지, 주요 인사들의 신변 보호 및 안전을 위해서 이루어졌다. 당시 경호 사례를 통해서 볼 때,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경호가 정착하는데 있어 1920년대의 시대적 정황이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 PDF

1920-30년대 한국 만화의 '웃음'과 미학적 특징 (The Laughter and Aesthetics of Korea Manwha on 1920-30s)

  • 서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51-17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1920-30년대 만화의 특징을 분석해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 속에 발현되는 웃음의 정서를 살펴보고, 이 시기 만화의 웃음이 어떠한 영향 관계 속에서 조선 만화의 미학을 체계화해 나갔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1920-30년대 대중문화 안에서 유머/웃음은 센티멘털이라는 음울한 분위기가 감도는 전반적인 분위기에서 새롭게 부상한 감각이었으며, 그 감각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전유시키며 부상한 매체가 바로 만화였다. 식민지 조선 만화의 미학적 문법이 어떠한 영향관계 안에서 조선 만화의 특성을 체계화해 나갔는지 밝히기 위해 본고에서는 1920-30년대 만화가운데 인접 장르를 각색한 만화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이 각색과정을 통해 어떻게 교합하고 이 안에서 무엇을 취사선택 했는지 분석함으로써 만화가 대중성, 즉 웃음을 어떤 방식으로 확보해 나갔는지 규명했다. 코믹스가 처음 등장했던 1920년대에는 모자람을 통해 흥미로움을 전달하는 인물, 사건전개에 따른 장면전환, 복수라는 통속성을 가미해 코믹스의 문법적 기틀을 마련했다. 덧붙여 모험과 기담, 쫓고 쫓기는 긴장감을 주는 활극성도 1920년대 코믹스에 등장하는 요소였다. 이는 1910년대부터 유행했던 희활극 영화와 모험을 모티프로 한 번안 번역 소설을 읽던 대중독자를 만화로 유입하는 데 유효했다. 모험과 여행이라는 활극적 상상력을 갖춘 번역 소설인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기담>은 활극성을 더욱 가미하는 방향으로 각색되었다. 이는 '사랑의 성취'라는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함께 긴장감을 불어 넣으면서 통쾌함을 선사했다. 게다가 식민지 경성을 배경으로 각색함으로써 독자들에게 피식민지인의 대리물로서 통렬한 복수와 통쾌함도 제공했다. 한편 1920년대에 기틀이 마련된 코믹스는 1930년대에 이르면 보다 통속화되는데, 김규택의 만문만화는 이를 잘 보여준다. 1920년대 만문만화가 세태풍자에 그쳤다면, 김규택의 만문만화는 1930년대 유행했던 에로그로넌센스의 감각을 끌어들여 독자로 하여금 보다 통쾌한 웃음을 유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한 『제1차조선교육령』과 『조선교육요람』(1913, 1920)의영어번역본 분석 (Analysis 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Manual of Education of Koreans (1913), and Manual of Education in Chosen 1920 (1920) Using Text Mining Analytics)

  • 탁진영;곽은주;진실로;손민주;김동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09-317
    • /
    • 2023
  • 본 논문의 목표는 1911년에 공포된 『제1차 조선교육령』, 1913년에 발행된 『조선교육요람』과 1920년에 발행된 『조선교육요람(1920)』의 영어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조선 통제 수단으로 활용된 식민지 교육정책을 추적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교육정책의 전체적인 흐름과 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단편적이고 질적인 역사서 연구와는 달리 통시적·양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 50개 단어 빈도 순위와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와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은 '전체적인 규정'이나 '교육과정 및 운영'에 초점을 두었고 둘째, 1913년의 『조선교육요람』은 '교육 방식 및 매체'와 전반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지침을 싣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20년 『조선교육요람(1920)』은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실행 및 교육의 주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20년대 통신교육 교재 『중학강의록』의 화학강의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emistry lecture content in the 1920s correspondence education textbook "JunghagGanguilog")

  • 이영미;박종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67-179
    • /
    • 2023
  • 이 연구는 1920년대 통신학교인 조선통신중학관에서 발행한 『중학강의록』과 『문교의 조선』, 『신지식』 및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여 당시 이루어진 통신교육에서 과학교육 상황을 살펴보았다. 통신교육 교재로 활용된 자료의 화학강의 내용의 분석과 검정시험 문제와의 비교 등으로 학교 밖과학교육의 실효성을 조사하였다. 통신교육은 학교 내 교육을 받지 못하는 1920년대의 높은 교육열의 소통 창구이었고, 상급학교 진학을 시도하기 위해 검정시험을 봐야 하는 이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교육 방법이었다. 화학강의 내용이 검정시험 문제와 유사성이 높아서 학습자들은 통신교육을 상당히 선호했을 것이고 학습력도 높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어로 발행된 『중학강의록』은 당시 과학교육 상황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플래퍼 룩의 사회 문화적 의미 고찰 - The New York Times 기사를 중심으로 -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 Analyzed from The New York Times articles -)

  • 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1호
    • /
    • pp.19-2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e 1920s. Using the ProQuest database, I searched articles from The New York Times published between 1920 and 1929 for opinions and discussions on the flapper look. Keywords included "clothing," "dress," "fashion," and "flapper," and advertisements and articles on menswear, leisurewear, and bathing suits were excluded. In the resulting articles, I extracted the following sociocultural meanings: autonomy, activeness, practicality, attractiveness, and extravagance. Meanings were analyzed from the opin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kirt length, dress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he body, heavy make-up, non-constricting underwear, the H-line dress, bobbed hair, hygiene, comfort, and consumption. In sum, the 1920s flapper look represente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ous and active womanhood and practicality, which match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time. However, the flapper look was commercialized and exploited to make women look attractive and extravagant. Even though American women had access to higher education, more economic power, and suffrage in the 1920s, they we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social conventions and the power of consumerism. Understanding the double-sidedness of flapper look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would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ifestyles and changing 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