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09 revised curriculum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7초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2015-revised curriculum on the definition and introduction of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 허남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31-543
    • /
    • 2019
  •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에서 연속확률분포를 정의하고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확률과 통계 교과서는 연속확률변수를 가부번집합인 확률변수로 정의하기보다는 특정 범위의 모든 실숫값을 가지는 확률변수로 정의하였다. 또한 연속확률분포를 도입함에 있어 균등분포를 이용한 방법과 상대도수밀도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An Analysis the Contents Related to a Subject 'Earth and Moon'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 임청환;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7-243
    • /
    • 2018
  • 이 연구는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의 '지구와 달' 관련 단원의 내용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2015 개정 과학교과서로 개정되면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상에서는 큰 변화는 없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 진술이나 전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탐구활동면에서는 교육과정의 탐구활동 제시에서는 물론 교과서에 제시된 구체적인 탐구활동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셋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과학교과서에서는 사진과 삽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실험관찰과 관련된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단원을 정리하는 활동이 2015 개정에서는 2009 개정에 비해 강화되었다.

2007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llustration on the Grade 5 and 6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7 Curriculum and 2009 Revised Curriculum)

  • 김용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80-8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whether current science textbook is designed to let children properly obtain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research stu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implication to help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of illustration in science textbooks of grade 5 and 6 published based on the 2007 curriculum an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illustration of the grade 5 and 6 science textbooks in the 2007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 on in the textbook, science textbook of year 2009 revised for grade 5 and 6 had 1.65 illustration per page and for the 2007 curriculum, it had 1.98 illustrations per page having 0.83 times more illustrations than that of the previous one. Second, the types of illustrations both textbooks had a higher ratio of pictures that are very detailed and objective which can identify scientific facts. In terms of role of illustration, illustrations providing various and realistic data related to the learning for students to have enough scientific experiences accounted for the most ratios.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변화에 따른 수학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An effective management on the new math curriculum according to 'General Guidelines of Curriculum Revised in 2009')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531-552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은 초 중학교의 경우 2013년부터이며 연차적으로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새 교육과정의 적용이 시작되는 현 시점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데 발생하는 어려움, 즉 쟁점을 신중히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 시, 쟁점이 되는 항목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이는 학년군, 수준별 수업, 기준 수업시수의 20% 이내 증감 운영으로 구체화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쟁점 사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Study on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 장혜원;이화영;임미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07-223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내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위상을 고찰하고, 수학적 내용측면에서 내용 영역의 범주 및 3~5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내용 영역에서 역연계 및 비연계 요소가 파악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Models in the Chemistry Textbooks of the 2009 & 2015 Revised Curricula: Focusing on the Electrolysis of Aqueous Solutions)

  • 김기향;장하석;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9-30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한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58-9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high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oC)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nvestigate the improvements of their leve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4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out all part of the Korea countr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Hall & Hord(2006)'s stage of concerns questionnaire of Stage of Concern. The Data were analyzed by Profiling of teachers' concern and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5.25% of the high school teachers were in stage of Awareness. 6.34% of teachers were in stage of Information. Most of high school teachers' concern about 'Creative-Experience Activity' was generally 'non-user' stage that unconcerned.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stage of concern according to their sex and teaching career except for region. In region, the teacher in metropolis tent to interest getting new information than small and midium size city.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transfer from 'non-user' stage to 'early-user' stage of and 'impact' stage. To do so, we may sublate too much curriculum revise and start teacher training for 2009 revised 'creativity-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study provide that there are not curriculum implementation success without teachers' concern about revised curriculum.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최정인;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7-288
    • /
    • 2015
  •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2007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Computer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2007 Revised Curriculum)

  • 하태현;신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21-33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would initially apply from 2009 and then to suggest better ways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 a comparison was made and a suggestion has been derived: Firstly, the computer subject should not be treated as a rival to others anymore, ra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subjects. Secondly, teachers who take computer subjects as their major should be allocated to middle schools. Thirdly, computer subjects should be taught systematically from elementary and be continued throughout in order to promote the level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urthly, the advantages of computer utilis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layout the computer curriculum that is practicable and learner-centered. Finally, teachers should recognise the main aim of computer education and teach computer subjects to be useful in education. Though the revised version is not perfect the more the curriculums are revised, the better they might be expected to be developed. Consequently, whenever the newly revised computer curriculum emerges, the defects should be identified and addressed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computer curriculum.

  • PDF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 주수언;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 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 아동, 소비 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