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xperienc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t Inclusive Setting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 장지영;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1-126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Methods: Individual interviews with 14 teachers at seven inclusive settings in Seoul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six categories and 42 sub-them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ix categories and 37 sub-them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erived through qualitative-compar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teacher in-service education conducted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gave substantial aid in the applied practices of cases.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lated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heightened. The inclusive settings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lay, case, and children's interest. As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rogressed, children also change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program」 allowed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experiences to coexist at the inclusive setting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cal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and national level must be stress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to solve the difficulties.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조유진;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06-813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재난안전 교육내용 비교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성미영;김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2-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유치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초 중 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 대상 재난안전 교육내용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내용범주에 '재난'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은 초등1~2학년과 3~6학년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1~2학년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안전한 생활' 대분류 영역 중 하나인 '재난안전'영역에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된 반면, 초등3~6학년은 체육, 과학, 실과 등의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교육내용이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 역시 사회, 체육, 과학, 기술 가정 등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분산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 재난안전 교육내용의 연속성과 체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A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성안나;김연하;이지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8
    • /
    • 2022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eacher support for children's play (age 3-5)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3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were all perform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PTPSS) was finalized with 25 item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our sub-factors: interaction, play materials, play space, and play safet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measures such as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Play,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lso desirable. Conclusion/Implications: The PTPSS was verified as a sound measure quantifying the play support behavior of teachers who respect the autonomy and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which is being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support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김동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67-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및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표집된 K시와 J도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259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방임적놀이와 놀이허용의 차이를 구분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운영에 대해 보육교사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놀이인식수준에 따라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9개정 누리과정이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 영양·식생활 교육 내용 체계화: 질적 기초 연구 (Systemat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 qualitative formative study)

  • 김정현;심유진;백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09-5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preschool children, reflecting government policy and meeting the demands of preschool settings. Methods: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key element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s for Nutrition and Food Educat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Guidelines") were examin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Results: Basing ourselves o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s," "Art Experience," and "Natural Science Inquiry," we integrated three areas from the Guidelines, namely "Dietary Habits and Health," "Dietary Habits and Safety," and "Dietary Habits and Culture," to structure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Three specific domains, "Nutrition and Health," "Food and Culture," and "Safe Dietary Practices," were tailored for preschool children, each comprising core concepts,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Nutrition and Health" domain, core concepts such as "nutrition" were addressed through content elements such as "balanced eating" and "vegetables and fruit," while "health" included elements such as "eating regularly" and "nutrients for disease prevention," each with two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Food and Culture" domain focused on "food" with content on "local foods (vegetable-garden experience)" and "food culture" with content on "our dining table (rice and side dishes)," "our agricultural products," "global cuisine (multiculture)," and "considerate dietary practices," each with four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Safe Dietary Practices" domain included core concepts such as "hygiene" with content on "hand-washing habits" and "food poisoning management," and "safety" with content on "food labeling." Conclusions: The systematiz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ligns with the Nuri Curriculum and is interconnected with the Guidelines. This curriculum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contributing to effective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 김선경;김현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