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8.20.-v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Euphorbiaceae))

  •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남기흠;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93
    • /
    • 2003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체세포염색체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12, 20, 22, 28, 40, 42, 56이었고, 기본염색체수는 x=6, 7, 10, 11이었다. 본 연구에서 체세포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낭독(E. pallasii Turcz.; 2n=20), 단주낭독(E. hylonoma Hand.-Mazz; 2n=20.), 두메대극(E. fauriei H. L$\acute{e}$v. & Vaniot ex H. L$\acute{e}$v.;2n=28), 암대극(E. jolkini Boiss.; 2n=28)의 4종류이었으며,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분류군은 개감수(E. sieboldiana Moor. & Decne.; 2n=20), 붉은대극(E. ebracteolata Hayata; 2n=20), 땅빈대(E. humifusa Willd. ex Schlecht.; 2n=22)의 3종류이었다. 반면 기존의 보고와 다르게 나타난 종류는 흰대극(E. esula L.; 2n= 16, 20, 60, 64 vs 2n=20), 등대풀(E. helioscopia L.; 2n=12, 42 vs 2n=42), 참대극(E. lucorum Rupr.; 2n=28, 40 vs 2n=56), 대극(E. pekinensis Rupr. in Maxim.; 2n=24 vs 2n=28, 56), 큰땅빈대(E. maculata L.; 2n=28, 42 vs 2n=12), 애기땅빈대(E. supina Raf.; n=7 vs 2n=40)이었다. 낭독, 붉은대극, 단주대극은 염색체의 수와 크기 및 부수체의 존재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히 구분되었으며, 큰땅빈대, 땅빈대, 애기땅빈대는 외부형태, 해부, 화분학적 형질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염색체수 및 체세포염색체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체세포염색체에서 얻어진 결과는 Webster(1967)의 분류체계보다 Ma and Hu(1992)의 분류체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세포염색체에 관한 형질은 절 수준에서 분류학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일부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ULG 및 ELA Poly-Si TFTs의 게이트-바이어스 스트레스에 따른 비교 연구

  • 김지웅;김태용;이준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4.1-264.1
    • /
    • 2014
  • 현재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ELA poly-Si TFT의 표면 거칠기 등으로 인한 대면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중인 MIC 방식의 ULG poly-Si TFT를 이용한 게이트-바이어스 스트레스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Positive gate bias의 경우 20V의 게이트 전압과 -0.1V의 드레인 전압에서 10,000초 동안 비교 측정하였으며, 이때 ${\Delta}VTH$는 ELA poly-Si TFT가 143.6 mV, ULG poly-Si TFT가 28.8 mV였다. 또한 negative gate bias의 경우 -20 V의 게이트 전압과 -0.1 V의 드레인 전압에서 10,000초 동안 비교 측정하였으며, 이때 ${\Delta}VTH$는 ELA poly-Si TFT가 154.4 mV, ULG poly-Si TFT가 70.8 mV였다. 이는 게이트 절연막과 채널층 사이의 계면에서 높은 표면 거칠기로 인한 전계의 차이에 의해 더 많은 전하의 트랩에 기인한 것이다.

  • PDF

돼지 분할초기배와 호르몬, 난관상피세포 및 난구세포와의 공배양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rmones, Oviductal Epithelial Cell and Cumulus Cell during the In-Vitro Culture in Medium on the Survival Rates of Bisected Porcine Embryos)

  • 김상근;이종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5-140
    • /
    • 199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n the survival rate of bisected porcine embryos co-cultured in 10% FCS(v/v)+TCM-199 media containing hormones, oviductal epithelial cells and cumulus cells 0 to 72 hrs after bisection. In vitro survival rate was defined as development rate on in vitro culture or FDA-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urvival rate of bisected porcine embryos cultrued in 10% FCS+TCM-199 media contaning PMSG, hCG, PMSG+hCG, hCG+$\beta$-estradiol 0 to 20 hrs and 20 to 40 hrs were 37.6% and 37.5%, 28.6% and 28.6%, 35.7% and 28.8%, 30.8% and 23.1%, 38.5% and 30.7%,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bisected embryos co-cultured in TCM-199 media containing hormones, oviductal epithelial cells and cumulus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 co-culture. 2. The survival rate of bisected porcine embryos co-cultured 10% FCS+TCM-199 media containing oviductal epithelial cells 4 to 5 hrs and 20 to 24 hrs were 42.9% and 38.5%, respectively. 3. The survival rate of bisected porcine embryos co-cultured in 10% FCS+TCM-199 media containing cumulus cells 4 to 5 hrs and 20 to 24 hrs were 40.0% and 35.7%, respectively.

  • PDF

국내 광대역 지진관측소의 부지증폭 특성 (Characteristics of Site Amplification of the Broad-band Seismic Stations in Korea)

  • 김서영;김성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810-823
    • /
    • 2009
  • 지진원 상수의 정밀한 결정과 지진재해의 예측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의 하나는 부지증폭 특성에 관한 상세한 정보이다. 한반도 광대역 지진관측소의 부지증폭 특성이 0.2-20 Hz 범위 내에서 주파수의 함수로 추정되었다. 한반도 남부에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관측된 43개의 지진에 대한 총 1275개의 지진기록이 사용되었다. 지진동 모델의 역산으로부터 추정된 28개소의 관측소에 대한 부지증폭비는 수직대 수평(H/V) 스펙트럼비로부터 얻어진 증폭비와 몇몇 관측소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그 값이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주파수별 부지증폭 특성은 어떤 뚜렷한 공간분포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지증폭 특성은 기반암 종류보다는 풍화의 정도와 크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별 부지증폭비를 참조하여 28개소의 광대역 관측소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고, 그룹별 특징에 대하여 본문에 서술하였다.

Ti-6Al-4V 타이타늄 합금의 절삭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Ti-6Al-4V Alloy)

  • 김남용;고준빈;이동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28
    • /
    • 2003
  • The machinability of Ti-6Al-4V titanium alloy and tool wear behavior in machining of Ti-6Al-4V titanium alloy was studied to understand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This material is one of the strong candidate materials in present and future aerospace or medical applications. Recently, their usage has already been broaden to everyday's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golf club heads, finger rings and many decorative items. To anticipate the general use of this material and development of the titanium alloys in domestic facilities, the review and the study of the machining parameters for those alloys are necessary. This study is concentrated to the machining parameters of the Ti-6Al-4V alloy due to their dominant position in the production of titanium alloys.

에탄올 생성능과 생존능이 우수한 효모균주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Indentification of Yeast Strains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with High Viabi-lity.)

  • 강태영;오귀환;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09-315
    • /
    • 2000
  • To isolate yeast strains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125 strains were subjected to screening. Initially 14 strains able to grow in a medium containing 15%(v/v) ethanol, 7 strains capable of growing in a medium containing 50%(v/v) glucose, 23 strains having relatively fast fermentation rates, 13 strains able to grow at $42^{\circ}C$ were selected. After secondary screening, 11 strains having relatively high ini-tial fermentation rate and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were selected. After tertiary screening 5 strains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were selected. These 5 strains were again for their ethanol produc-tion, residual sugar, and viability using fermentation medium containing 25% glucose. The strain produc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20-1 strain which produced 10.56%(v/v) ethanol in 4 days, and the highest viable strain was 11-1 which produced 10.35%(v/v) ethanol(13.1%. v/v) with the viability of 30.44%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Both of the 20-1 and 11-1 strains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 PDF

Ti80-XZr20VX 합금분말의 게터 특성 (Getter Properties of Ti80-XZr20VX Alloy Powders)

  • 박제신;김원백;서창열;조성욱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8-32
    • /
    • 2009
  • The activation temperatures and hydrogen sorption rates of $Ti_{80-X}Zr_{20}V_X$ alloys were evaluated at room temperature. The alloy powders were prepared by arc melting and then hydride-dehydride(HDH) process. The alloy powders were apt to activate by increase of vanadium in Ti-Zr-V alloys. The easy activation was explained in terms of surface oxygen content which decreased with increase of vanadium on Ti-Zr-V alloys.

유기 EL 소자의 전기-광학적 특성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organic EL device)

  • 김민수;박이순;박세광
    • 센서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2-257
    • /
    • 1997
  • ITO(indium-tin-oxide)/PPV(poly(p-phenylenevihylene))/음극 전극의 단층구조와 ITO /PVK(poly(N-vinylcarbazole))/PPV/음극전극의 이층구조를 가진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전기-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층구조에서는 PPV막의 열변환 온도를 $140^{\circ}C$에서 $260^{\circ}C$로 증가할수록 최대 휘도가 $118.8\;cd/m^{2}$(20V)에서 $21.14\;cd/m^{2}$(28V)으로 감소하였고, EL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가 500nm에서 580nm로 이동하였다. 또한, 음극전극의 일함수가 낮을수록 소자의 발광휘도와 주입 전류는 증가되었다. 이층구조에서는 PVK막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발광휘도가 $70.71\;cd/m^{2}$(32V)에서 $152.7\;cd/m^{2}$(26V)으로 증가하였다.

  • PDF

Pb/La 조성에 따른 ( Pb, La ) $TiO_3$ 박막의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the ( Pb, La ) $TiO_3$ Thin Films with Pb/La Compositions)

  • 강성준;정양희;윤영섭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호
    • /
    • pp.29-37
    • /
    • 1999
  • La 농도에 따른 PLT 박막을 sol-gel법으로 제작하여, La 농도가 PLT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하였다. La 농도가 5 mol%에서 28 mol%로 증가함에 따라 10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률은 428에서 761로 증가하였고 유전손실은 0.063에서 0.024로 감소하였으며, 누설전류밀도는 150kV/cm의 전기장에서 6.96${\mu}A/cm^2$에서 0.79${\mu}A/cm^2$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La 농도에 따른 PLT 박막의 이력곡선을 측정한 결과, La의 농도가 5mol%에서 28mol%로 증가함에 따라 잔류분극은 9.55${\mu}C/cm^2$ 에서 1.10${\mu}C/cm^2$ 으로 항전계는 46.4kV/cm에서 13.7kV/cm로 감소하였다. La 농도를 5 mol%에서 28 mol% 까지 변화시킨 PLT 박막에 대한 피로특성을 조사한 결과, La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로특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La 농도가 28mol%인 PLT 박막의 경우, 상유전상을 가지며 5V에서 전하축적밀도와 누설전류밀도는 각각 134fC/${\mu}cm^2$과 1.01${\mu}A/cm^2$ 이었으며, La 농도가 10mol%인 PLT 박막은 6.96${\mu}C/cm^2$의 잔류분극과 40.2kV/cm의 항전계를 가졌다. 또한 ${\pm}5V$ 의 사각펄스를 $10^9$회 가한 후에도 잔류분극의 값이 약 20% 감소하는 비교적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La이 10mol% 와 28mol% 첨가된 PLT 박막은 각각 NVFRAM과 차세대 DRAM 용 캐패시터 절연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재료라 생각할 수 있다.

  • PDF

백서 좌골신경의 압박손상에 대한 단기간 스테로이드 투여 시 복합근활동전위의 변화 (Changes of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in Short-term Steroid Therapy for Compression Injury of Rat Sciatic Nerve)

  • 김소현;박광원;백준석;정태영;김미리;박상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25-30
    • /
    • 2013
  • Purpose: Many surgical procedures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 can induce trauma to the peripheral nerve. The aim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hort-term steroid therapy on nerve recovery after crush injury. Methods: Sixteen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right sciatic nerves were exposed, crushed, and sutured.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steroids. The test group was injected with dexamethasone disodium phosphate (2 mg/kg body weight/day) for 7 days. In all animals,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 was recorded before and at 1, 7, 14, 21, and 28 days after injury. Results: The amplitude of the CMAP before and at 1, 7, 14, 21, and 28 days after injury were $53.20{\pm}4.80$ mV, $20.12{\pm}5.38$ mV, $30.01{\pm}14.15$ mV, $31.14{\pm}13.56$ mV, $31.73{\pm}16.33$ mV, and $37.23{\pm}16.98$ mV in the control group, and $55.25{\pm}6.72$ mV, $18.62{\pm}6.26$ mV, $29.50{\pm}13.06$ mV, $32.90{\pm}13.226$ mV, $30.17{\pm}11.80$ mV, and $38.41{\pm}12.27$ mV in the test group, respectively.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18.82{\pm}3.94$ m/s, $16.73{\pm}3.48$ m/s, $19.60{\pm}2.45$ m/s, $18.68{\pm}3.94$ m/s, $18.02{\pm}3.51$ m/s, and $19.25{\pm}3.88$ m/s in the control group, and $18.94{\pm}3.48$ m/s, $17.28{\pm}2.53$ m/s, $7.57{\pm}2.54$ m/s, $18.77{\pm}2.12$ m/s, $19.48{\pm}1.55$ m/s, and $19.22{\pm}2.97$ m/s in the test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05).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show any therapeutic effect of short-term administration of steroids on injured rat sciatic nerve. Further studi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