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Modelling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7초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한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유형 제안 (A Proposal of Educational 3D Modelling Software Development Type Via User Experience Analysis of Open Source 3D Modelling Software)

  • 이국희;조재경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87-102
    • /
    • 2017
  •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3D프린팅에 선행되어야 할 3D모델링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외국 브랜드에서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모두 영어되어 있기에 이러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교육을 수행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면서 3D프린팅을 위한 한국형 3D모델링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D모델링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문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123D Design나 Tinker CAD 중 하나로 집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Tinker CAD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123D Design에 대한 것보다 호의적이고, 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가 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보다 적으며, 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이 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논의에서는 Tinker CAD의 특성(입체도형을 통해 쉽게 모델링 가능)과 웹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입문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123D Design의 특성(세밀한 치수조작과 도형정렬 가능)과 윈도우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초?중급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을 제안하였다.

레이저스캐닝과 포토그래메트리 소프트웨어 기술을 이용한 조경 수목 3D모델링 재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Virtual 3D Tree Modelling Using Photogrammetry Software and Laser Scanning Technology)

  • 박재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04-310
    • /
    • 2020
  • 본 연구는 레이저스캐닝과 포토그래메트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D모델링과 실제 수목 사이의 재현 특성(수형, 질감, 세부 치수)을 비교분석하여 그 활용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포토그래메트리(Pix4d)와 3D스캐너(Faro S350)를 이용하여 향나무를 3D모델링으로 재현하였다. 연구 결과 3D스캐닝과 포토그래메트리 모두 높은 재현성을 보였다. 특히 원거리에서 UAVs로 촬영한 포토그래메트리에 비해, 3D스캐닝 기술은 수피와 잎의 재현에 있어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수목의 세부 치수를 비교한 결과, 실제 수목과 3D스캐닝 사이의 오차는 1.7~2.2%로 스캐닝 결과가 실제 수목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실제 수목과 포토그래메트리 사이의 오차는 0.2~0.5%로 포토그래메트리에 의한 모델링이 실제 수목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수목의 가상 3D모델링 구현특성을 살핌으로써, 향후 BIM을 위한 조경수목 DB 구축, 증강현실 연계 조경 설계 및 경관 분석, 노거수의 보전 등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3차원 지형모델링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 Terrain Modelling)

  • 신봉호;양승용;엄재구;송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현존하는 수치지형모델 구축기법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치지형 모델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프랙탈 기하학의 수학적 알고리즘을 응용, 터보 파스칼을 이용 3차원 프랙탈 지형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형공간정보시스템 기반의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점 데이터와 선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불규칙삼각망을 생성하는 방법이 정확도 향상의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한 3-D 프랙탈 지형 모델링 시스템 개발은 프랙탈을 이용한 3차원 지 형 모델링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기초연구로서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OPTO-Top패턴주사기에 의한 자동차부품의 3차원모델링 (3D Modelling of Moblie Part Using OPTO- Top Pattern Scanner)

  • 한승희;오원진;배연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91-298
    • /
    • 2004
  • Effective 3 dimensional modelling is to be essential work for design of construction, mechanic and industrial part. Especially, it makes possible for reverse design. It need rapidity, accuracy, reality. Data acquisition method for modelling are contact 3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LASER scanner, Pattern scanner, and digital photogrammetry. This study introduce to 3 dimensional modelling methods and analysis of these method. We tried to 3D modelling of automobile part using OPTO-Top pattern scanner which system have rapidity and accuracy, and compared effectiveness of each method. The 3D display web environment was made.

  • PDF

3D 모델 해싱의 미분 엔트로피 기반 보안성 분석 (Security Analysis based on Differential Entropy m 3D Model Hashing)

  • 이석환;권기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C호
    • /
    • pp.995-1003
    • /
    • 2010
  • 영상, 동영상 및 3D 모델의 인증 및 복사방지를 위한 콘텐츠 기반 해쉬 함수는 강인성 및 보안성의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들 중 해쉬의 보안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분 엔트로피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영상 해쉬 추출에서만 적용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분 엔트로피 기반의 3D 모델 해쉬 특징 추출의 보안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링을 제안한다. 제안한 보안성 분석 모델링에서는 3D 모델 해싱 기법 중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형태의 특정 추출 방법을 제시한 다음, 이들 방법들을 미분 엔트로피 기반으로 보안성을 분석하였다. 과로부터 해쉬 추출 방법에 대한 보안성을 분석하고 보안성과 강인성과의 상호보완관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전자발파시스템을 이용한 발파진동 3D 모델링 연구 사례 (A Case Study on Blasting Vibration 3D Modelling with Electronic-Delay System Detonator)

  • 김갑수;루일리안 양;김용균;강대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2호
    • /
    • pp.131-142
    • /
    • 2014
  • 본 연구는 정확한 단차부여가 가능한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모델링을 통한 진동예측과 실제 발파진동의 결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발파 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모델링의 회귀분석 결과와 실제 획득한 진동 데이터의 회귀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볼 때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따라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진동 추정이 보다 정밀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C를 이용한 3차원 입체형상 모델링 시스템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uter aided 3-D geometric modelling system)

  • 변문현;오익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562-566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 computer aided 3-D geometric modeller. To perform this study, we set up a cube, a cylinder, and a prism as a primitive in the first segment of this study. By modelling the 3-D object through their transforma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we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algorithm and its computer program. Some examples show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gram to modelling a few simple shape of the machine parts. These results met the first aim of this study.

  • PDF

1D AND 3D ANALYSES OF THE ZY2 SCIP BWR RAMP TESTS WITH THE FUEL CODES METEOR AND ALCYONE

  • Sercombe, J.;Agard, M.;Struzik, C.;Michel, B.;Thouvenin, G.;Poussard, C.;Kallstrom, K.R.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87-198
    • /
    • 2009
  • In this paper, three power ramp tests performed on high burn-up Re-crystallized Zircaloy2 - UO2 BWR fuel rods (56 to 63 MWd/kgU) within the SCIP project are simulated with METEOR and ALCYONE 3D. Two of the ramp tests are of staircase type up to Linear Heat Rates of 420 and 520 W/cm and with long holding periods. Failure of the 420 W/cm fuel rod was observed after 40 minutes. The third ramp test consisted of a more standard ramp test with a constant power rate of 80 W/cm/min up to 410 W/cm with a short holding time. The tests were first simulated with the METEOR 1D fuel rod code, which gave accurate results in terms of profilometry and fission gas releases. The behaviour of a fuel pellet fragment and of the cladding piece on top of it was then investigated with ALCYONE 3D. The size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ridges after base irradiation and power ramp testing were recovered. Finally, the failure criteria validated for PWR conditions and fuel rods with low-to-medium burn-ups were used to analyze the failure probability of the KKL rodlets during ramp testing.

2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3차원 충돌 변형 측정 방법 (Three-dimensional Crush Measurement Methodologies Using Two-dimensional Data)

  • 한인환;강희진;박종찬;하용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54-262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3D collision deformation modelling methodologies using photogrammetry for reconstruction of vehicle accidents. A vehicle's deformation shape in collision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how the vehicle collided. So effective measurement(scanning) and construction of a corresponding appropriate model are essential in the analysis of collision deformation shape for obtaining much information related to collision accident. Two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Indirect-photogrammetry which requires relatively small amount of photos or videos, and direct-photogrammetry which requires large amount of photos directly taken for the purpose of 3D modelling. When the indirect-photogrammetry method, which was mainly used in this study, lacked enough photographic information, already secured 2D numerical deformation data was used as a compensation. This made 3D collision deformation modelling for accident reconstruction analysis possible.

3D MODELLING DATA BANK와 3D RENDERING 효과에 대한 연구 - 전통 문양의 현대적 재해석과 '함'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3D MODELLING DATA BANK & 3D RENDERING Effect)

  • 이대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6
    • /
    • 1999
  • 본 연구는 국내가구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례의 하나로 디자인 작품을 시도하게 되었다. 지존의 디자인 모델링은 소프트 모델 또는 목업(mock up)개념에서 시행되어 디자이너가 직접 제작하기 전에는 3차원의 형상을 구현하기가 어려웠으며, 더욱이 문야의 적용은 실크스크린 또는 인쇄와 같은 처리기법으로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시간, 경비, 공간, 자료의 보관 및 축적, 기타의 많은 문제점과 생산성 향상에 애로사항이 되어왔다. 요지와 같이 많은 문제점과 렌더링의 데이터베이스 뱅크는 활용 가능한 분야와 직종에 따라서 응용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실험적 시도가 요구된다. 디자인의 발상은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가구디자인을 접목시킨 사례로서 시도하였으며, 형태와 문양을 현대적 개념에서 재해석하여 대입시켰다. 적용디자인 사례는 2개의 모델에 10가지의 패턴을 복합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작품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디자인 연출과 시안을 추출할 수 있으며, 디자인 활동과 설계에 능률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