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G communication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28초

5G 기반 철도 통신망의 트래픽 전송 성능 (Traffic Transmission Performance of Railway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5G)

  • 김영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069-1074
    • /
    • 2021
  • 최근 들어 5G 상용통신의 보급으로 이동통신기술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 하고 있다. 현재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5G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조만간 전국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mmWave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5G 이동통신은 초기 단계로 일반인 대상으로 하는 음성 및 인터넷 서비스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나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면 산업통신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산업 통신분야의 대표적인 예가 철도통신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통신망의 트래픽 전송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5G 기반 철도통신망의 구축 조건을 살펴본다.

5G 이동통신시스템 동향 및 기술적 요구사항 (Trends and Technical Requirements for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박재성;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257-1264
    • /
    • 2015
  • 4세대 이동통신인 LTE의 성공적인 도입과 함께 최근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은 2020년 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표준화, 시장 주도를 위해 경쟁적으로 연구 개발 및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의 향후 발전 방향을 가늠해보기 위해서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5G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반적인 동향과 함께 각 국가에서 설정하고 있는 시스템 요구사항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의 위협 진단 체크리스트 (Threat Diagnostic Checklists of Security Service in 5G Communication Network Virtualization Environment)

  • 홍진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44-150
    • /
    • 2021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5G 통신네트워크 보안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요 고려 사항인 슬라이싱 보안 정책에 대한 방향을 검토하고,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의 보안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며, 위험관리에 대한 주요 논의 사항들을 분석하고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유럽 핵심보안 연구기관인 ENISA(European Union Agency for Cybersecurity)의 5G 통신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 정책 방향과, 국외 주요 관련 저널로부터 5G 통신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정책과 취약점 분석 등의 연구 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는 5G 통신 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에서 보안구조를 정리하였고, 보안 위협들과 위험관리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위험관리 영역에서 보안 서비스별로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여전히 논의 되고 있는 5G 통신 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에서 보안 위협 항목들을 요약하였다는 것과, 유럽의 5G 통신네트워크 사이버보안 방향을 파악 할 수 있었다는 것, 그리고 5G 통신 네트워크의 가상화 보안에 고려되어야 하는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도출하였다는 데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5G 통신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을 위한 취약점 진단 항목들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향후 5G 통신네트워크 가상화 보안의 취약점 진단 항목에 대한 상세한 진단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Measurement-Based Propagation Channel Characteristics for Millimeter-Wave 5G Giga Communication Systems

  • Lee, Juyul;Liang, Jinyi;Kim, Myung-Don;Park, Jae-Joon;Park, Bonghyuk;Chung, Hyun Kyu
    • ETRI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1031-104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millimeter-wave (mm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channel model parameters including path loss, delay, and angular properties based on 28 GHz and 38 GHz field measurement data. We conducted measurement campaigns in both outdoor and indoor at the best potential hotspots. In particular, the model parameters are compared to sub-6 GHz parameters, and system design issues are considered for mmWave 5G Giga communications. For path loss modeling, we derived parameters for both the close-in free space model and the alpha-beta-gamma model. For multipath models, we extracted delay and angular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clustering results.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curity Requir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Threat Factors of 5G Mobile Communication

  • DongGyun Chu;Jinho Y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38-52
    • /
    • 2024
  • The 5G is the 5th generation mobile network that provides enhanced mobile broadband, ultra-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s, and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New ser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multi-access edge computing,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and network slicing, which are key technologies in 5G mobile communication. However, these new technologies provide new attack paths and threat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verall threats of 5G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irst, defines 5G mobile communication, analyzes its features and technology architecture, and summarizes possible security issues. Addition, it presents security threat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devices, radio access network, multi-access edge computing, and core networks that constitute 5G mobile communication. After that, security requirements for threat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fundamental analysis to examine and assess the overall threat factors associated with 5G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protect the information and asset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use 5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respond to various threat situations, and increase the overall level of 5G security.

28GHz 밀리미터파대역 혼 어레이 안테나 설계 (The design of Horn array antenna for 28GHz millimeter wave band)

  • 진덕호;이제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72-167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28GHz 대역의 5G 이동 통신 중계용 혼 안테나의 방사 패턴, 반사손실 등의 성능을 고려하여 중계용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안테나 소자를 위상 배열하여 5G 이동통신 중계기용 혼 Array를 설계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밀리미터파 대역 통신에서는 기존의 WCDMA(3G), LTE(4G)와 달리 송수신 간의 높은 경로 손실이 발생한다. 5G 밀리미터파 혼 안테나 설계에서는 안테나의 이득, 대역폭뿐만 아니라, 안테나 소자 간 격리도, 이득 등의 안테나 성능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28GHz 대역의 단일 혼 안테나(1×1)와 배열 혼 안테나(2×4)의 안테나 이득은 각각 약 10.44dBi와 19.58dBi, 반사손실도 -18dB 이하의 특성을 되도록 설계하여 측정 결과로부터 구현의 타당함을 입증하였고, 5G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응용에 적합함을 보였다.

Small Cell Communication Analy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in 5G Mobile Communication

  • Kim, Yoon-Hwa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0-56
    • /
    • 2021
  •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mobile streaming market, mobile traffic is increasing exponentially. IMT-2020, named as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by ITU, is called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and is a technology that satisfies the data traffic capacity, low latency, high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compared to the existing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 5G implements this technology by utilizing a high frequency band, but there is a problem of path loss due to the use of a high frequency band,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system performance. In this paper, small cell technology was presented as a solution to the high frequency utilization of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urthermore, the system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macro communication and small cell communication method decision.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performance was improved due to the technical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mmWave대역에서 고속 이동상태 5G MIMO 시스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igh-Speed 5G MIMO System in mmWave Band)

  • 이병진;주상임;김남일;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3-109
    • /
    • 2018
  • 5G 목표 중 하나는 기차와 같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해 고속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High speed train (HST) 시나리오와 같은 높은 이동성 시나리오는 5세대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HST가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열차 승객에게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전송 해야하며, 이용자들의 요구하는 통신 속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HST 사용자는 현재 HST 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벗어나는 위치 또는 속도에 관계없이 높은 네트워크 용량과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요구한다. 따라서, 5세대 이동통신으로 사용될 mm대역에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춰 전송 frame을 구성하고 HST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고 HST 시나리오에서 광대역 비 정지 MIMO HST 채널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5G 망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ive 5G Network Deployment Method for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 정우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353-35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의 서비스 트래픽 특성 및 주파수를 분석하고,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망구축 및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는 수 kbps의 음성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부터 1 Gbps 이상의 홀로그램 영상 서비스까지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는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모바일 서비스 트래픽의 증가로 인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셀 커버리지 환경을 나타낸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서비스 환경에서 나타나는 서비스 커버리지와 다중 대역 주파수의 최적화된 망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논의되는 5G 주파수 블록을 고려하여 3.5 GHz 대역이 5G 서비스 100 Mbps를 셀 경계 200 m에서 제공한다고 가정하면, 28 GHz 대역은 1 Gbps의 홀로그램 서비스를 셀 경계 50 m에서 그리고 500 Mbps 4k UHD 서비스를 셀 경계 100 m에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5G 서비스를 다중 주파수 대역과 매칭하는 주파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망구축 방안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NOMA Transceiver Design for Highway Transportation in Mobile Hotspot Networks

  • Hui, Bing;Kim, Junhyeong;Choi, Sung-Woo;Chung, Heesang;Kim, Ilgyu;Lee, Hoon
    • ETRI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1042-1051
    • /
    • 2016
  • The mobile hotspot network (MHN),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data rate of gigabits per second at high speed, is considered a potential use case of the future enhanced mobile broadband for 5G. Because a unidirectional network deployment has been considered for an MH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can be employed to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For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NOMA under an MHN highway scenario where multiple pieces of MHN terminal equipment are served through the same beam simultaneously, a NOMA transceiver is proposed in this paper. For the NOMA transmitter, Gray-coded QAM constellation mapping is extended to arbitrary modulation order q. For the NOMA receiver,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is no longer necessary, and instead, a parallel demodulation is proposed. The numerical and simul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osed NOMA transceiver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NOMA SIC receiver and can be flexibly used for an MHN highway scen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