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ABB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무릇(Scilla scilloides Complex)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I. 게놈에 따른 분포 및 B염색체의 조성과 출현 빈도 (Cytogenetic Studies of Scila scilloides Complex from Korea I. Distribution of Genomes and Composition and Frequencies of B Chromosome)

  • 최혜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37-242
    • /
    • 1990
  •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ploid plant with AA genome (2n=16) and allotetraploid with AABB genome (2n=34)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from Korea has been studied. The composition and frequencies of B chromosomes ere also investigated. Plants with AABB genome were predominant over AA genome plants. A mixed population of AA and AABB genome plants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Aneuploid plants have not been found. Chromosomes of AA genome were composed of three pairs of metacentric, two pairs of submetacentric, two pairs of subtlocentric and one pair of telocentric chromosomes, whereas BB genome was four pairs of metacentric and five pairs of subtelocentric chromosomes. B chromosome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sochromosome (F) and chromosome fragment (f). The frequencies of B chromosomes were 43% in AA genome plants and 44% in AABB genome plants. The number of B chromosome ranged from 1 to 3 and 1 to 7 in AA and AABB genome plants, respectively. B chromosome combinations were F and F+f in AA genome plants and F, F+f and f in AABB genome plants.

  • PDF

PCR-RAPD 기법을 이용한 세포 유형이 다른 무릇 (Scilla scilloides Complex) 체세포클론의 유전적 분석 (Genetic Analysis of Somaclones Derived from Different Cytotype Plants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using RAPD)

  • 오정순;방재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5-240
    • /
    • 1999
  • 무릇 (S. scilloides Complex)에서 게놈 유형이 다른 AA, BB 및 AABB 게놈 식물의 조직배양을 통하여 유도된 재분화체를 대상으로 RAPD기법을 이용한 유전적 분석을 통해 게놈의 안정성과 게놈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적용한 20가지의 primer중 Al, A2및 A3에서 게놈 유형에 따른 다형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RAPD분석 결과 AA게놈에서 39.2%로 다형성이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BB 게놈에서는 72.3%로 가장 높은 다형성을 보였고, AABB 게놈에서는 45.7%의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AA유형에서 관찰된 총 110개의 밴드 중 특이 밴드가 A3에서 하나 나타나 0.9%의 변이율을 보였으며, BB 게놈의 경우 총 116개의 밴드 중 특이 밴드는 A3에서 5개 나타나 4.3%의 변이율을 보여 주었고, AABB유형에서는 총 103개의 밴드 중 특이 밴드가 Al에서 2개, A2에서 1개, A3에서 2개로 총 5개가 나타나 4.9%의 변이율을 나타내었다. RAPD 분석은 게놈 유형이 다른 무릇 체세포클론의 유전적인 안정성 분석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한국산 무릇(Scilla scilloides complex)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II. 제주도 집단에서 게놈의 분포 (Cytogenetic Studies of Scilla sciloides complex from Korea II. Distribution of Genomes in Chejudo Populations)

  • 방재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45-150
    • /
    • 1991
  • 제주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무릇의 게놈 분포와 B염색체의 출현 빈도를 조사하였다. 게놈의 유형은 BB, ABB, ABBB, AABB, AABBB 및 AAABBB의 6가지로 나타났으며, 그 중 BB, ABB 및 AAABBB게놈 식물은 제주도 집단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되는 것이다. 게놈의 분포는 AABB가 6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BB게놈이 20.4%로 그 다음이었다. ABB와 AAABB게놈 식물은 한 개체씩만 발견되었다. 게놈의 조성은 조사된 13개 집단 중 세가지 유형이 혼생하는 집단이 2개,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 집단이 BB, AABB 또는 AABBB 중 한 가지 유형의 게놈 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게놈의 조성으로 보아 제주도의 무릇 집단은 한반도 내륙보다는 일본 집단과의 유연 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B염색체의 수는 1-4개로 나타났으며, 모두 등완염색체(F)였다. B염색체의 출현 빈도는 BB와 AABBB게놈 식물에서 각각 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ABB게놈 식물에서는 48%로 나타나 한반도 내륙(44%)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A게놈에 비해 B게놈의 수를 많이 지닌 식물에서 B염색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 PDF

Enhanced FFD-AABB Collision Algorithm for Deformable Objects

  • Jeon, JaeHong;Choi, Min-Hyung;Hong, 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4호
    • /
    • pp.713-720
    • /
    • 2012
  • Unlike FEM (Finite Element Method), which provides an accurate deformation of soft objects, FFD (Free Form Deformation) based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for a quick and responsive representation of deformable objects in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games, animations, or simulations. The FFD-AABB (Free Form Deformation Axis Aligned Bounding Box) algorithm was also suggested to address the collision handling problems between deformable objects at an interactive rate.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FFD-AABB algorithm to improve the frame rate of simulation by adding the bounding sphere based collision test between 3D deformable objects. We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methods and the result of proposed method shows about an 85% performance improvement.

Synthesis of Calix[4]arenes in AAAB or AABB Type Substitution at Upper Rim

  • 노광현;권경미;김종은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6호
    • /
    • pp.525-528
    • /
    • 1996
  • Seven cali[4]arenes, having two different substituents in AAAB or AABB pattern at the upper rim of calix were synthesized by fragmentation condensation reaction of p-substituted phenol trimer (AAA) with 2,6-bishydroxymethylated 4-substituted phenol (B) or that of dimer (AA) with 2,2'-bishydroxymethylated dimer (BB). An equimolar mixture of the coupling components (trimer and monomer or dimer and dimer) was refluxed in dioxane in the presence of TiCl4to afford calix[4]arene 6 and 7 in 15-38% yield. The structure of calix[4]arenes was confirmed by elemental analysis and the 1H/13C NMR spectroscopy.

듀럼밀 3염색체 식물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Traits of Trisomic Plant in Durum Wheat)

  • 오세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92-402
    • /
    • 1997
  • 듀럼밀(Triticum durum var. hordeiforme 2n=28 AABB)에서 trisomics(2n=28+1)을 육성하여 외부형태적 형질에 발현되는 양적효과를 조사하였다. Trisomics은 각각의 잉여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외부형태적 형질에 정상식물과 명백히 상이한 양적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A및 B의 양 genome에 속하는 동조염색체간에는 서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어 상호 구별짓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부터 몇몇의 외부형질에 관여하는 주동유전자의 염색체위치는 동조염색체상에 존재하고 있음이 시사되었으며, 이들은 같은 역할을 하는 동조유전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듀럼밀의 동조성 및 연관군이 동시에 해명된 것으로 보여지며, 본 trisomics은 밀속의 A및 B genome의 각각의 염색체에 관한 유전분석 및 유전자지도 작성을 위한 연구재료로서 유익할 것이다. 또한 빵밀(Triticum aesitivum AABBDD)의 선조종인 듀럼밀(T. durum AABB)과 타루호밀(T. squarrosa DD)의 진화과정 및 비교유전분석상 매우 중요한 소재로서 이용될 것이다.

  • PDF

Interactive Colision Detection for Deformable Models using Streaming AABBs

  • Zhang, Xinyu;Kim, Young-J.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3부
    • /
    • pp.306-317
    • /
    • 2007
  • We present an interactive and accurate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for deformable, polygonal objects based on the streaming computational model. Our algorithm can detect all possible pairwise primitive-level intersections between two severely deforming models at highly interactive rates. In our streaming computational model, we consider a set of axis aligned bounding boxes (AABBs) that bound each of the given deformable objects as an input stream and perform massively-parallel pairwise, overlapping tests onto the incoming streams. As a result, we are able to prevent performance stalls in the streaming pipeline that can be caused by expensive indexing mechanism required by bounding volume hierarchy-based streaming algorithms. At run-time, as the underlying models deform over time, we employ a novel, streaming algorithm to update the geometric changes in the AABB streams. Moreover, in order to get only the computed result (i.e., collision results between AABBs) without reading back the entire output streams, we propose a streaming en/decoding strategy that can be performed in a hierarchical fashion. After determining overlapped AABBs, we perform a primitive-level (e.g., triangle) intersection checking on a serial computational model such as CPUs. We implemented the entire pipeline of our algorithm using off-the-shelf graphics processors (GPUs), such as nVIDIA GeForce 7800 GTX, for streaming computations, and Intel Dual Core 3.4G processors for serial computations. We benchmarked our algorithm with different models of varying complexities, ranging from 15K up to 50K triangles, under various deformation motions, and the timings were obtained as 30~100 FPS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models and their relative configurations. Finally, we made comparisons with a well-known GPU-based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CULLIDE [4] and observed about three times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e earlier approach. We also made comparisons with a SW-based AABB culling algorithm [2] and observed about two times improvement.

  • PDF

세포유전적 유형이 다른 무릇(Scilla scilloidise Complex)에서 유도된 캘러스 세포의 염색체 변이 (Chromosome Variation in Callus Cells Derived from Different Cytogenetic Type Plants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 Jae-Wook BANG;Jae-hyun PARK;Eun-Young Choi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63
    • /
    • 1994
  • 세포유전적 유형이 다른 무릇 (Scilla scilloidise Coplex)의 조직배양에서 유도된 캘러스에서 염색체 변이를 조사하였다. AA유형의 캘러스에서 심한 수적, 구조적 변이가 관찰된 반면, BB 유형의 캘러스 세포에서는 상염색체의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질 4배체인 AABB유형에서는 두개의 hypoploid 세포만 관찰되었으나, B게놈의 진정4배체인 BBBB유형에서는 hypoploid 세포와 함께 hyperploid 세포가 관찰되었다. 캘러스 세포에서 상염색체의 안정성은 B염색체를 지닌 식물에서 유도된 캘러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배양세포에서 B염색체가 상염색체의 안정성에 선택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

Inherently Chiral Calix[4]arene

  • 노광현;김종은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1호
    • /
    • pp.1122-1125
    • /
    • 1995
  • Three inherently chiral calix[4]arenes 3-5 were synthesized as racemate starting from the ethylation at 1.3-distal hydroxy groups of calix[4]arene 2 which has two phenyl groups at upper rim in AABB fashion, and then two remaining hydroxy groups were acetylated by treatment with acetyl chloride in the presence of NaH to produce calix[4]arene 4. Treatment of 4 with AlCl3 under Fries rearrangement conditions, only one acetyl group was rearranged to the para-position to afford calix[4]arene 5 with AABC substitution pattern at the upper rim of calix. The structure of chiral calix[4]arenes were confirmed based on NMR and massspectra.

변형 물체를 위한 GPU 기반 병렬 충돌 감지 (GPU-Based Parallel Collision Detection for Deformable Objects)

  • 성낙준;김민상;홍민;최유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1호
    • /
    • pp.25-32
    • /
    • 2018
  • 변형물체 시뮬레이션은 강체 시뮬레이션에 비해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충돌 검사 방법을 필요하다. 그러나 CPU 기반의 충돌 검사 알고리즘을 그대로 GPU 환경에 적용할 경우 GPU의 성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GPU 환경에 최적화된 충돌 감지 알고리즘과 자료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형 물체 표현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질량-스프링 시스템을 위한 GPU 기반의 병렬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AABB-옥트리 구조를 이용한 GPU 기반의 컬링 알고리즘을 통해 충돌 감지 비용을 줄이는 병렬 알고리즘과 자료 구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삼각형 쌍의 충돌을 병렬로 검사하는 기존 방법과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평균 약 24%의 성능 개선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서 변형 물체에 대한 실시간 시뮬레이션의 성능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