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B stai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폐결핵 진단을 위한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과 AFB 염색진단검사의 정량적 연관성 비교 (Comparison of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Real-Time PCR and Acid Fast Bacilli Staining for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 정태원;김상하;김성현;최재선;김영권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35-341
    • /
    • 2020
  • 본 연구는 Cobas TaqMan MTB 검사(CTM test, Roche Diagnostics, Basel, Switzerland)와 항산균 도말염색검사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반정량적 판정기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201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의뢰된 8,389개의 검체에 대해 결핵균 도말 검사, 배양 검사 및 CTM 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AFB 염색과주기의 연관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TM 검사의 임계 값(Ct)값으로, 결핵균 검출방법의 반정량적 판정기준을 설정 하였다. CTM 검사의 135개의 양성 표본에 대한 Ct값은 항산균 도말염색과 반비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s=-0.545, P<0.01). CTM 검사와 항산균 염색 등급의 음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었으며, 임상 기준에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임상적 의의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반정량적 기준은 병원에서 활동성 결핵 및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환자의 빠른 진단의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활동성 폐결핵의 HRCT 소견 : 객담 도말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비교 (High-Resolution CT Findings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Different Features Between AFB Stain Positive and Negative Group)

  • 안전옥;윤보라;정진영;김유경;백만순;김기업;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709-719
    • /
    • 2000
  • 연구배경 : 폐결핵의의 활동성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객담검사에 더불어 HRCT가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객담 도말 및 배양검사의 결과와 HRCT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3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을지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를 대장으로 객담도말 및 배양검사와 HRCT를 시행하여 객담검사 결과에 따라 1군(도말(-)배양(-)군), 2군(도말(-)배양(+)군), 3군(도말(+),배양(+)군)으로 분류 하였고, 각 군에서의 HRCT소견을 비교하는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도말(+),배양(+)인 3군에서는 acinar nodule, macronodule, cavity가 각각 100%. 75%, 75%로서 도말(-)배양(-)인 1군(63%, 18%, 9%)과 도말(-)배양(+)인 2군(46%, 15%, 23%)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centrilobular nodule and branching structure는 3군(92%)이 1군(54%) 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나(p<0.05), 2군(77%)과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객담 항상균 도말 양성군은 음성군에 비해 acinar nodule(100% vs 54%), macronodule(75% vs 17%), cavity(75% vs 1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결핵균 배양 양성군은 음성군에 비해서 acinar nodule(72% vs 45%), cavity(48% vs 9%)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다(p<0.05). 결론 : 임상증상과 흉부 X-선으로 활동성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HRCT는 활동성 판정에 도움이 되며, centrilobular nodule and branching structure, acinar nodule, macronodule, cavity등의 소견은 객담 도말 검사상 음성이라도 항결핵제 투여와 함께 균 동정을 위한 유도객담 및 기관지경 검사의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결핵균과 비결핵성항산균 검출에 Real-time PCR의 유용성 (Usefulness of Real-time PCR to Detect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 윤은영;조수희;고세일;백종하;김유은;마정은;이기동;조유지;정이영;김호철;이종덕;김선주;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4호
    • /
    • pp.250-255
    • /
    • 201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cently develope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kit to detect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a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in respiratory specimens. Methods: We assessed the positive rate of the real-time PCR assay to detect MTB and NTM in 87 culture-positive specimens (37 sputum, 50 bronchial washing), which were performed real-time PCR by using $Real-Q_{TM}$ MTB&NTM Kit from January 2009 to June 2009, at Gyeongsang University Hospital. To compare the efficacy with the TB-PCR assay, we evaluated 63 culture-positive specimens (19 sputum, 44 bronchial washing) for MTB or NTM, which were performed TB-PCR by using ABSOLUTETM MTB II PCR Kit from March 2008 to August 2008. Results: Among 87 specimens tested using real-time PCR, MTB and NTM were cultured in 58 and 29,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of real-time PCR assay to detect MTB was 71% (22/31) and 92.6% (25/27) in AFB stain-negative and stain-positive specimens. For NTM, the positive rate of real-time PCR was 11.1% (2/18) and 72.7% (8/11) in AFB stain-negative and stain-positive specimens. Among 63 specimens performed using TB-PCR, MTB and NTM were cultured in 46 and 17,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of TB-PCR was 61.7% (21/34) and 100% (12/12) in AFB stain-negative and stain-positive specimens. TB-PCR was negative in all NTM-cultured 17 specimens. Conclusion: TB/NTM real-time PCR assay is useful to differentiate MTB and NTM in AFB stain-positive respiratory specimens and it is as effective in detecting MTB with TB-PCR.

Tuberculosis-Infected Giant Bulla Treated by Percutaneous Drainage Followed by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Case Report

  • Heo, Jeongwon;Bak, So Hyeon;Ryu, Se Min;Hong, Yoon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408-411
    • /
    • 2021
  • Tuberculosis (TB)-infected giant bullae are rare. A 55-year-old man was referred when an infected bulla did not respond to empirical treatment.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giant bulla in the right upper lobe with an air-fluid level and surrounding infiltrate. Sputum culture, acid-fast bacilli (AFB) stai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TB were negative.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bullous fluid was performed. AFB stain and PCR were positive in the drained fluid. The patient was given anti-TB drugs and later underwent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To summarize, we report a patient with a TB-infected giant bulla tha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anti-TB drugs and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기관 및 기관지 결핵 61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 안철민;김형중;황의석;김성규;이원영;김상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4호
    • /
    • pp.340-346
    • /
    • 1991
  •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is defined as a specific inflammation of the trachea or major bronchi caused by the tubercle bacillus and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of pulmonary tuberculosis. It had been a diagnostic challenge in prebronchoscopic era and since 1968, fiberoptic bronchoscopy has been accepted as a safe and valuable diagnostic procedure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Now, it remains a troublesome therapeutic problem due to its sequelae such as bronchostenosis, bronchiectasis and bronchial deformity. The authors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al findings and bronchoscopic findings with pathologic and bacteriologic study on 61 cases of tuberculous tracheobronchit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fourth decade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3.4. 2)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86.9%) and followed by sputum (49.2%), dyspnea (27.9%), fever (19.8%), weight loss (11.5%), hemoptysis (6.6%), hoarseness (6.6%) and chest discomfort (3.3%) and localized wheezing was heard in 18%. 3) In chest X-ray, consolidation with collapse was observed in 70.5%, and followed by consolidation only (18.0%), mediastinal node enlargement (8.2%), cavitary lesion (6.6%), suspicious hilar mass (3.3%) and miliary lesion (1.6%) and there was no abnormal findings in 4.9%. 4) Bronchoscopy showed hyperplastic lesion in 67.2%, mucosal lesion (18.0%), ulcerative lesion (9.8%) and stenotic lesion (4.9%). The most common site of bronchial lesion was right upper bronchus (36.1%) and followed by right main bronchus (34.4%), left main bronchus (29.5%), left upper bronchus (16.4%), right middle bronchus (8.2%), right lower bronchus (6.6%) and left lower bronchus (3.3%). 5)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or without caseation necrosis on microscopic examination was confirmed in 69.7%, bronchial washing AFB stain was positive in 34.1%, pre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88.1% and postbronchoscopic sputum AFB stain was positive in 30.1%.

  • PDF

결핵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간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Various Clinical Methods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 최석철;정천환;성희경;김태운;이원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1-200
    • /
    • 1999
  • 최근 다약제 내성균주의 출현과 후천성 면역결핍증으로 인한 결핵발병률의 증가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신뢰할 만한 진단법은 결핵 박멸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필요조건 중의 하나일 것이다. 본 연구는 1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폐결핵 진단의 전통적 방법들 (X-선, 항산성 염색, 배양)과 PCR법간의 진단적 가치와 효율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흉부 X-선 소견 및 검사 결과 그리고 다른 임상 소견들을 통해 결핵으로 확진된 예는 전체 171건의 검체 중 39예 (22.8%)였다. 이러한 확진을 근거로 할 때 각 검사별 민감도, 특이도, 효율성, 위양성률, 위음성률을 살펴보면 흉부 X-선의 경우 각각 69.2%, 87.1%, 83.0%, 12.9%, 30.8%; 항산성 염색의 경우 79.9%,95.5%,91.8%,4.6%, 20.5%; 배양의 경우 56.4%,99.2%,89.5%,0.8%,43.6%; PCR의 경우 82.1%, 96.2%, 93.0%,3.8%, 17.9%였다. PCR의 경우 가장 높은 민감도 및 효율성과 가장 낮은 위음성률을 보였다. 배양법은 가장 높은 특이도와 가장 낮은 위양성률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PCR은 결핵 진단을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우수한 검사 방법이므로 일상적 임상 검사로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그러나 전통적인 여러 방법들 역시 임상상황에 따라 그 나름대로의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철저한 정도관리를 통해 PCR과 병행 한다면 결핵균 검출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Study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Isolated from the Theater Environment

  • Choi, Seung-Gu;Song, Woon-Heung;Kim, Dae-Jeung;Lee, Jae-Sa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5
    • /
    • 2015
  • The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have been found in different environmental sources. They tend to colonize different body surfaces and secre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sence of NTM in the theater environment. Fifty of Theater environment sample were examined using acid-fast stain, Lowenstein-Jensen medium culture, PCR and DNA-Sequencing. 4 of 50 samples were detected as NFB in AFB stain, L-J medium culture, PCR. and then, All of 4 NTM stains identified as Mycobacterium fortitum type in DNA-sequencing result.

Mycobacterium tuberculosis DNA Detection and Molecular Drug Susceptibility Test in AFB-stained Sputum Slides

  • Jung, Dongju;Lee, Hyeyoung;Park, Sangj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4-28
    • /
    • 2016
  • Tuberculosis (TB) remains an unsolved community health problem since identification of its causing microorganism call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by Robert Koch in 1882. Annually, eight million TB cases are newly reported and 2~3 million patients die from TB. Pulmonary TB is highly infectious and untreated pulmonary TB patients are believed to infect >10 people in a year.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diagnosis of TB are chest X-ray and isolation of the causing microorganisms from patient specimens. Screening of TB is conducted with smeared sputum in slides, and TB is confirmed by identification of MTB in cultured specimens. One of the fatal pitfalls of screening detection for smeared sputum is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MTB and other acid-fast bacilli (AFB) because they are stained equally with Ziehl-Neelsen (ZN) stain. Culture of MTB is the most reliable method for diagnosis of TB but it takes 4~8 weeks. In this report, we suggest a fast and highly-reliable MTB detection method that distinguishes AFB in sputum samples. Purified DNA from the AFB stained slide samples offer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Tuberculosis were used to detect infected MTB in patients. PCR, real-time PCR and 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REBA) methods were applied to purified DNA. Conclusively, the real-time PCR method was confirmed to produce high sensitivity and we were able to further detect drug-resistant MTB with REBA.

객담을 이용한 Mycobacteria의 검출과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민감성 비교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putum Sample)

  • 장형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3-89
    • /
    • 2015
  • 결핵(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감염은 아직까지 전 세계에서 높은 유병률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비정형 결핵(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은 최근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이나, 종양, 이식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리 균주의 임상적 의의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항산균 염색을 이용한 객담 도말검사는 결핵균과 비정형 결핵균을 구별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고, 균 분리배양검사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가진 기존의 검사법을 대신하여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여 균 분리배양 검사와 비교하여 보았다. Mycobacteria를 동정하는데 항산균 염색과 3% ogawa 배지를 이용하였고, 균 분리배양 후 M. tuberculosis를 확인하기 위해서 niacin test를 실시한 결과 집락의 DNA를 추출하여 PCR후 동정된 M. tuberculosis와 niacin 양성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이 실험에서 항산성균 염색이 2+ 이상인 객담검체와 집락검체 각각에서 DNA를 추출하여 결핵균을 동정하는 방법으로 M. tuberculosis complex에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insertion sequence (IS) 6110의 특정부위인 547 bp와 285 bp 부분을 증폭한 two-tub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시행하였고, 비정형 결핵균 동정법으로는 mycobacteria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rpoB 유전자 중 일부인 360 bp 부분을 증폭한 후, 제한효소 Msp I을 첨가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시행하였으며, 결핵균과 비정형 결핵균 모두 동정율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1+인 경우는 객담검체에서 PCR한 결과가 31.2%에서 집락검체의 PCR한 결과 93.7%까지 결핵균과 비정형결핵균의 동정율이 높아졌고, trace인 경우 객담검체에서 PCR 결과가 2%에서 집락검체에서 PCR한 결과가 97.9%까지 결핵균과 비정형 결핵균의 동정율을 높일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항산성균 염색 1+이하 일때 객담검체와 집락검체로 PCR을 실시하면 결핵균과 비정형 결핵균의 동정율에 차이가 있고, 배양만으로는 결핵균의 동정은 가능하지만 비정형 결핵균의 동정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배양검사와 PCR 검사 모두를 병행하므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결과를 내는데 도움 될 것이다.

폐결핵 잔단에서 Amplifi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Direct Test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tility of Amplified Mycobacterium Tuberculosis Direct Tes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 박삼석;곽경록;황지윤;윤상명;류기찬;장철훈;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747-756
    • /
    • 1999
  • 연구배경: 폐결핵을 확진하는 방법은 결핵균의 증명이며 결핵균 동정을 하는 고전적인 방법인 항산균 도말 검사와 결핵균 배양 검사에 대해 상호 보완적으로 폐결핵의 보다 신속한 진단을 하는데 있어서 MTD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11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폐결핵이 의심된 187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호흡기검체 267건(객담 187건, 기관지 세척액 94건)에 대해 각각 항산균 도말, 결핵균 배양 검사, MTD를 시행한 결과를 임상 소견과 연관지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객담 검체에서 항산균 도말 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5.6%,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61.9%, 특이도는 85.6%였다. 2) 기관지 세척액에서 항산균 도말 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89.5%, 특이도는 28.6%,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89.5%, 특이도는 67.3%였다. 3) 객담과 기관지 세척액을 합한 경우 항산균 도말검사,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균 도말 양성인 경우에서 결핵균 배양 검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9.7%, 특이도는 20.0%를 보였으며, 항산균 도말 음성인 경우 결핵균 배양 검 사와 비교한 MTD의 민감도는 75.0%, 특이도는 80.3%를 보였다. 4) 결핵균 배양 결과와 비하여 MTD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MTD의 민감도는 67.5%, 특이도는 84.3%였으나 불일치 해결후에 MTD의 민감도는 79.2%, 특이 도는 84.4%를 보여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5) 항산균 도말 음성, 결핵균 배양 음성이며 MTD만 양성인 31예에서 임상 경과 추적 및 항결핵제 치료 반응 웅의 분석에서 14예에서만 최종 폐결핵으로 진단되었으며 이 경우 MTD의 민감도는 45.2%였으며 진성 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항산균 도말 음성, MTD 음성에서 mycobacterium species로 자란 13 건의 검체에서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nontuberculous mycobacteria를 분리하기 위해 accuprobe M.tuberculosis complex culture kit를 이용하여 11건에서 M.tuberculosis로 배양되었으며 2건(17.3%)에서 비결핵 항산균이 배양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MTD는 빠르고 정확한 결핵균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폐결핵 진단에 있어서 MTD는 항산균 도말 검사 및 배양 검사와 병행함으로써 유용성이 높으며, 고전적인 진단 방법을 대체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