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F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상추에 대한 Arbuscular 균근균(AMF) 접종원 처리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Lettuce)

  • 위치도;리준시;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8-505
    • /
    • 2010
  • AMF 접종원 처리가 원예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추 (Lactuca sativa L.)에 파종단계와 이식단계에서 수단그라스를 기주식물로 증식한 g 당 30개의 포자와 AMF가 감염된 뿌리, 균사 및 토양이 혼합된 접종원을 처리한 후 이식 전후에 걸쳐 작물의 생장반응과 수량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AMF 포자밀도와 감염률 및 감염양상을 조사하였고, 작물의 무기양분의 흡수양태를 분석하였다. 상추의 파종단계에서 AMF 접종원을 처리한 후 생육반응을 조사한 결과, 파종 후 3주가 경과한 초기에서 AMF 접종원 처리구의 상추는 대조구보다 엽수는 9%, 엽의 생체중은 59%, 엽면적은 58% 및 엽장과 엽폭은 21-22%가 증가하였으며 엽록소함량은 2%가 향상되었다. 파종 후 9주가 경과하여서는 파종단계와 이식단계에서의 AMF 접종원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엽수는 21%와 18%, 엽의 생체중은 51%와 41%, 근체중은 56%와 47%가 각각 증가하였으며 엽록소함량은 18%와 19%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추 엽의 P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식단계에서 AMF 접종원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217%가 증가된 P 함량을 보임으로서 P의 흡수이용이 증진되었고 상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상추 근권토양의 AMF 포자밀도는 상추의 생육초기에 AMF 접종원 처리구가 대조구의 3배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9주가 경과하였을 때는 276-295%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AMF 감염률 또한 대조구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생육 후기에는 낭상체와 균사가 치밀하게 발달됨으로서 AMF 의존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Effectiven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oculation on the Growth of Perilla

  • Wee, Chi-Do;Sohn, Bo-Ky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8-416
    • /
    • 2010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MF on the growth of horticultural crops, we compared mycorrhizal and non-mycorrhizal plants, perilla (P. frutescens Britt.), that were inoculated with AMF propagules. In the early stages of growth of perilla, compared to the AMF- perilla seedlings, in AMF+ perilla seedlings at 3 weeks after sowing, leaf length and width increased 17% and 29%, leaf area increased 28%, and shoot fresh weight increased 33%, root total length increased 1%,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3%. Further at 10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 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leaf area increased 21% and 19%, shoot length increased 19% and 17%,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7% and 20%,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5.1% and 4.8%, respectively. Moreover, at 14 weeks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AMFperilla plants, in perilla plants inoculated with AMF at the sowing and transplanting stages,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16% and 20%, root fresh weight increased 16% and 17% significantly. Further, leaf fresh weight increased 9% and 11%, shoot diameter increased 4.5% and 7.3%,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1.5% and 2.5%, respectively. The levels of many macronutrients and micronutrients were tend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AMF+ plants than in AMF- plants, suppor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MF and enhanced growth of plants grown from AMF+ seedlings.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배양액 농도와 Arbuscular 균근균 처리가 분식 미니 장미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Miniature Rose in Ebb and Flow System)

  • 이범선;이인호;지성희;손보균;조자용;강종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2-119
    • /
    • 2004
  • 분화장미의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와 AMF(Arbuscular Mycorrhizal Fungi) 접종 및 접종시기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관수(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일본 원예시험장 배양액을 6농도(0.125, 0.25, 0.5, 1, 2, 4배)로 처리하고, AMF를 무접종, 삽목 시 접종 및 정식 시 접종 처리하여 식물을 재배하였다. 배양액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지 침출액의 EC가 높아졌으며, AMF무접종 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의 배지 침출액 EC변화는 유사하였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EC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배지 침출액의 pH변화는 AMF무접종처리구와 삽목 시 AMF접종처리구가 서로 비슷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의 경우 pH변화가 크지 않고, 배앙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배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 건물중과 엽면적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AMF접종처리에 의해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개화단축 및 개화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삽목 시 AMF접종처리보다 정식 시 AMF접종처리가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에 있어서도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액농도의 증가에 의해 N, P, K, Na 및 Mn의 엽중함량이 증가되었으며, AMF접종에 의해서도 증가되었으며, 정식 시 AMF접종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시설재배지 무경운 토양에서 녹비작물별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감염양상과 포자밀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양승구;서윤원;김병호;손보균;위치도;이정현;정우진;박노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5
    • /
    • 2011
  • 월동 녹비작물 재배가 시설 토양과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균근균 포자밀도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월동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기주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수는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기주 작물별 균근균 활성 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쇠별꽃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고추를 무경운 정식하여 재배한 토양의 AMF 포자 밀도는 대조구와 녹비작물 종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녹비작물 재배 토양의 AMF 밀도보다 후 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의 AMF밀도는 감소되었으나, AMF 밀도의 균일도는 증가되었다. 한편 보리 녹비작물을 예취하여 제거한 토양의 AMF포자 밀도는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 토양 균근균의 기주작물별 포자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녹비작물 재배 후작물로 고추를 재배한 토양에서 분리된 AMF포자 형태와 크기도 동일하였다. 녹비 작물별로 뿌리의 내생 균근균 감염율이 쇠별꽃,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낮은 경향이었으나, 보리 녹비의 감염율은 유의성 있게 높았다. 고추 뿌리 내의 AMF 감염율은 녹비작물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보리 녹비를 예취하여 제거한 처리의 감염율은 보리 녹비작물을 전량 토양에 투입한 처리 보다 높았다. 녹비작물 뿌리와 고추 뿌리의 내생 균근균의 주요 감염구조는 뿌리의 내부균사(Internal hyphae)로 균사간의 Network가 매우 발달되었다. 그리고 녹비작물과 고추 뿌리에서 Arbuscule이 형성되었으며, 근권 토양의 AMF포자밀도와 고추 뿌리 감염율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없었다.

전남 완도에 서식하는 동백나무와 그 주변 식물의 근권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Rhizospheres of Camellia japonica and Neighboring Plants Inhabiting Wando of Korea)

  • 이은화;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4-39
    • /
    • 2014
  • 완도의 동백나무 자생지역에서 동백나무의 근권과 주변 일반 식물의 근권 토양을 수집하여 토양 내 수지상균근균(AMF)의 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두 근권은 모두 Acaulospora mellea 포자로 우점되어 있지만 동백나무 근권에 비해 일반 기주식물의 근권에서 AMF종 다양성 지수와 종 수 및 포자 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기주식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A. mellea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A. mellea가 다른 AMF종에 비해 산림 토양 및 목본 식물에 특이적으로 적응된 것으로 생각된다. 두 근권에서 발견된 AMF 군집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동백나무의 근권에서 발견된 AMF 군집간의 유사도가 동백나무 근권 AMF 군집 일반 기주식물 근권 AMF 군집 간의 유사도나 일반 기주식물 근권 AMF 군집간의 유사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백나무 근권이 다른 일반 기주식물의 근권과는 다른 독특한 AMF 군집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식물의 근권 주변의 AMF 군집은 기주식물에 의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Community Structur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Upo Wetland, Korea

  • Park, Hyeok;Ko, Kang-Moon;Eom, Ahn-Heum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5-35
    • /
    • 2018
  •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are one of the most widespread symbionts globally. Owing to their enhanced nutrient absorption capacity, AMF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urvival of individual plants and the ecosystem functioning. Community structures of AMF are affected by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land wetlands have a different environment from common forest soils, therefore, plants inhabiting wetlands may have characteristic AMF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F communities in wetlands, among the species of host plants. We sampled the roots of 3 host plant species,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Trisetum bifidum with rhizospheres from 3 isolated areas in Upo wetland, Korea. We extracted DNA from AMF spores in rhizospheres and the roots of 3 plant species. We amplified 18S rDNA of AMF using AMF specific primer. As a result, we confirmed 9 species from 5 genera in AMF spores, and 5 species from 3 genera in plant roots. Funneliformis caledonium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field soils, on the other hand, Diversispora auranti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plant roots. We confirmed that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AMF communities were different among host plant speci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MF community had specific to host plants in the inland wetland.

  • PDF

우포 습지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 포자의 다양성 (Spore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Upo Wetland)

  • 고강문;박혁;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27
    • /
    • 2019
  • 우포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의 근권 토양에서 수지상균근균(AMF) 포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포자는 형태적 특성과 18S rDNA 염기서열의 분자적 분석을 이용해 동정하였다. 그 결과 6속 9종의 AMF 포자가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종 다양성 지수를 계산하여 분석한 결과 습지에서 AMF 포자의 종 다양성은 식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 미기록종 1종을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pigaea이다. 미기록종 AMF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분자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공생활성에 미치는 해안 간척지 토양환경의 영향 (Effects of Soil Environment on Symbiotic Activ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s)

  • 고성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62-573
    • /
    • 1998
  • 간척연도가 다른 두 간척지의 고등식물의 근권에 존재하는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포자밀도, 공생강도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AMF포자의 수직분포 등을 조사하여 토양특성에 따른 AMF의 공생생활성의 반응, 식물의 인 흡수에 미치는 AMF의 영향 등을 규명하였다. 간척지에서 AMF 포자의 수직분포는 포자가 표토로부터 20cm 깊이 이내에 분포하는데 그 원인은 뿌리의 수직분포, 지하수위 및 토양의 통기(aeration)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토양 특성의 수직분포 중에서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되는 토양요인을 W.C., A-P 및 K이었고, 감소하는 요인은 O.M, Ca 및 Zn이었다. AMF의 공생생활성인 포자밀도와 공생강도는 토양의 pH, O.M., T-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고 W.C., A-P,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두 반응 패턴이 나타났다. 간척지 식물의 인 흡수는 AMF의 공생활성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고, AMF의 공생활성은 토양의 인 함량이 적음에 따라 커짐으로써 식물은 AMF의 공생활성에 의하여 인 함량이 적은 토양에서 많은 양의 인을 흡수하였다.

  • PDF

해안(海岸) 간척지(干拓地)에서 Arbuscular Mycorrhizae(AM)에 관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y on Arbuscular Mycorrhizae(AM) at Coastal Reclaimed Lands)

  • 고성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4-409
    • /
    • 1994
  • 간척년도가 다른 두 간척지의 고등식물 근권에 존재하는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포자밀도, 공생강도 및 소포밀도, 그리고 숙주식물인 산조풀, 띠, 비쑥, 갯개미취 및 사데풀의 식물량과 그외의 요소인,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Zn 함량 및 식물체속 아연의 함량 등을 조사하여 AMF의 생물학적 특성과 식물의 아연 흡수에 미치는 AMF 공생활성의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간척지 식물을 토양의 염분함량에 따라 분류하면 염생식물, 임의염생식물, 중성식물의 순으로 AMF 공생활성이 높았고 생활형으로 분류하면 1, 2, 다년 생식물로 감에 따라 AMF 공생활성이 높았다. AMF 공생활성의 계절 변화는 포자밀도가 고등식물의 생육말기부터 봄까지 커짐으로써 가을에 번식함은 알았고, 공생률은 봄, 여름에 높았고 가을에 낮았다. AMF의 공생활성인 포자밀도와 공생강도 사이는 높은 양의 상관이 나타났지만 소포밀도와 포자밀도 또는 소포밀도와 공생강도 사이에는 상관이 없었다. 식물량과 AMF 포자밀도 또는 공생강도 사이에는 높은 양의 상관이 나타났고, 식물량과 소포밀도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이 없었다. 이 결과로 간척지의 식물량은 AMF 공생에 의하여 증가되고 포자밀도와 공생강도가 AMF 공생활성의 중요한 척도임을 알았다. 아연 흡수는 AMF 공생활성이 높은 식물이 낮은 식물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을 흡수하였다.

  • PDF

녹비작물 재배지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 조사

  • 양승구;서윤원;황인택;김홍재;손보균;위치도;이정현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8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03-109
    • /
    • 2008
  • 고추 시설재배지에 녹비작물 재배가 토양의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보리와 호밀, 헤어리베치, 완두콩을 파종하여 1차 녹비작물 재배 후 토양에 환원하고 고추를 재배한 다음, 2차 녹비작물 재배하여 시설 토양내 Arbuscular 균근균(AMF) 포자밀도 및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AMF포자밀도는 녹비작물 재배지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주작물별 AMF활성포자의 밀도는 보리와 완두콩이 호밀, 헤어리베치 그리고 쇠별꽃에 비하여 높았다. 녹비작물의 기주작물별 AMF포자의 형태와 크기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의 기주 작물별로 뿌리 내 AMF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보리녹비작물에서 감염율이 높았으며 녹비작물의 감염구조는 뿌리내부 균사임이 확인되었고 AMF 균사의 Network도 매우 발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