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F ge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불소도포제에 의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마모저항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rface Changes and the Abrasion Resistanc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Fluoride)

  • 황수현;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3-378
    • /
    • 2010
  • 불소도포와 치면열구전색은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에서 널리 병용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불소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켜 미생물이 서식할 조건을 마련하여 수복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진계 실란트 Concise와 Eco-S를 사용하였고, 대표적인 불소도포제재 1.23% APF gel과 5% NaF Fluoride Varnish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치면열구전색제시편을 각각 5군으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으로 분류하여 마모실험에 의한 무게변화를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구조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를 이용한 마모실험에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에 비하여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에 무게 감소가 증가하였으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에서 무게 감소가 적으며(p<0.05), Eco-S를 이용한 마모실험 결과 또한 같았다(p<0.05). 2. 광학현미경으로 표면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APF gel을 도포한 경우 기질의 소실로 필러가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으며, 각 군 별로는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Ⅴ군의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면열구전색과 불소도포를 당일 시행하는 경우, 불소도포제를 1.23% APF gel 사용 시 4분 보다 1분 도포하며, 1.23% APF gel보다는 5% NaF Fluoride Varnish 도포하는 것이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나노컴포지트에서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적용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 부착량 변화 (CHANGES IN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TO NANOCOMPOSITE RESINS AFTER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APPLICATION)

  • 정영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7-436
    • /
    • 2005
  • 복합레진 표면에 대한 APF gel 도포는 표면을 거칠게 하고 세균 부착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Filtek Z250(FZ), Filtek Supreme Universal(FS)과, 실험적으로 나노충전재를 각각 0%, 3%, 6% 포함시켜 만든 복합레진(E0, E3, E6)으로 제작한 레진 시편을, APF gel을 적용한 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Streptococcus mutans의 부착량과 표면 조도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PF gel을 적용하지 않은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FS에서 가장 적었고, FZ, E3, E6에 대한 부착량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모든 레진군에서 APF gel을 적용한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APF gel을 적용하지 않은 시편에 대한 부착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APF gel을 적용한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레진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FS, FZ, E0, E3, E6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4. APF gel 적용 전이나 후에, 레진군간 표면조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 PDF

불화물 도포에 의한 우식법랑질의 불소함량, 내산성 및 표면경도 변화 (The Effect of Fluoride Agents on Artificial Carious Lesion - Fluoride Uptake, Enamel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

  • Woo-Cheon Kee;Suk-Jin Hong;Sang-Dae Lee;Seong-Sook Jeong;Byung-Goo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7-14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nticarious effects of different fluoride agents(NaF, $NH_4F, TIF_4,$ APF gel, Elmex gel ) on artificial carious lesion. Enamel samples treated with 5 kinds of fluoride agents by pH cycling method were evaluated for fluorine uptake, enamel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reater fluoride uptakes were obtained in carious lesion treated with APF gel and $TiF_4$ solution than in that treated with other fluoride solutions. 2. TiF4 group was more resistant to acid than otter groups,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PF gel group. 3. Surface of enamel specimen was harkened by fluoride application and pH cycling. APF gel was more effective on enhancing surface hardness than control group. 4. APF gel, $NH_4F, TIF_4,$ solution were effective on fluoride uptake, enamel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 PDF

Fluoride Varnish와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이 인공우식 병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연구 (THE EFFECT OF FLUORIDE VARNISH AND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ON ARTIFICIAL CARIES LESION - A MICROCOMPUTED TOMOGRAPHIC STUDY -)

  • 문성권;이재천;김영재;이상훈;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222
    • /
    • 2004
  • 치아 우식의 예방에 있어서 불소 도포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재광화를 촉진하고 탈회를 억제한다. APF gel은 전문가 불소도포용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으나 최근 fluoride varnish가 소개되면서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luoride varnish와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이 인공우식 병소에 미치는 영향을 시편의 화학적 고정이나 절단 없이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과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재광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함이다. 48개의 우식이 없는 건전한 영구 소구치에 인공우식을 유발하고 각 군당 16개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대조군으로 어떠한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2군은 APF gel을 도포하고 1분 후에 gel을 거즈로 제거하여 수세하고 3군은 fluoride varnish를 도포한 후 45분 후에 얇은 varnish 막을 외과용 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그 후 각 시편을 50ml의 인공타액에 3개월 동안 담그어 둔 후 그 사이 기간동안 매달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얻었다. 3차원 영상분석 프로그램으로 재광화 부위의 밀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공우식 부위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2. APF gel군과 fluoride varnish군에서 한 달, 두 달, 세 달 후 밀도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APF gel군과 fluoride varnish군에서 처치전과 처치 한 달 후의 밀도 차이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fluoride varnish군에서 처치 한 달 후와 처치 두달 후의 밀도 차이가 대조군과 APF gel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Fluoride varnish가 APF gel보다 불소 처치 후 두 달, 세 달 후 재광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오래 지속되었다.

  • PDF

수종의 치과용 불소화합물의 물리적 조건에 따른 치질강화에 미치는 영향 (Enamel strengthening effect of the dental fluoride compound)

  • 김주원;이정애;이가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7-764
    • /
    • 2010
  • Objectives : The fluoride coating for caries prevention and strengthen enamel use NaF(sodium fluoride, Junsei Chemical Co., Ltd, Japan) 2% gel, SnF2(stannous fluoride, SIGMA-ALDRICH Gmbh, USA)8% gel and APF(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Sultan health care, USA) 1.23% gel. Methods : After put the enamel piece in these fluoride compound gel, we observed density level. And after measuring the vickers hardness, Got the following conclusions. Results : 1. After settling in the APF 1.23% during 6 days, we observed high density level of enamel surface using 250 magnification scanning microscope. The vacuum of surface packed (in) like sardines. 2. After settling in the APF 1.23% during 6 days, we observed reducing the space between the cluster of enamel surface using 50,000 magnification scanning microscope. 3. The vickers hardness change was very much on the all kinds of fluoride compound gel[2% NaF(sodium fluoride)gel, 8% SnF2(stannous fluoride) gel, 1.23% APF(acidulated phosphate fluoride)gel]. It's all because of reducing the space between the cluster of enamel surface(p<0.001). Conclusions : The vickers hardness change was very much on the all kinds of fluoride compound. It's all because of reducing the space between the cluster of enamel surface.

Micro-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luoride agents on white spot lesions: An in vitro study

  • Hong, Sook-Chan;Lee, Dong-Yul;Kim, Yae-J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5-79
    • /
    • 2022
  • Objective: To investigate remineralizing effect of three fluoride regimens on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around orthodontic bracket by analyzing mineral density (MD) acquired from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Methods: Forty-eight bracket bonded bovine incisors were prepared to create demineralized enamel (DE) surface.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luoride regimen: 1) no fluoridation, 2)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gel, 3) fluoridated toothpaste, and 4) 0.05% sodium fluoride mouthwash. Micro-CT was scanned after demineralization (T0), and 2 weeks (T1) and 4 weeks (T2) of fluoridation. Results: APF gel showed highest remineralization of DE during T1-T0 interval among the groups (p < 0.05); followed by toothpaste, mouthwash and no fluoridation. APF gel and toothpaste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MD after 4 weeks of application (p < 0.05). Conclusions: Remineralization effects of three fluoride regimens were depicted through micro-CT analysis, of which APF gel was most effective.

APF Gel이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3% APF GEL ON THE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 최원혁;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81-289
    • /
    • 2006
  • 현재 소아치과 영역에서 소아의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불소 도포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들은 법랑질 내 불소함량을 증가시키고 보다 안정된 결정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치아 우식증을 예방한다는데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불소도포제재가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종의 심미 수복재료의 표면에 APF gel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lass ionomer cement와 compomer를 이용한 실험에서 APF gel 4분 침적군과 pH 순환군은 인공타액 침적군에 비해 표면 조도가 증가하였다(p<0.01). 2. composite resin인 Charisma와 Z250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모든 군간의 표면 조도의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lass ionomer cement, compomer, composite resin의 순으로 filler의 소실이 많았으며 군별로는 pH 순환군, APF gel 4분 침적군 인공타액 침적군의 순으로 filler의 소실이 많았다.

  • PDF

천연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불소겔이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E IN NATURAL POLYMER ON ENAMEL DEMINERALIZATION)

  • 김지연;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43
    • /
    • 2010
  • 본 연구는 젤라틴과 메틸셀룰로오스를 기저재로 한 불소겔을 제작하고 이들의 높은 점조도와 표면에 흡착하는 능력이 치면에 불소를 오랜 시간 저류시켜 법랑질 탈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소의 전치로 시편 80개를 제작하였으며, (1) APF gel (2) $CavityShield^{TM}$, (3) Gelatin F gel (4) Methyl cellulose F gel 이렇게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시편을 인공우식용액에 72시간동안 보관하여 법랑질을 탈회시킨 후, 표면미세경도 측정법과 편광 현미경하에서 병소의 탈회 깊이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탈회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소를 처리한 experimental side와 처리하지 않은 control side간 미세경도의 차이는 APF를 적용한 제1군에서 71.82(VHN)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CavityShield^{TM}$를 도포한 제2군에서 148.24(VHN)로 가장 큰 차이를 보여 불소바니쉬의 탈회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Gelatin과 methyl cellulose F gel을 도포한 3군과 4군에서 control side와 experimental side간 미세경도의 차이는 1군보다는 높고 2군보다는 낮았으나 3군과 4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인공탈회병소의 깊이를 측정한 결과 APF를 처리한 제1군에서 control side와 experimental side간 병소의 깊이차이는 $16.69\;{\mu}m$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5) 2,3,4군 에서는 병소깊이 측정을 통해 탈회억제효과가 APF군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으나(p<0.05) 각 군 간에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실험적으로 제조된 두 가지 불소겔은 APF gel에 비해 법랑질 탈회 억제효과가 우수하다고할 수 있으며 이는 APF gel에 비해 gelatin이나 methyl cellulose 의 높은 점조도가 불소를 더 장시간 치면에 접촉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가장 우수한 치면 잔류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인정되는 불소바니쉬와 비교하여도 이들의 효과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천연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다양한 불소제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Pulsed Nd:YAG 레이저 조사와 불소화합물 도포가 치아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lsed Nd:YAG Laser Irradiation and Fluoride Compound Applicatin on Acid Resistance of Bovine Teeth)

  • An-Hee Lee;Woo-Cheon K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429-447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fluoride and levels of laser irradiation for the remineralization of decayed teeth. After irradiation with a pulsed Nd:YAG laser and the topical application of fluoride, phosphate and fluoride concentration in enamel were measured. And then the changes on surface enamel using 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re observed. Samples by extraction healthy, permanent, mandibular bovine teeth with no caries were obtained. Among them 371 healthy samples were selected and artificial carious lesions were made. 20 sample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fter irradiation with a pulsed Nd:YAG laser with total energy densities of 10J/$\textrm{cm}^2$, 20J/$\textrm{cm}^2$ for each group. On the teeth, 2% NaF, 1.9% NH4F, 1.6% TiF4 Elmex gel(amine fluoride) and 1.23% APF gel were applied. After pH circulatory procedures, concentrations of fluoride with and Ionalyzer (Orion Research, Model 901, USA) and phosphates with an Uv/V is spectrophotometer (Uvikon 860, Kontrom Co, Switzerland) were measured. By etching the teeth in layers and measuring fluoride concentrations, a profile of fluoride penetration according to depth could be developed. And also the changes on the surface of the enamel using an electron scanning microscope were observed. The comparativ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 1. Phosphate concentration was low in al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eeth treated Elmex gel, irradiated with 10J/$\textrm{cm}^2$ and 30J/$\textrm{cm}^2$ energy densities. Teeth treated with APF gel and 30J/$\textrm{cm}^2$ irradiation gad the lowest phosphate concentration. 2. Among all groups, fluoride concentrations in tooth enamel were highest in APF gel and NaF groups irradiated at 30J/$\textrm{cm}^2$. The APF gel group had the highest fluoride concentrations across all energy densities. 3. In the APF gel group, and the NaF group, the greater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the higher the fluoride concentrations in the enamel. 4. In all groups,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n the enamel by depth tended to decrease with depth. 5.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under the condition of irradiation with 20J/$\textrm{cm}^2$, enamel crack wa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NH4F group, spherical deposits were found on the surface of the enamel, and in the TiF4 group the surface of enamel was covered with an irregular, thin membranous mass in places. In the APF gel and NaF groups irradiated with 10J/$\textrm{cm}^2$, spherical and irregular particles covered the teeth. When these groups were irradiated at 20J/cm2, they were covered with amorphous cryst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e could obtain more effective anticariogenic effects without damage to teeth when less than 20J/$\textrm{cm}^2$ energy densities and APF gel are used.

  • PDF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S BY APF GEL AND CPP-ACP PASTE ON INCIPIENT ARTIFICIAL CARIES OF ENAMEL)

  • 강지선;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84-691
    • /
    • 2008
  • 많은 연구에서 불소 이온을 이용한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재광화 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다. 불소는 치아우식을 예방하고 재광화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하지만 불소를 이용한 재광화는 하부의 탈회 병소를 충분히 광화시키지 못하며 다공성으로 인해 불완전한 광화를 보인다. 또한 그 적용 과정에서 과량이 섭취되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CPP-ACP(Casein Phosphopeptides-Amorphous Calcium Phosphate)는 초기의 우식병소를 재광화 시키며 우유 단백질인 casein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섭취되어도 인체에 무해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PF gel과 CPP-ACP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법랑질 인공우식 병소에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과 CPP-ACP 제제를 각 도포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다. 14일 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편광 현미경 하에서 재광화 병소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 전후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군에서 실험 후에 표면미세경도가 증가하였다(P<0.05). 2.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에서 불소를 도포한 군에 비해 표면미세경도 증가 폭이 유의하게 컸다(P<0.05). 3. 편광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불소도포 군은 불규칙하고 얇은 재광화 층을, CPP-ACP 제제를 도포한 군은 균일하고 두터운 재광화 층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