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Resource Shar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과 일본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Academic Resource Sharing and Service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3-45
    • /
    • 2012
  •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전국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구축하여 소장정보 공동 활용과 해외전자정보 공동 구매, 학술원문 공동 구축을 통한 대학 간 정보 격차 해소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편, 문부성과 NII를 중심으로 우리보다 15년경 일찍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구축한 일본은 대학 소장정보 공유 사업을 시작으로 우리와 비슷한 전개 양상을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정보 환경이 급변하고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변화가 발생하면서, 물리적 소장 자원을 대체하는 전자정보자원의 관리, 오픈 액세스 기반의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비교 연구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 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를 위한 발전 방향을 조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첫번째, 물리적 소장 자원을 대체하는 전자정보자원의 관리 체계 확립, 두 번째, 해외학술정보 공유 유통 체계 재편, 세 번째, 오픈 액세스를 위한 도구로써 기관 레포지토리 활성화, 네 번째, 분산된 학술정보 사업 추진 체계의 일원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E-Metrics 측정지표에 기반한 협력형 레포지토리 평가요소 연구 (Elements for the Assessment of Collaborative Repositories Based on E-Metrics Measurement Standards)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9-172
    • /
    • 2009
  • 전자자원 수집과 관리 영역에 있어서의 발전과 함께 과학기술분야를 필두로 하는 학술 정보자원의 급격한 가격 상승은 전자자원 관리에 있어서의 협력의 필요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대학 및 연구도서관을 중심으로 하여 국가차원의 전자형태 학술 정보원의 효율적 수집과 관리를 위한 협력을 기반으로 한 레포지토리 형태의 학술정보자원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 영역별 학술정보 관리를 위해 협력형 전자자원 관리 프로그램의 구축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NSDL, NTIS, Intute, 그리고 ARROW를 사례로 하여 현재 구축되어 있는 협력형 레포지토리의 다양한 유형들을 중심으로 온라인 정보접근 및 검색경로를 포괄하는 국가차원 혹은 지역 단위의 협력형 레포지토리의 주요 구축 배경과 장서구성 현황을 일별하였다. 그리고 e-metrics 프로젝트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기반으로 협력형 레포지토리가 구축하고 있는 전자자원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여 보았다.

자원공유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mong University Librarians towardes Resource Sharing)

  • 심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4
    • /
    • 2008
  • 대학도서관에서의 자원공유가 활발해지고 고도화됨에 따라 이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들이 자원공유에 대한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에 기반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78명의 대학도서관 사서들로부터 상호대차, 원문복사, 종합목록구축, 분담수서, 그리고 인적교류와 관련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결과는 사서들이 이미 잘 구축된 자원공유(상호대차, 원문복사, 종합목록구축)에 대해 그렇지 않은 형태의 자원공유 (분담수서, 인적교류) 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서들의 자원공유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개인 특성과의 상관분석이 수행되었고, 다섯 개 영역의 자원공유 각각에 대한 장애요인 또한 도출되었다.

학술자원 공동 활용 기반구축사업 개선 방안 연구 (Implementation Strategy on Sharing Resources to Organizational Change)

  • 김영기;박성호;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7-310
    • /
    • 2009
  • 본 연구는 통합 연구재단의 출범을 앞두고 양 기관에서 운영 중인 학술자원 공동 활용 기반 구축 사업에 대한 개편안을 마련하고, 양 기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사업에 대한 비교 분석 및 장 단점 분석을 통해 향후 통합재단에서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한국과학재단에서 운영 중인 학술자원 공동 활용 기반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관리 서비스 인프라 측면의 현황 분석을 통해 이슈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의 성과와 개선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정보시스템의 통합은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의 주요 영역별 방안을 살펴보았는데, 우선 양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서비스 관련 사업의 운영체제의 통합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학술연구 정보서비스를 창출해 내는 조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양 재단 내 단위 시스템으로 분산되어 정보서비스 시스템들의 통합을 통한 연구자들의 단일화된 통합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A Policy Study on Subject-oriente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to Facilitate Sharing of N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1-139
    • /
    • 2006
  • 대학도서관 자료의 전문화, 세분화된 학술정보자료의 공동수집 및 공동이용은 대학 내 연구의 활성화와 대학간 다양화, 특성화, 지역화를 추진하게 할 것이다. 이것은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대학도서관의 특성화, 차별화 정책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체계를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협력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주제 또는 지역별로 형성된 각종 협의회를 중심으로 주제별 특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지니계수와 파레토 비율을 활용한 학술정보공유 기여에 대한 대학도서관 격차 분석 (A Study on Inequality Analysis of Academic Information Sharing in University Libraries using Gini's Coefficient and Pareto Ratio)

  • 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7-255
    • /
    • 2020
  • 사회 현상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은 상위 20%가 전체 성과의 80%를 차지한다는 법칙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학술정보 공유 협력체에서도 파레토 법칙이 발견되고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통해 대학 간에 나타나는 학술정보 공유 기여 정도에 대한 격차를 수치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학술정보 공유 협력 사업에서 상위 20%의 대학도서관이 81.2% 이상의 실적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정보 기여에 대한 격차는 평균 0.78로 매우 심각한 상태를 나타냈다. 대학도서관의 규모를 감안하여 재계산한 지니계수도 일부 사업에서만 균등한 쪽으로 조금 조정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대학의 형태에 따라서는 전문대학도서관 간의 격차가 4년제 대학도서관보다 극심하였으며, 국립대학도서관보다는 사립대학도서관간의 격차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규모와 학술정보 기여 정도에 따라 참여도서관의 분포를 시각화한 결과, 압도적인 기여 수준을 보이는 대규모 도서관이 존재하였으며, 도서관의 규모는 작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기여 수준을 보이는 도서관도 분포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윤정옥;심경;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1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주요한 기능적 특성을 검토 및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의 다양한 사례와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물리적 시설, 부지의 확보와 건축, 운영 방안, 소장자료의 성격과 규모 자료의 소유권, 자료의 이용과 서비스 자료관리와 접근 시스템의 모형 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는 교내 공간의 최적의 활용성을 보장하고, "마지막 한 부"를 보존하며, 보존자료의 이용 효율을 보장하는 시설로 구축되어야 하며, 지역별, 권역별 단위 구축, 목적용 고밀도 저장시설의 신축, 인쇄자료 중심의 장서구성, 공동소유권의 인정 및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서관리 및 접근 시스템의 채택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국가대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Reciprocal Borrowing Scheme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곽동철;심경;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3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의 국가대출체계의 구축 및 운영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주요한 다른 나라의 대학도서관들 사이에 자원공유를 위한 전략적 대안으로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 혹은 지역대출체계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대출체계 선도기관의 확정, 방문관리, 상호수혜, 재정 지원 등과 같은 운영방침의 설정, 이용자 자격과 서비스 범위, 통합관리시스템 지원 등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 PDF

외국(外國) 학술잡지(學術雜誌)의 국내 소장현황(所藏現況)과 문제점 (Collection of Foreign Academic Journals in Domestic Libraries : Status and Issues)

  • 김석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24권3호
    • /
    • pp.57-72
    • /
    • 1993
  • 국내 도서관(圖書館) 및 정보기관(情報機關)이 소장하고 있는 외국학술잡지(外國學術雜誌)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현황파악은 산업기술정보원(産業技術情報院)이 제작한 "외국학술잡지종합(外國學術雜誌綜合) 목록(目錄):과학기술편(科學技術篇)"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하였고, 그 문제점으로는 국내 소장자료가 부족하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복율(重複率)이 높다는 것, 그리고 기관 간의 협력이 미비(末備)하다는 점들이 지적되었다.

  • PDF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 대학도서관의 발전전략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U.S., U.K., Australia and Canad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8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주요 국가들인 미국, 영국, 호주 및 캐나다의 대학도서관들이 인식한 고등교육 환경변화와 문제점에 대응하여 국가나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대책 및 발전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학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들은 대학도서관 예산의 축소와 도서관 역할의 변화, 학술정보자원 가격의 급등과 도서관 구매력의 감소 도서관 콜렉션 속성의 변화, 정보기술의 발전과 정보 기반구조의 요구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 나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고 상이한 발전전략을 갖고 있으나, 대체로 자원공유, 공동목록, 공유저장 시설, 학술정보자원의 공동협상과 구매,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의 측면에 노력이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