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ommodation ratio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남자 대학생의 동거 유무에 따른 에너지 섭취와 식습관의 비교 (The Caloric Intake Status and the Eating Habits in College Male Students Living Alone or Sharing Accommodation with Friends)

  • 박영숙;이보경;이보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0-287
    • /
    • 2003
  •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hared living on nutrient intakes,250 college male students who were living alone (104 men) or sharing accommodation with friends (134 men) were participated. Their average age was 22.6 years, their average height was 171.8 cm, their average weight was 65.6 kg and their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2.2. The caloric intakes of the men living alone or sharing accommodation were 55.9% and 72.5%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respectively. The decreased caloric level of the group living alone seemed to be due to their decreased protein and fat consumption as compared to that of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group living alone consumed increased amounts of fiber for breakfast and half the carbohydrates, but more fat (p < 0.05) in snacks than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daily carbohydrate : protein : fat (C : P : F) ratio averaged 58.6 14.1 27.3, which is a lower carbohydrate and a higher fat ratio than the Korean recommended ratio. However, the group living alone was closer to the Korean recommended ratio than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food intake habits were evaluated as being poorer in the group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less frequent consumption of fried / pan-fried dishes, and fruits / juices, but more frequent consumption of instant / processed foods. In comparing the eating patterns of the two groups, the group living alone showed better eating habits, such as more“breakfast eating”and less“snacking in the morning, afternoon or late at night”whereas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showed better eating habits such as less“picky eaters”and less “eating out”. In the group living alone, their lower caloric intake was assumably due to their fewer side dishes, however they showed higher eating frequencies of instant i processed foods. Since the lifestyle of living alone seems to grow gradually among young men, we strongly recommend dietary education for them.

가입렌즈 도수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CA/C비 비교 (Comparison between Response AC/A and CA/C Ratio according to Additional Spherical Powers and Prism Powers)

  • 노병호;유동식;손정식;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47
    • /
    • 2015
  • 목적: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고, 이 두 변수와 PD 및 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굴절력 및 프리즘 처방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대학생(평균 $22.62{\pm}2.84$세) 62명(남 50명, 여12명)을 대상으로 주시거리 40 cm에서 하웰시표(Howell card)와 개방형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 nippon)를 이용하여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를 측정하였고, CA/C비는 Wesson fixation card(WFC Bernell, USA) 이면의 DOG시표와 개방형굴절력계를 사용하여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이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동공간 거리와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25$으로 나타났으며, PD와 CA/C비는 설명변량 $R^2=0.009$으로 나타났다. 상대조절력과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64$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설명변량 $R^2=0.321$로 상대조절력과의 예측가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와 CA/C비의 설명변량 $R^2=0.126$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는 $0.12{\pm}0.06D/{\Delta}$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상관관계는 상대조절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폭주자극에 대한 폭주성 조절반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 독립적인 변수로 임상에서 낮은 AC/A비를 가진 환자라도 높은 CA/C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양안시 이상에서 프리즘을 처방 할 경우 AC/A비가 정상범위라 하더라도 CA/C비는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조절반응량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의 비교에 의한 근접성 폭주비(PC/A)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PC/A) Ratio by Comparison of Gradient AC/A Ratio and Calculated AC/A Ratio)

  • 한경애;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04
  • 기존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AC/A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Gradient AC/A비를 측정함으로써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를 함께 측정해 봄으로써 Gradient AC/A비 만을 측정했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근접성 폭주비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4명의 검사대상은 최대시력을 단안 각각 1.0이상으로 원용교정을 하였으며 동적 검영법을 실시하여 조절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뒤 각각 Calculated AC/A비와 Gradient AC/A비를 측정하여 PC/A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양안시 이상 그룹별 평균 Calculated AC/A비와 평균 Gradient AC/A비의 차이는 근접성 폭주 때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PC/A비를 포함한 근접성 (proximity)이라는 시기능변수 전반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CA/C비 (CA/C Ratio of 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with Normal Binocular Vision)

  • 이무혁;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8
    • /
    • 2012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폭주성조절(CA/C, convergence accommodation/convergence ratio)비를 평가하고 나이, 조절력 및 동공간거리(PD, interpupillary distance)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눈을 가진 44명(평균나이 $21.75{\pm}1.16$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CA/C비는 가우시안의 차(DOG, difference of Gaussian) 시표를 이용하여 검영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 CA/C비는 평균 $0.052{\pm}0.017$ D/$\Delta$이었다. CA/C비와 나이는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r = -0.50, p = 0.0005)를, CA/C비와 조절력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r = 0.79, p<0.0001)를 보였으며, PD와 CA/C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제시된 CA/C비는 19세에서 25세의 건안상태의 20대 초반 성인을 기준으로 측정한 평균값이다. 조절력과 CA/C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자료는 외국의 자료와 연령별, 성별, 양안시이상별 비교에 기본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근거리 작업 시 종색수차에 따른 양안시의 변화 (Change of Binocular Vision Induced by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Near Work)

  • 김세일;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9-228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업 시 바탕색의 차이에 따른 시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동의하며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사시, 약시가 없는 양안시가 가능한 성인 54명(남18, 여34)을 대상으로 흰색,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구성된 소설을 각각 15분 동안 읽게 한 후 사위도, AC/A비,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상대조절 및 융합력을 측정한 후 근거리 작업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사위도는 바탕색에 관계없이 독서 전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C/A비는 백색 바탕색을 제외한 다른 바탕색의 책을 읽은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폭주근점은 바탕색별로 모두 독서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우위안 및 비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은 독서 후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양안조절용이성의 경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성상대조절은 모든 바탕색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양성상대조절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융합력의 경우 바탕색의 각 파장별 원거리 BO 분리점과 원거리 BO 회복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일정시간의 근업 시 동일한 조절과 폭주량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빛의 파장에 따라 폭주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므로 다양한 색채인지를 요구하는 근거리 작업 시에는 주가 되는 파장에 따라 작업환경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조절성 폭주비(AC/A) 측정에 의한 양안시 기능 분석 (The Analysis of Binocular Vision Function by measuring Accommodative Convergence(AC/A))

  • 강인산;서용원;최지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64
    • /
    • 2005
  • 조절과 폭주기능은 밀접하게 연관된 합동운동으로 폭주와 조절 어느 한 쪽이 자극되면 양기능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 중 조절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폭주를 조절성 폭주라고 하며, 눈의 굴절상태에 따라 과부족이 있다. 본 연구는 조절성 폭주비와 사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그래디앤트(Gradient)법과 헤트로포리아(Heterophoria)법 둘 다 모두 사용하여 안과적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41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1. 원거리 사위분포를 조사한 결과, 정위 5명, 외사위 32명, 내사위 4명으로 외사위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근거리 사위분포도는 원거리보다 넓게 퍼져서 분포하고 있었다. 2. 수정체의 조절력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수평사위량 측정시, 38명이 외사위량이 증가하였다. 3. 정상 AC/A ratio에 해당하는 $4{\sim}6{\Delta}/D$를 갖는 사람이 Heterophoria법에서는 27명으로 약 66%를, Gradient 법에서는 16명으로 39%를 각각 차지하고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Binocular Function and Surgical Outcomes of Tenacious Proximal Fusion and High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Ratio Types of Intermittent Exotropia

  • Park, Jun Woo;Lee, Soo Jung
    •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 /
    • 제32권6호
    • /
    • pp.483-487
    • /
    • 2018
  • Purpos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tenacious proximal fusion (TPF) and high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ratio (AC/A) types of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enrolled 40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23 with TPF and 17 with high AC/A. Binocular function was evaluated by Worth's 4-dot test. Patients underwent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as less than ${\pm}10$ prism diopters (PD)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proportion of diplopia at near, evaluated by Worth's 4-dot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high AC/A than in those with TPF (35.3% vs. 4.3%, p = 0.029). The mean preoperative angles of deviation in TPF and high AC/A types were $28.3{\pm}4.4$ and $28.8{\pm}4.5PD$ at distances, and $14.7{\pm}4.2$ and $15.1{\pm}4.1PD$ at near. Twelve months after surgery, the mean angles of deviation in TPF and high AC/A types were $2.9{\pm}9.8$ and $1.2{\pm}9.6PD$, respectively, at distance and $1.7{\pm}7.7$ and $-1.3{\pm}11.3PD$ at near. The surgical success rates were similar in the TPF and high AC/A types (74.0% vs. 64.7%). Five (21.7%) patients with TPF and 2 (11.8%) with high AC/A type experienced recurrence, with consecutive esotropia occurring in 1 (4.3%) patient with TPF and 4 (23.5%) patients with high AC/A.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diplopia at near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igh AC/A type than in those with TPF intermittent exotropia. However, the surgical success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ypes.

조절자극 방식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AC/A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 조태식;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3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외사위 교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경사 AC/A 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방법: 타각적 및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를 가입한 후 Howell 시표(3 m용)를 사용하였으며, 근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 -1.00 D, +2.00 D와 -2.00 D를 각각 가입한 후 Howell-Kim(40 cm 용) 시표를 사용하여 사위검사와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는 평균 외사위 1.17${\pm}$1.17 $\Delta$, 근거리 평균 외사위 3.71${\pm}$2.80 $\Delta$으로 나타나(t-test. p < 0.001), 원근거리 사위의 상관관계(r = 0.59, p < 0.001)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사 AC/A 비는 측정거리와 조절자극에 따라 다양하였고(r = 0.11~0.53. p < 0.001) 측정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자극이 클수록 높았다. 또한 플러스 굴절력보다 마이너스 굴절력에 의한 조절자극이 높게 나타났다(t-test. p<0.001). 또한 계산 AC/A 비가 클수록 경사 AC/A 비는 오히려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1.00 D 부가한 경사 AC/A 비는 원거리가 1.30 $\Delta$/D 근거리가 1.68 $\Delta$/D로 근거리 AC/A 비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t-test. t=1.67,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음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고,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경사 AC/A 비보다 작지만 유의적 수준의 차이를 보여 원거리 외사위의 교정은 원거리 경사 AC/A비를 반드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상 Ti3Al-xNb 계 금속간 화합물들의 초소성 특성에 미치는 상분율의 영향 (Effects of α2/β Volume Fraction on the Superplastic Deformation)

  • 김지식
    • 소성∙가공
    • /
    • 제11권5호
    • /
    • pp.447-456
    • /
    • 2002
  • A study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boundary sliding and its accommodation mode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of $\alpha$$_2$/$eta$ volume fraction during superplastic deformation of two-phase Ti$_3$Al-xNb intermetallics. Step strain rate and load relaxation tests have been performed at 950, 970 and 99$0^{\circ}C$ to obtain the flow stress curves and to analyz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by the theory of inelastic de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in matrix deformation and boundary sliding of the three intermetallics containing 21, 50 and 77% in $eta$ volume fractions are well described by the plastic deformation and viscous flow equations. Due to the equal accommodation of both $a^2$ and $\beta$ phases, the accommodation modes for fine-grained material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iso-strain rate models. The sliding resistance analyzed for the different boundaries is the lowest in the $\alpha$$_2$/$\alpha$$_2$ boundary, and increases in the order of $\alpha$$_2$/$\alpha$$_2$<< $\alpha$$_2$/$\beta$ = $\beta$/$\beta$,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superplasticity of the alloys with the various $\alpha$$_2$/$\beta$ phase ratio.

VDT 증후군 개선을 위한 렌즈의 임상성능 분석 (li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Lens for Improving VDT Syndrome)

  • 유근창;박지훈;전진;진문석;채수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51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단초점렌즈와 VDT 증후군 개선을 위해 설계된 기능성렌즈를 착용하고 4시간 동안 VDT 작업 전과 후의 임상성능과 시각적인 문제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비교 분석하자 한다. 방법: 20~45세의 남 여 30명을 대상으로 단초점렌즈와 기능성렌즈(ad Plus, HANDOK OPTEC Co.)를 각각 착용시킨 후 4시간 동안 VDT 작업 전과 후의 근거리 및 원거리시력, 등가구면굴절력의 변화, 조절근점, 폭주근점, AC/A ratio, 조절용이성 등을 검사하고, 시각적인 문제에 대한 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기능성렌즈를 착용했을 때 근거리시력,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시간 동안 VDT 작업 후의 시각적 문제점에 대한 항목의 평균 점수는 단초점렌즈에서 3.63 ${\pm}$ 0.75이고, 기능성렌즈에서 4.69 ${\pm}$ 0.83으로 기능성렌즈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기능성렌즈가 단초점렌즈보다 4시간 동안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및 시각적 문제점 개선에 도움이 되는 우수한 렌즈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