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atina fulic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두 종의 달팽이류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사이의 타액관의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Ultrastructure of Salivary Ducts between the Two Species of Snail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 장남섭;한종민;김상원;이광주;황선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89-100
    • /
    • 2000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및 산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타액을 분비하는 관들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chatina fulica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대부분 원형또는 타원형의 도우넛(dough-nut)형태로서 관을 구성하는 내강세포는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세포질은 손가락 마주끼기와 같은 많은 주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의 세포상단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소엽내관과 소엽간관은 불규칙한 단층원주상피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 속에는 다소 불규칙한 구형의 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다. 세포의 상단에는 미세융모의 발달이 미진하였다. Achatina fulica의 타액관은 내강이 비교적 좁은 긴 관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내강상피세포들은 세포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세포질 속에는 많은 공포와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과립들로 가득 차 있었고 이들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길이가 짧고 가늘은 미세융모가 발달해 있었다. 반면 Incilaria fruhstorfer의 타액관은 Achatiana fulica의 타액관 보다 그 직경이 $65\times250{\mu}m$정도로 더 넓었으며 같은 구조의 내강상피로 구성되어 있었고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치밀반과 같은 연접장치가 자주 관찰되는 특징도 보였다. Achatina fulica와 Incilaria fruhstorferi 타액선내 혈관들은 타액선 세포사이에 있는 결합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내피세포들은 대부분 불규칙한 구조이고 전자밀도는 높아서 어둡게 관찰되었다. 이들은 사상족을 내어 포식현상을 보였다.

  • PDF

병안목 달팽이류 두 종간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의 타액선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alivary Gland between Two Specie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of the Snails in Stylommatophora ( Mollusca, Gastropoda ))

  • 한종민;장남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21
    • /
    • 1996
  • Histochemical experiment was carry out respectively to confirm the properties of the salis (Achatina fulica and Incilaria fruhstorferi). SDS-PAGE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invertigate the distribution aspects of protein patterns between the two species. Five types(A, B, F, H and I)of gland cells with four neutral mucopolysaccharide cells and one acid mucopolysaccharide cells and one acid mucopolysaccharide cell were observed in acinous of Achatina fulica, while six types were observed in acinous of Incilaria fruhstorferi: ond acid mucopolysaccharide cell(type-A) and four neutral mucopolysaccharide cells(type-B, C, D and F) and one cell that acid mucopolysaccharide is only mimbrane that surrounded granule(type-E). The results are follows:The thpe-A fland cell is commonly observed between the two species. The type-A gland cell in Achatina fulica possesses a nucleus with a developed heterdchromatin, and the cytoplasm was filled with round granules. The granules were surrounded with an uncertain boundary mimbrane and confirmed with neutral mucopolysaccharides, but is confirmed acid mucopolysaccharide in Incilaria fruhstorferi.The type-B gland cell is obwerved in the two species, too. The type-B gland cell in Achatina fulica was round shaped, and included an evenly alrge nucleus. The uncleoplasm included granules that were confirmed in the neutral mucopolysaccharides of the two species. The type-C and D gland cells exist only in Incilaria fruhstorferi, nucleoplasm was well developed heterochromatins. The type-E gland cell appears in the acinous surrounded the salivary gland of Incilaria fruhstorferi. Thdse granules appear irregular irregular shape and size and the cytoplasm is formed in alveolar. The type-F gland cell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salivary glands of the two species. They are similar with the type-B gland cell, but the granular shape is comparatively small and irregular, and possess the neutral mucos granules. The type-H gland cells are mainly seen in only Achatina, and in nucleus is a well developed heterochromatin. The cytoplasm is filled with round small granules with acid mucopolysaccharide for alcianophilia observed. The type-I cell was small cell with an irregular shape and only observed in the gland cells of Achatina fulica. The heterochromatins were developed in the nucleus and the granules are not observed in cytoplasm.Secretory ducts of saliva are composed of the interlobular duct and interlobar secretory duct. In Achatina fulica the interlobular duct consists of a simple cuboidal epithelium, while the endothelium of intralobar secretory duct of Incilaria fruhstorferi consists of a simple squamous epithelium and in the cytoplasm is filled with granules(type-G secretory cell). A SDS-PAGE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at the protein band pattern consist of salivary gland. In conclusions, five more bands in Achatina fulica and three bands in Incilaria fruhstorferi were confirmed in MW<29 kDa. one main band coincides comparatively with both and is between 29-45 kDa. There are four main bands in Achatina fulica and two main bands in Incilaria fruhstorferi between 45-66.5 kDa respectively. The bands in Achatina fulica seem more complex than in incilaria fruhstorferi.

  • PDF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내 신경근연접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neuromuscular Junction in the Mantle Edge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한종민;황선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5-83
    • /
    • 1998
  • 아프리키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mantle edge) 내 근육 속의 신경근연접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경근연접종말의 형태는 방추형이거나 불규칙형이었으며, 연접막과 근형질막상이 연접간극(synaptic cleft)의 넓이는 30mm 정도로 나타났다. 연접강속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00mm)과 중등도는 과립(직경 70mm)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직경70mm)등 3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연접종말의 외측에는 0.2 - 0.4$\mu\textrm{m}$ 정도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이 존재하였다.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둥근 과립 중 일부는 연접막 밖으로 배출(exocytosis) 되었으며, 근형질막과 연접막이 합체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근형질(sarcoplasm)내에서 수축성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섬유의 배열은 불규칙하였으며, 세포질성 치밀체(cytoplasmic dense body)도 관찰되었다.

  • PDF

식용 달팽이 [Achatina fulica]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김인혜;현진원;이재화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24
    • /
    • 2006
  • 식용 달팽이 (Achatina fulica])의 추출물 RM 60을 사용하여 E. coli D31을 대상으로 순수한 항균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한 항균성 물질은 MALDI-TOF Mass spectrometra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1392.64 Da 단일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 후 Edman 분해법을 이용한 peptide sequencer를 사용하여 일차구조 분석을 조사하고 있다.

  • PDF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난모세포 성숙에 관한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Maturation of Oocyte in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한종민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4호
    • /
    • pp.367-376
    • /
    • 2000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의 난모세포 성숙과정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3단계 과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제1기 난모세포는 그 크기가 $220\times400{\mu}m$정도의 작은 타원형의 세포로서 밝은 핵질속에 2개의 인이 존재하였다. 세포질에는 많은 수의 사립체와 조면소포체 그리고 리보솜이 있었으며 난황과립들은 관찰되지 많았다. 제2기 난모세포의 핵은 세포질의 용적에 비해 비교적크고 한 개의 인을 소지하고 있었다. 내, 외 이중막으로 구성된 핵막에는 많은 핵공이 관찰되고 이를 통해 물질 이동 현상이 관찰되었다. 세포질에는 많은 수의 사립체, 골지체 그리고 지방성 난황과립들이 출현하였으며, 대, 소형의 공포(직경, $0.8\sim3.0{\mu}m$)들 속에는 단백질성난황 과립들이 형성, 성숙되고 있었다. 제3기 난모세포는 핵에 비해 핵소체의 크기가 증대되었고 핵공을 통한 물질이동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질 속에는 성숙된 단백질성난황과립과 지방성난황과 립들로 가득 차 있었으며, 난막의 주위에는 미세융모가 발달해 있었다.

  • PDF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a New Glycosaminoglycan, Acharan Sulfate Isolated from the Giant African Snail Achatina fulica

  • Shim, Jin-Young;Lee, Yeon-Sil;Jung, Sang-Hoon;Choi, Hyung-Seok;Shin, Kuk-Hyun;Kim, Yeong-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889-894
    • /
    • 2002
  • Acharan sulfate (AS) is a glycosaminoglycan (GAG) prepared from the giant African snail, Achatina fulica. In this study, some biological activities of A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structural similarities to heparin/heparan sulfate and the biological functions of GAGs. We demonstrated that it exhibited strong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as measured by carbon clearance test in mice and in vivo phagocytosis. It also exhibited a significant hypoglycemic activity in epinephrine (EP)-induced hyperglycemia as well as antifatigue effects by weight-loaded forced swimming test. And it showed hypolipidemic activities in cholesterol-rich mixture induced hyperlipidemia in rat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S has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and suggest therapeutically important target molecules.

Cellulase Activity of Symbiotic Bacteria from Snails, Achatina fulica

  • Kim, Jon Young;Yoon, Sae Min;Kim, 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628-640
    • /
    • 2015
  • Cellulase is the key enzyme in the use of cellulose-based biomaterials. Because of its structure, cellulose is difficult to be degraded by enzymes. In order to utilize cellulose-based biomaterials efficiently, evolutionary wisdom of how to use enzymes accurately and harmoniously in a biological system is needed, such as the cellulose digestive system in animals. In this study, the symbiotic bacteria from snails, Achatina fulica, were identified and their cellulase activity was evaluated. The 16S rRNA sequence analysis of 100 aerobic bacteria showed that they belonged to 9 genus and almost half of the bacteria were Lactococcus spp. Among 100 identified strains, only two Aeromonas sp. strains showed cellulase activity. Aeromonas sp. KMBS020 had both endo-${\beta}$-glucan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but Aeromonas sp. KMBS018 had ${\beta}$-glucosidase activity only. None of the 100 bacterial colonies had any cellobiohydrolase activity.

식용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정자의 축사형성 (Axoneme formation)에 관한 미세구조 (A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Axoneme Formation in the Spermatozoa of the Edible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513-525
    • /
    • 1998
  • The spermatogenetic process in the edible giant snail is similar to those in the other snails, except for the axoneme form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axoneme formation process in the giant snail was mainly examined by means of electron microscopy. The tail portion of a spermatozoon is about $160{\mu}m$ long, and extends straight to the rear, surrounded by two large and long mitochondria in spiral forms. A number of glycogen particles $(40\sim70nm)$ are found in the swollen matrix of the mitochodria. The axoneme which composes the tail of a spermatozoon is surrounded by $7\sim10$ lamella-form fibrous sheaths of about $0.2{\mu}m$ in thickness. Most of the mature spermatozoa are found to be clustered into a group of $5\sim7$ ea in syncytial bridges formed by cytoplasmic processes. Sertoli cells contain glycogen particles, endoplasmic reticulum, a lot of mitochondria, and lipids in their cytoplasm. They protrude their filiform pseudopodia and phagocytize abnormal spermatids or spermaozoa.

  • PDF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뇌신경절의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한종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1999
  •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뇌신경절을 AB/AY 염색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프리카 왕달팽이의 뇌신경절은 2 x 1 mm 정도 크기의 흰색 타원형체로 중앙은 직경 1 mm 정도의 대뇌교련부(cerebral commissure)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뇌신경절(cerebral ganglion)의 종단면은 나비모양으로, 세포의 분포형태에 따라 중배부위(medio-dorsal part), 측배부위(latero-dorsal part), 미배부위(caudo-dorsal part) 그리고 측엽부위(lateral lobe)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배부위와 측배부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LG 세포와 약간의 DG 세포로서, 이들은 혼재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측엽부위에서는 LG 세포와 DG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주로 Y 세포만이 관찰되었다. LG 세포는 크기가 20-70 $\mu\textrm{m}$ 정도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세포로서 AB/AY 염색시 밝은 녹색으로 염색되고 핵질속에서는 과립상의 염색질이 고르게 분비되어 있으며, 1-3 개의 인이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분비성과립들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다. DG 세포는 대부분 장타원형의 세포로서 LG 세포에 비해 약간 작았다. 이들은 m-b 이중염색에서 강한 methylenophilia를 보였고, AB/AY 염색에서는 진한 녹색으로 염색되었다. 이 세포는 rabbit anti-somatostatin antibody를 이용한 염색에서 노란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eosinophilia를 보여 호산성세포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G 세포는 위의 세포들과는 달리 뇌신경절의 주변 부위 결합조직에서 관찰된 매우 드문 세포였다. 이들은 AB/AY 염색시 청녹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hematoxylin 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