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 이숙정;신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29-8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갖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경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기조절훈련과 멘토링 학습을 통한 불안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Relationship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양진식;송낙현;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9-9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유형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고, 부정적 요소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 및 학습 생활지도 방안 도출, 교수 학습방법 선정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5개 권역 18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745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측정 도구(26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28문항)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은 숙달접근 목표지향성과 정(+)의 방향으로 높은 상관관계, 자신감과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음(-)의 방향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은 '수행 회피형(34.8%)', '숙달접근 지향형(20.8%)', '접근형(17%)', '회피적 경쟁형(14.9%)', '숙달 회피형(12.5%)'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접근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 회피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접근형' 집단의 평균점수는 자신감에서도 다른 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나 '숙달접근 지향형'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채로 영향을 미치고, 학생이 가진 목표지향성에 따라 학업적 문제를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과 성취목표지향성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 유형에 따른 교육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