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A case of rescuing a patient with acute cardiovascular instability from sudden and massive intraoperat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b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Kim, Won Jin;Kang, Jin Gu
    •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 /
    • 제33권3호
    • /
    • pp.477-482
    • /
    • 2018
  • Intraoperat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is a high mortality situation. Early mortality in patients with pulmonary thromboembolism varies from 2% in normotensive patients to 30%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The use of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improve survival and neurologic outcomes of cardiac arrest. We report a case of intraoperative mas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with circulatory collapse and cardiac arrest during anesthesia for pelvic bone fracture surgery, which were rescued b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심방중격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유입되어 있는 혈전을 동반한 급성 폐동맥 혈전색전증의 치험 (Treatment of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with Left Atrial Thrombus via Atrial Septal Defect - A case report-)

  • 김시욱;최재성;유재현;임승평;이영;나명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10-1014
    • /
    • 2004
  • 급성 폐동맥 혈전색전증은 대부분 혈전용해제나 항응고제 등을 이용하여 내과적으로 치료하나, 폐동맥 혈전색전증에 의한 급성 우심실 부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속히 수술을 하지 않으면, 단시간 내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우심혈전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그 사망률은 훨씬 높아지고, 개방형 난원공을 통한 역리성 색전증(paradoxical embolism)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우심방의 혈전이 심방중격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유입되는 것이 관찰되는 예는 극히 드물다. 직장암으로 저위전방절제술을 받은 63세 남자 환자에서 수술 직후 심부정맥혈전증에 의해 생긴 우심실부전을 동반한 급성 페동맥 혈전색전증을 응급개심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ulmonary Embolectomy for Acute massive Pulmonary Embolism - 1 case -

  • 이형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804-810
    • /
    • 1990
  • Pulmonary thromboembolism originated mostly from the venous thrombus, especially deep vein thrombosis in the lower extremities, which migrated upward and lodged the pulmonary vasculatures, Mas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usually leads to in \ulcornerhospital mortality if the patient was not treated properly. Under the cardiopulmonary bypass, a 49-year old man was treated successfully by emergent pulmonary embolectomy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which originated from the deep vein thrombosis in the right leg. Ligation or filtering device inser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was not performed. The patient’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discharged on postoperative 15th day He continued to receive oral anticoagulation with aspirin and persantin, which had been started on the third postoperative day. And he was well till recent days through the outpatient follow-up. The clinical courses of this patient are described, and massive pulmonary embolism and its management are discussed.

  • PDF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for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 Yi, In-Ho;Park, Joo-Chul;Cho, Kyu-Seok;Kim, Bum-Shik;Kim, Soo-Cheol;Kim, Dae-Hyun;Kim, Jung-Heon;Youn, Hyo-Chu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5호
    • /
    • pp.343-347
    • /
    • 2011
  • Background: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is fatal because of abruptly occurring hypoxemia and right ventricular failure. There are several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anticoagulation, thrombolytics, 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and thromboembolectomy, for managing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4 at our institu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ulmonary thromboembolectomy. There were 7 patients (4 men and 3 women), who underwent a total of 8 operations because one patient had post-operative recurrent emboli and underwent reoperation. Surgery was indicated for mild hypoxemia and performed with CPB (cardiopulmonary bypass) in a beating heart state. Results: The patients had several symptoms, such as dyspnea, chest discomfort, and palpitation. Four patients had deep vein thromboembolisms and 3 had psychotic problems, specifically schizophrenia.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hemothorax, pleural effusion, and pericardial effusion. There were two hospital deaths, one each by brain death and right heart failure. Conclusion: Emergency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when medical treatments are no longer effective.

Life-Threatening Acute on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Requi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Lee, Heemoon;Kim, Min Soo;Kim, Wook Sung;Kim, Yong Han;Cho, Sung Ho;Lee, Jae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3호
    • /
    • pp.205-208
    • /
    • 2018
  • A 71-year-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udden aggravation of chest pain and severe dyspnea. Computed tomography showed exten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instituted due to sudden bradycardia and hypotension. An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However,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combined with an acute pulmonary embolism was detected in the operating room. Embolectomy and endarterectomy were performed. ECMO was then discontinu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day 13 with warfarin for anticoagulation.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46 months as an outpatient without further thromboembolic events.

급성 폐혈전색전증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 혈중 BNP의 의의 (The Prognostic Role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in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 이수진;이재형;박지영;조우성;김지은;김기욱;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40-547
    • /
    • 2006
  • 연구배경: 폐혈전색전증은 혈역학적 안정성과 우심부전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우심부전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심초음파를 포함한 다양한 진단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폐혈전색전증의 예후 인자로서의 혈중 BNP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여 급성 폐혈전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BNP 검사와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던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예후 예측인자로 중환자실 입실여부, 인공 환기 치료 유무, 활력징후의 안정성여부, 합병증의 동반, 사망여부, 심초음파의 폐동맥압력 값과 삼첨판막의 역류정도를 설정하여 혈중 BNP 농도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고 혈역학적 안정성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을 구분하는 BNP의 cutoff 값을 구하였다. 결 과: 활력징후의 안정성 여부, 우심실 수축기압과 삼첨판막의 역류 정도, 기계환기 시행여부, 사망여부가 혈중 BNP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활력징후 안정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망, BNP 농도, 기계 환기 여부가 통계적 의의를 보였다. 활력징후 안정성을 기준으로 안정군과 불안정군으로 나눌때 양군의 분류를 위한 BNP 농도의 cut-off level은 377.5 pg/dl에서 가장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았다. 결 론: 혈중 BNP는 여러 예후 예측인자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 측정이 쉽고 빠른 시간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폐혈전색전증 환자의 우심부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심초음파나 폐혈관 조영술등의 검사가 어려운 경우나 이 값들을 보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용한 예후 인자로 고려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 폐색전증의 내막 절제술 1례보고 (Thromboendarterectomy of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 A Case Report -)

  • 반동규;김혁;김영학;강정호;정원상;지행옥;이철범;전석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92-796
    • /
    • 2001
  • 만성 폐동맥 색전증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저산소증과 폐동맥 고혈압을 일으켜 결국 호흡부전 및 우심부전을 초래한다. 급성 폐동맥 색전증 환자들은 대부분 혈전 방지제, 혈전용해제 등의 내과적 치료에 잘 치료되나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경우 섬유화된 혈전이 폐동맥벽에 견고히 붙어있어 내과적 치료에는 별 효과가 없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겠다. 본원에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만성 폐동맥 색전증으로 진단 받고 타 병원에서 수 차례 입원 치료를 받아 오던 47세 남자환자를 간헐적인 완전 순환 정지를 이용하여 폐색전증에 대한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THFR의 점돌연변이로 인한 과호모시스테인혈증 환자에서 발생한 폐색전증 2예 (Two Cases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Young Patients with Hyperhomocysteinemia)

  • 이욱현;박철홍;고훈영;안호정;권순석;김용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60-465
    • /
    • 2008
  • 저자들은 비교적 젊은 연령이며 호모시스테인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발생한 폐혈전색전증 및 심부정맥혈전증 2예를 문헌과 함께 고찰하였다. 폐혈전색전증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점과 다른 위험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보아 증례들에서 호모시스테인혈증이 폐혈전색전증을 일으킨 원인으로 보인다. 위험요소가 없으며 젊은 연령에서 생긴 폐혈전색전증에 있어 호모시스테인혈증을 원인의 하나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급성 폐혈전색전증 전국 실태 조사 보고 (The National Survey of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급성 폐혈전색전증 전국 실태 조사 소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1호
    • /
    • pp.5-14
    • /
    • 2003
  • 연구배경 : ICOPER 보고에 의하면 급성 폐혈전색전증 발생 3개월내 사망률이 17.4%이며, 일본 조사에서는 사망률이 14%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급성 폐혈전색전증의 전국 규모의 대단위 연구가 없어서, 그 현황에 대해 보고된 바 없었다. 따라서 본 학회에서는 급성 폐혈전색전증에 대한 전국 실태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전국수련병원급 이상 종합병원에서 급성 폐혈전색전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적 특성, 임상양상, 진단법, 위험인자, 치료, 임상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8.3({\pm}16.3)$세 였고, 남자가 40.3%였다. 발생 위험인자로는 장기간의 부동상태, 수술, 악성종양이 각각 22.9, 19.2, 15.8% 였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호흡곤란과 흉통이었다. 진단을 위한 검사방법으로는 폐관류 스캔을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정상 소견을 보인 경우가 53.5%로 가장 많았고, 이상 소견으로는 흉막 삼출액이 가장 흔하였다. 치료방법으로는 86.8%에서 헤파린 항 응고법을 시행하였고 혈전 용해요법은 시행한 경우는 12.3%였다.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병원내에서 이환된 경우, 폐암, 빈호흡, 쇼크, 청색증의 5가지로 분석되었고, 사망 위험도는 각각 1.88, 9.20, 3.50, 6.74, 3.45배 였다. 전체 사망률은 16.9%였고 그 중에서 급성 폐혈전색전증과 연관된 사망률은 9.0%였다. 결론 : 본 조사는 급성 폐혈전색전증에 대한 최초의 전국규모의 실태조사로서, 이 결과가 향후 국내 급성폐혈전색전증의 연구와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