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virus 36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3초

Tracking Study About Adenovirus 36 Infection: Increase of Adiposity

  • Park, Sooho;Kim, Jihye;Shin, Hye-Jung;Hong, Young Mi;Sheen, Youn Ho;Park, Hye-Lim;Jeon, Hyun-Jung;Ahn, Sun-Young;Nam, Jae-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169-217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adenovirus 36 (Ad36) and obesity in 79 Korean adolescent boys over 1 year. We analyzed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d36 antibodies. Ad36 antibodies in serum were detected using the constant virus-decreasing serum method. We found that the fat percentage and fasting insulin in the Ad36-seropositive group were greater than the Ad36-seronegativ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36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adiposity, and the experience of Ad36 infection may affect the future fat gain of adolescents.

Conditional Replication of a Recombinant Adenovirus Studied Using Neomycin as a Selective Marker

  • Xue, Feng;Qi, Yi-Peng;Joshua, Mallam Nock;Lan, Ping;Dong, Chang-Yuan
    • BMB Reports
    • /
    • 제36권3호
    • /
    • pp.275-281
    • /
    • 2003
  • An E1B-defective adenovirus, named r2/Ad carrying the neo expression cassette, was construct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The construction, selection (using neomycin as a selective marker), and propagation of the recombinant virus was performed in 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 (HEK 293). An in vitro study demonstrated that this recombinant virus has the ability to replicate in and lyse some p53-deficient human tumor cells such as human glioma tumor cells (U251) and human bladder cells (EJ), but not in some cells with functional p53, such as human adenocarcinoma cells (A549) and human fibroblast cells (MRC-5). Also, based on the cytopathic effect (CPE), it was demonstrat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that the U251 cells were more sensitive to r2/Ad replication than the EJ cells. In this paper, we report that r2/Ad could be very useful in studying the in vitro selective replication of E1B-defective adenovirus and has great potential in cancer gene therapy.

소아의 Adenovirus 하기도 감염증에 관한 연구 - 유행 양상과 임상 양상에 대하여 -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Children in Korea from 1990 Through 1998)

  • 홍정연;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94-107
    • /
    • 2000
  • 목 적 : 우리나라 하기도 감염 소아에서 분리되는 아데노바이러스 각 혈청형의 유행 양상과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하기도 감염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0년 1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호흡기 감염증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비흡인물을 채취하여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 형광염색법 및 HEp-2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법으로 87례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을 진단하고, 분리된 바이러스는 중화 항체 시험으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인되고 혈청형 결정 시험이 시행된 84명의 환아 중에서 혼합감염과 병록 고찰이 불가능한 환아들을 제외한 74명의 환아들의 병록 고찰을 하였다. 결 과 : 혈청형 검사가 시행된 84례 중에 7형이 36례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나머지는 혈청형 1은 3례, 혈청형 2는 13례, 소아 혈청형군이 13례, 기타 혈청형군이 12례였다. 혈청형 7형은 95년 10월부터 97년 초까지 유행성으로 발병하였고 그 외의 다른 혈청형은 7형이 유행할 당시에는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그 외의 기간 동안에는 98년을 제외하고는 7형은 분리되지 않았고 주로 2형과 3형이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년 11개월로 주로 6개월에서 5세 사이였고 6개월 이하의 영아도 14례 있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의 흉부방사선 소견은 폐나 폐문 주위의 침윤, 과환기, 무기폐, 폐경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상소견도 있었다. 그러나 7형의 경우는 세균성 폐렴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의 병변으로 폐경화와 늑막 삼출, 그리고 대엽성이나 소엽성 무기폐 등이 관찰되었고 양측 폐야를 동시에 침범한 경우도 7형에서 20례(55%)에서 있었다. 호흡곤란으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경우는 혈청형 7의 36례 중의 14례(38.9%)였다. 사망한 환자는 총 9명(12%)이었고 그 중 호흡 부전으로 사망한 경우는 7명(9.4%)였다. 그 중 7례는 혈청형 7이 분리되었고 소아 혈청형군 1례와 2형이 1례씩 있었다. 결 론 :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6개월에서 5세사이의 소아에서 심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혈청형 7형에 의한 심한 폐렴이나 선행질환으로 선선청 심질환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 혹은 만성 폐질환을 앓는 경우에 사망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5년간 관찰되지 않던 7형에 의한 폐렴은 유행성으로 많은 정상 환아에서도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였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에 대한 연구를 더욱 진행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아래쪽배벽동맥피판의 생존향상을 위한 VEGF와 COMP-angiopoietin-1 유전자 치료 (Improvement of the Inferior Epigastric Artery Flap Viability Using Adenovirus-mediated VEGF and COMP-angiopoietin-1)

  • 유은경;손대구;김형태;이인규;최태현;김준형;한기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10
    • /
    • 2009
  • Purpose: Partial necrosis of skin flaps remains a substantial problem in reconstructive surger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an adenovirus vector encoding the VEGF, COMP-angiopoietin-1 gene in an attempt to promote the viability of the inferior epigastric artery flap in a rat model. Methods: Three by six cm lower abdominal transverse skin flaps, supplied only by the left inferior epigastric artery, were designed. After skin flap elevation, the adenovirus VEGF and adenovirus COMP-angiopoietin-1 were injected into the distal portion of the flap, which has a high tendency of developing flap ischemia. Control animals were injected with the same volume of normal saline. On 3, 7 and 14 days after the flap elevation, the flap survival and vascularization were assessed using Visitrak digital$^{(R)}$, CD31 immunohistochemistry in addition to evaluating the general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percentage of flap viability by 89.8%, 91.1% and 94.8% in flaps transfected with adenovirus VEGF, COMP-angiopoietin-1, coadministraion of VEGF and COMP-angiopoietin-1 at seven days, and by 95.6%, 94.8% and 96.3% at 14 days. Histological assessment revealed that there were more blood vessels formed after adenovirus with VEGF, COMP-angiopoietin-1 or VEGF plus COMP-angiopoietin-1 than with adenovirus Lac Z.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enovirus-mediated VEGF, COMP-angiopoietin-1 gene therapy, promote therapeutic angiogenesis in patients that undergo reconstructive procedures.

Inhibition of Adenovirus 36 Replication and Lipid Accumulation by Distylium racemosum

  • Kim, Hye-Ran;Park, Gyu-Nam;Jung, Bo-Kyoung;Yoon, Weon-Jong;Chang, Kyung-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92-501
    • /
    • 2018
  • Obesity is a worldwide disease and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Virus among many factors can lead to obesity. Adenovirus 36 (Ad-36) is the adipogenic virus linked with human obesity. Nevertheless, there is no drug to treat both Ad-36 infection and obesity associated with virus. For the precedent study on anti-cholesterol test, Distylium racemosum (D. racemosum), Quercus salicina (Q. salicina) and Raphiolepis indica (R. indica) were selec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cholesterol effects, anti-lipid effects and inhibition of Ad-36 replication from three extracts. D. racemosum ($50{\mu}g/mL$)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on 3T3-L1 adipocyte. D. racemosum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suppression of regula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genes and adipocyte-specific genes such as adipocyte protein 2 (aP2). D. racemosum inhibited replication of Ad-36 at $50{\mu}g/mL$ of concentration. Therefore, the extract of D. racemosum could be a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anti-Ad-36 and anti-obesity drugs.

Studies on the etiological agents in pups with the concurrent intestinal and respiratory tract disorders

  • Park, Hee-myung;Oh, Tae-ho;Youn, Sin-keun;Han, Hong-r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25-83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tiological agents in concurrent disorders in gastrointestinal and respiratory tract. Most of dogs had clinical signs including nasal and ocular discharge, coughing, vomiting, and diarrhea. Of the 22 dogs, seropositive rates of each virus were 54.5% (12/22) against canine distemper virus, 90.9% (20/22) against canine adenovirus 1, 36.4% (8/22) against canine adenovirus 2, 18.2% (4/22) against canine parvovirus, 81.8% (18/22) against canine hepatitis virus and 59.1% (13/22) against canine coronavirus. Canine distemper virus and canine parvovirus infection were 54.6% (12/22)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n addition, mixed infections of canine distemper virus and adenovirus 2 were 9.1% (2/22). While simple infection of canine adenovirus 2 were 9.1% (2/22). E coli and Staphylococcus spp were isolated in facts as a rate of 72.7% (16/22) and 40.9% (9/22), respectively. Conclusionally, it is also estimated that environmental stress might be one of the causative factors.

  • PDF

1998-2000년 부산지역 소화기계 바이러스의 탐색 (Detection of Alimentary Tract Viruses in Busan: 1998-2000)

  • 조경순;김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9-293
    • /
    • 2001
  • 감염성 바이러스의 발생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설정이다. 1998년-2000년 사이에 부산지역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사업의 과정에서 소화기계 바이러스가 탐색되었다. 의심되는 환자의 대변 및 뇌척수액, 인후가검물에서 세포배양, Latex 응집반응, 간접면역형광항체법, 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행하여 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총 검체 중에서 바이러스의 확인 율은 12.5% 이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3 사례의 장 adenovirus 및 , 23 사례의 echovirus, 31 사례의 coxsackievirus, 36 사례의 rotavirus, 45 사례의 small round structued virus (SRSV), 7 사례의 poliovirus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주요 혈청형으로는 장 adenovirus 41형 및 echovirus 6, 9, 11, 25, 30형, coxsackievirus B2, B3, B4, B6 형 등이 탐색되었다. 각 바이러스의 월별 발생별로는 SRSV는 12월에서는 다음해 4월 사이,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4월에서 10월 사이에, rotavirus는 1월에서 4월사이에 각각 분리 율이 높았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30-80 nm의 작은 크기의 바이러스들이 확인되었다.

  • PDF

조록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아데노바이러스 36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Antiviral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Distylium racemosum Leaf Extract on Adenovirus 36)

  • 김혜란;양은주;장정현;장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1-229
    • /
    • 2020
  •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 대사적 및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가운데 특정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비만이 유도되는 것이 확인되며 이러한 비만은 감염성 비만이라고 한다. 또한 감염성 비만을 유발하는 병원체 가운데 아데노바이러스 36이 밝혀졌다. 현재 비만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감염성 비만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는 불충불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주에 자생하는 조록나무 잎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비만을 유도하는 사람아데노바이러스 36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A549세포에 사람아데노바이러스 36을 감염시키고, 조록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록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록나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물질 분리를 한 결과, quercitrin이 확인되었으며, 표준물질 quercitrin의 사람아데노바이러스 36에 대한 증식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조록나무 잎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감염성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후보 물질로 사료되며, 본 연구는 감염성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서부지역 설사 환아의 바이러스 유병율 (Prevalence of Viruses with Diarrhea among Hospitalized Children West Gyeonggi Province)

  • 서수영;정인아;김지훈;조경순;빈중현;김현희;이희진;이원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2
  • 목 적 : 이 연구는 경기서부지역의 감염성 설사의 원인 바이러스의 역학 및 지역적 유병율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에 급성 설사로 입원한 10세 미만 환아를 대상으로 흔한 세균성 병원체가 없는 310개의 대변 검체에서 rotavirus, parechovirus, adenovirus, astrovirus, enterovirus, norovirus의 유무를 PCR과 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parechovirus (16%)가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adenovirus (15%), astrovirus (14%), rotavirus (13%), enterovirus (5%)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단일 감염은 55.8%에서, 중복 감염은 3.2%에서 나타났다. 바이러스성 장염은 전체적으로 두 차례의 유행 시기를 보였으며, 84.6%는 2세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 parechovirus, adenovirus, astrovirus, enterovirus는 기존에 시행 중인 진단방법으로는 과소평가되어 있으나 소아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다.

  • PDF

원위치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 증폭산물의 세포내 보존을 위한 방법들 (Methods of in situ PCR to Retain the Amplification Products Inside the Cells)

  • 이재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4-298
    • /
    • 2001
  • 감염성 바이러스의 발생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1998년 -2000년 사이에 부산지역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사업의 과정에서 소화기계 바이러스가 탐색되었다. 의심되는 환자의 대변 및 뇌척수액, 인후가검물에서 세포배양, Latex 응집반응, 간접면역형광항체법, 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행하여 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총 검체 중에서 바이러스의 확인 율은 12.5% 이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3 사례의 장 adenovirus 및, 23 사례의 echovirus, 31 사례의 coxsackievirus, 36 사례의 rotavirus, 45 사례의 small round structured virus (SRSV), 7 사례의 poliovirus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주요 혈청형으로는 장 adenovirus 41형 및 echovirus 6, 9, 11, 25, 30형, coxsackievirus B2, B3, B4, B6 형 등이 탐색되었다. 각 바이러스의 월별 발생별로는 SRSV는 12월에서 다음해 4월 사이,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4월에서 10월 사이에, rotavirus는 1월에서 4월 사이에 각각 분리 율이 높았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30-80 nm의 작은 크기의 바이러스들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