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enal gland hypofunc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 후 부신성 위기 (Adrenal Crisis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최용선;류상완;홍성범;정명호;김상형;안병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601-605
    • /
    • 2004
  • 부신성 위기라 불리는 Addisonian crisis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cortisol이 분비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뇌하수체 선중은 기존에 있던 뇌하수체 선종이 어떤 원인에 의해 출혈성 또는 허혈성 변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수술에 있어 매우 드문 합병증이다. 더구나 심혈관제 수술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뇌하수체 졸중은 체외순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 후에 뇌하수체 졸중이 발생한 경우로 처음 보였던 여러 증상이 마치 폐혈성 쇼크와 유사하여 진단이 늦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단 진단이 된 후에는 스트레스 용량의 부신 호르몬을 투여함으로써 급격한 증상 호전을 보였다.

개심술 후 부신피질 결핍증에 의한 혈역학적 불안정 (Hemodynamic Instability due to Adrenal Insufficiency after Open Heart Surgery)

  • 김혜원;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91-193
    • /
    • 2010
  • 개심술과 같은 큰 수술을 받은 환자가 중환자실 치료 중 저혈압을 겪게 되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 환자의 심장 기능이상이 주요 원인이지만 부신피질 결핍에 의한 경우도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부신피질 호르몬 결핍증은 일반인에게는 매우 드물지만, 수술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환자들에게서는 종종 볼 수 있다. 본 증례는 개심술 후 발생한 부신피질 호르몬 결핍증을 치료한 경우로, 극심한 저혈압으로부터 hydrocortisone 투여 후 극적인 회복을 보여주는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