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female learner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Learner on Adult Female Learners' Learning Outcome)

  • 장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64-372
    • /
    • 2016
  • 본 연구는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관련 변인들이 학습성과와 어떠한 구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지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D지역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하거나 평생학습경험이 있는 성인여성학습자 57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관련변인으로 학습자특성, 평생교육기관여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잠재변인으로 설정하여 14개의 관측변수를 두어 구조적 인과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값은 ${\chi}^2=224.267$ (df=69, p<.001), RMSEA=.062, TLI=.943, RFI=.920, CFI=.957, IFI=.957, NFI=.939로서, 모두 0.9이상으로 적합도 지수가 모두 만족되었다. 학습자특성의 학습성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218이고 p<.001,평생교육기관여건의 학습성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301, p<.001, 학습몰입이 학습성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149, p=.541, 학습만족도는 표준화계수 .405, p<.001로 학습몰입을 제외하고 모두 학습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학습자특성과 평생교육기관,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에 직접 효과를 주지 못하고,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모델을 구축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전체적 측면에서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학습성과와 관련된 변인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Relations among Motivation to participate, Organizational Support,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Female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 김나영;강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58-968
    • /
    • 2011
  • 본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수강생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1학기, A평생교육원의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수강생 151명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인지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적인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기관의 지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관의 지원이 인지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평생교육학습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학습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참여동기와 학습성과의 인과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환경에서의 여성 성인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운영전략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사이버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 -배경변인별 차이를 중심으로- (Perception on Career Barriers among Cybe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이지혜;곽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6-5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소재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개인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한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20세 이상 성인학습자로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총 937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배경변인별 분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20대가 30~50대보다, 비직장인이 직장인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진로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하위영역 별로는 '미래불안', '흥미부족', '직업정보부족', '대인관계어려움'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지각 수준을 보였다. 연령별 분석에서 5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지각한 영역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이 유일했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진로발달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Goal Perception, Academic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Female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 임효진;하혜숙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59-8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인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나 학업-가정갈등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끈기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업성취를 포함한 적응적인 지표들을 예측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 64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끈기의 두 요소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적응에 직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경로들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유지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노력지속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끈기 요소의 차별적 예측력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업-가정갈등은 학업적응에 부적 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length of residence (LOR) on voice onset time (VOT)

  • Kim, Mi-Ryo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9-17
    • /
    • 2020
  • Changes in the first language (L1) sound system as a result of acquiring a second language (L2) (i.e., phonetic drift)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a variety of speakers, settings, and environments.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honetic drift in adult speakers' L2 learning as their length of residence in America (LOR) increas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OR on voice onset time (VOT) in L1 Korean stops. Three different groups of Korean adult learners of L2 English were compared to assess how malleable their L1 representations are in terms of LOR and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L1 change and L2 acqui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LOR was linguistically unimportant in the production of Korean stops. However, VOT merger as evidence of sound change in Korean stops were robust in the speech production of most of the female speakers across the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L2 English may not be the primary cause of L1 sound change. For generalizabilit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see whether other acoustic cues show a similar pattern.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for Adult Female Learners' Dropout in e-Learning)

  • 박순신;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49-153
    • /
    • 2011
  • 이 연구는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를 중도탈락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료율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9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력은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 16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K 기관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 등 5가지로, 내적 동기, 학습가능 시간, 결혼 여부,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순으로 중도탈락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진행 시 내적 동기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시간의 부담이 적을수록, 미혼이며, 교육기관의 지원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 가사와 육아에 부담이 적을수록 수료를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수료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자교육 과정 운영 시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의 요인을 고려해야하며, 그 중 결혼 여부, 가사와 육아부담 등의 여성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도탈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내적 동기 향상을 위해 과정설계 시 여성학습자 위주의 맞춤형 교수설계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들의 인과관계 및 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줄일 수 있는 실증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도탈락률을 줄이는 것은 물론,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sortium for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 송영숙;정화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9-227
    • /
    • 2018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은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의 전략분야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이며, 공동훈련에 필요한 인프라, 훈련비,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등을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훈련 재직자 과정에 참여한 707명의 자료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컨소시엄 교육훈련 참여자의 성별,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요인이 교육훈련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성별 순으로 교육훈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훈련 만족에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직위, 직군은 교육훈련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강사 만족이 교육 훈련 만족의 가장 큰 영향 요인이라는 점에서 강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강사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육훈련 참여자가 교육훈련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현업에서 교육훈련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환경 조성 및 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 재직자의 교육 훈련 참여를 높이고, 여성 재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 교육훈련 시간의 적정성, 직무의 연관성, 직무의 기여도 면에서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