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domai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1초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종단적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n trend of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 김현주;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447-46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ngitudinal trends of students'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by use of the data mining method.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05) which was the survey data for students' achievement test, affective domain test, teachers' evaluation, and parents' evaluation from $7^{th}$ grader in the year of 2005 to $11^{th}$ grader in the year of 2010. Subjects of this study is a total of 5040 students who answered to the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survey in KELS 2005. The resul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ffective domain had changed negatively as they went up to higher grade. Second, if students' affective domain had built at a certain level in $7^{th}$ grade, the level did not change easily until $11^{th}$ grade. Third, major factors of students' affective domain were shown to be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efforts and patient, and time management.

자연과 포트폴리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정의적 특성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and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 문유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29-4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and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f the 6th grade science unit 'Environment pollution and Nature protection'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raditional instruction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 group and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s of the scientific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treatment was given for about seven weeks for both groups. Instruments about scientific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 questionnaire on perception of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was developed. Students themselves determine the portfolio learning goal in a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Students construct the portfolio and they evaluate themselves and other colleagues. Also teachers go o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considering portfolio purpose, concepts, evaluation. 2.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1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In three sub categories of a scientific affective domain, the science perception, the interest o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m. 3.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on perceptions of portfolio, they didn't understand it very well but after learning portfolio,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 to perceptions of portfolio. Students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like more the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than general instruction. 4.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has an useful value as a method of teaching and evaluation. Students and teachers can produce various portfolios products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As a conclusio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but it gives positive effects on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portfolio has an educational value as a method of teaching and evaluation for students' growth. In the future, teachers and students must have interaction and feedback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 PDF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Teaching World Geography Using Travelog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 손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30-744
    • /
    • 2016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하여 가치와 태도 같은 정의적 영역을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행 세계지리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거의 지식 전달 중심의 인지적 영역의 활동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일차적으로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이 인지적 영역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여행기는 저자가 직접 해당 지역을 여행하면서 체험하고 관찰하고 느낀 점을 기록한 생생한 현장보고서이며 내러티브 텍스트의 일종이다.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함으로써 맥락적 이해를 통해 편견을 감소시키고, 자기 성찰을 통해 내면적 성숙을 도모하며, 인식의 전환을 통해 통념을 해체하는 등의 정의적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지구상의 평화와 공존, 그리고 협력을 추구하는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가치와도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문제제기 활동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posing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omain of Mathematics)

  • 오영수;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41-5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로부터의 문제제기'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교사차원에서의 평가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질적 접근을 결합한 3단계로 연구대상 전체학생 및 개별학생의 정의적 성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학습활동 자체에서의 유의미한 경험으로 이어지면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을 향상시켰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수학부터 고등학교 3학년 수학까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은 중시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평가 관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수학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와 방법을 국가수준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는 교실수업에서 문제제기 교수 학습을 적극적으로 실행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도와야 하며, 정기적으로 모든 학생의 정의적 성취를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 한혜숙;최계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63-38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정의적 특성의 중요도 및 수업 실태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교사 집단이 남교사 집단에 비해 수업의 계획, 학생평가, 반성의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서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가치인식 요소의 경우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여교사 집단의 평균이 남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Designing Cultural Syllabus and Lesson Plan Based on Developmental Stages of Accultur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Jang, Eun-S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1호
    • /
    • pp.37-52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developmental stages of acculturation, to establish dimensions and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o suggest teaching methods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dimensions and the components of the stage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oretical research on the natur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eaching methods of intercultural dimensions and component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s of acculturation. The stages of acculturation have relation to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cultural awareness. In the domain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models such as Cummins (1981), Wong-Fillmore (1983), and Ausubel (1968) were presented. In the affective domain of second language research, the models of Gardener and Lambert (1972), Maslow (1954), and Bloom (1974) were argued. Modifying the models of Ausubel, Cummins, Wong-Fillmore, the dimensions and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cultural syllabus and lesson plan based on tourist and survivor stage should be considered.

  • PDF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순옥;서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307-32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영역,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검사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정현철 등, 2004) (2) 과학의 탐구능력검사 중 문제발견능력검사(정현철 등, 2004) (3) 과학의 정의적 영역설문(서혜애 등, 2008).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7개 학교 3개 학년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704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은 3.02였으며, 둘째,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도 높게 (p<.05)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감소(p=.048)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에서 가장 큰 유의한(p=.002)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상관이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은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고, 과학의 정의적 영역도 높다고 볼 수 있다.

  • PDF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the affective achievement of students)

  • 이화영;고호경;박지현;오세준;임미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31-651
    • /
    • 2022
  •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도가 낮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수학을 포기하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어 왔다. 이에 국가 기관이나 교육청,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나, 더욱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을 위해 기존의 여러 정책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장 마인드셋이 정의적 성취의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학에 관한 성장 마인드셋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수학 정의적 성취를 신장시킬 수 있는 정책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 실태 및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수학 정의적 영역 관련 정책 및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를 설정하여 수학 마인드셋 향상과 정의적 성취 신장을 위한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과학 실험 수업에서 M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BL Program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aboratory Instructions)

  • 박상용;박재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54-46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programs for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s and to ascertain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laboratory instructions, using the MB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for elementary students, especially in the domain of knowledge. In addition, it helped students to improve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s,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cognition and interest. When our findings were analyzed in detail, the sub-domains that showed positive effects included 'cognition of science' in the domain of cognition, and interest toward science', 'interest toward science learning', 'interest toward science related activities', and 'anxiety for science' in the domain of interest. Male students exhibited improvement in the domain of cognition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domain of interest. In conclusion, utilizing MBL programs as an experimental measurement in the real fiel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can be said to be both positive and desirable.

  • PDF

자기주도학습과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수학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Effects of Self-direc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Math)

  • 고호경;김형식;손복은;손정임;이지혜;이형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357-3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s of self-direc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s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eta-analysis of previous studies. For this research, 22 of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which were all conducted in the country, and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standardized change of the mean difference' for many factors included in each research.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s of self-direc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s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665 and .702 i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respectively, meaning that the self-direc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s had average or greater effects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erted somewhat greater effects in the cognitive domain. Second, when the areas of moderating effects were divided into self-direc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former and latter had more influence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respectively. Third, the elementary school level recorded a larger effect size both i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than the secondary school level. Fourth, the finding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domain, "reflective thinking" and "self-confidence," recorded a very large effect size both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Finally, the programs were more effective when the application period was one to four week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more than four week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