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방아(Agastache rugosa O. Kuntze)로 동전된 estragole과 방아추출물의 향균효과 (Estragole Identified and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Inhibited Bacterial Growth)

  • 박재림;김정옥;강혜윤;김운영;천화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1-187
    • /
    • 1995
  •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its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nd estragole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were tested to find the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several microorganisms. The organisms used were Escherichia coli ATCC 1129, Staphylococcus aureus IAM 1011, Vibrio parahaemolyticus WP, Bacillus subtilis ATCC6633, Aspergillus oryzae KFCC 890, Aspergillus niger KCCM 11240. Water and methanol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5%, and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0.05%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1/5 to 2/3 of the control group. Estragole identified from the hexane faction as a major component, its authentic compound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Vibrio parahaemolyticus completely at the concentration of 0.03%, and the other bacteria were at 0.05%.

  • PDF

전자코를 이용한 배초향 추출물의 향기패턴 분석 (Aroma Pattern Analysis of Various Extract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by Electronic Nose)

  • 이부용;육진수;오세량;이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추출용매, 추출온도 등의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의 부위별 추출물들에 대한 향기성분의 차이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관능검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같은 배초향 부위라도 추출온도가 다르면 추출물들간의 향기 차이가 있었으며, 배초향 부위에 따라서도 추출물들의 향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부위에 대한 에탄올추출물과 다른 용매추출과는 향기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차이는 에탄을 자체의 향에 의한 차이로서 실질적으로 같은 배초향 부위에 대해서는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간의 향기 차이는 별로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배초향 추출물들의 관능적 특성은 박하냄새, 풀냄새, 박하맛, 한약맛, 단맛 등이 대표적으로 강하게 느껴지며,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부위에 따라 관능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전자코에 의한 향기성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관능검사 결과와 연계하여 비교 분식해 보면 전자코에서 차이가 나는 향기성분의 실체가 박하냄새, 단맛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어떤 맛이나 냄새가 더 강하고 약한지를 분성하게 알 수 있었다.

  • PDF

진균류의 증식과 대사에 미치는 방아(Agastache rugosa)추출물과 Estragole의 효과 (The Effect of Estragole Identified and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the Fungal Growth and Metabolism)

  • 박재림;박송희;김정옥;김수원;이수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70
    • /
    • 1997
  • The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their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nd estragole identified from hexane fraction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growth and metabolic activities of several true fungi. The fungi used were: Aspergillus oryzae KFCC 890, Aspergillus niger KCCM 11240,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597, Saccharomyces ellipsoideus PNU 2215. The growth of S. Cerevisiae by treatment of water extract(1%), hexane fraction (0.05%), and estragole (0.05%) were inhibited 93%, 50%, and 33% respectively, and S. ellipsoideus was also inhibited markedly with delaying the alg phase maximum 12 hrs. The growth of A. oryzae was inhibited by treatment of extracts and fractions. The echanol production by S. cerevisiae was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in the highest value around 42 hrs incubation by water extract, but chloroform fraction inhibited its production. The glucoamylase actibities by A. niger were strongly inhibited by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0.05%). The invertase activity by S. cerevisiae using estragole (0.05%) reached to 57.5% of control group. S. cerevisiae treated with the estragole was damaged the cell wall and cell membrane, leaked the protoplasm, and observed broken pieces of cell.

  • PDF

Anti-oxidant Effect of Agastache rugosa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_2O_2$ in NIH 3T3 Cell

  • Hong, Se-Chul;Jeong, Jin-Boo;Park, Gwang-Hun;Kim, Jeong-Sook;Seo, Eul-Won;Jeong, Hyung-J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98-505
    • /
    • 2009
  • The plant Agastache rugosa Kuntze has various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Especially, it has been regarded as a valuable source for the treatment of anti-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induced disorders.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functional role of it on oxidative damage in mammalian cells by RO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and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capacity, and $Fe^{2+}$ chelating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 In addition, we evaluated whether the extract can be capable of reducing $H_2O_2$-induced DNA and cell damage in NIH 3T3 cells. These extracts showed a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a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and the lipid peroxidation causing the cell damage by $H_2O_2$.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astache rugosa is useful as a herbal medicine for the chemoprevention against oxidative carcinogenesis.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 추출물들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 이부용;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용매혼합비율 등의 추출조건에 따른 배초향의 꽃, 잎, 줄기의 3가지 부위와 부위별 추출물들의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여 배초향의 식품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단백질함량은 꽃이 16.0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은 잎에 9.54%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다른 아미노산들보다도 로이신과 같은 필수아미노산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보다는 에탄올, 에탄올보다는 NaCl용액으로 추출할 때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부위 등에 상관없이 모두 15-20분 정도면 가용성성분이 거의 다 추출되었다. 추출물의 pH는 거의 중성에 가까웠고, 유리당도 에탄올추출물에만 매우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색도 및 관능검사 결과도 추출조건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초향의 3가지 부위의 추출물들은 추출용매의 종류나 농도, 온도별로 위에서 측정한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들이 절대적으로 어떤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더 좋다고 판단하기보다는 각기 다른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소재로 사용하고자 최종제품의 특성이나 목적에 맞는 추출조건들을 앞에서 측정된 자료들을 참고하여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방아잎(배초향, Agastache rugosa O. Kuntze)에서 항산화물질 로즈마린산의 분리, 동정 및 활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Rosmarinic Acid, a Potent Antioxidant Extracted from Korean Agastache rugosa)

  • 김종범;조강진;황영수;박노동;김정봉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62-266
    • /
    • 1999
  • 국내 식물자원 30 가지의 항산화활성을 탐색한 결과 방아잎, 형개, 택란의 m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방아잎의 건조분말을 methanol로 환류냉각 추출하여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water 순으로 용매분획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농축한 다음 Sephadex LH-20으로 chromatography하여 순수물질을 얻었다. 이물질을 ESI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이 360임을 확인하였고, IR과 UV spectra에 의해서 phenol계 화합물임을 확인하였으며 NMR 분석에 의해서 이 항산화물질이 rosmarinic acid임을 확인하였다. 이 물질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돈지와 팜유에 대해서 BHT나 ${\alpha}-tocopherol$보다도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방아잎의 methanol추출물의 항산화력은 rosmary의 methanol 추출물과는 비슷하였으나, sage의 methanol추출물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 PDF

국내산 곽향(藿香)의 품질관리 연구 (Studies on Quality Control of Domestic Agastachis Herba)

  • 한민우;박채규;박철수;안희준;서정범;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7-74
    • /
    • 2019
  • Objectives : Agastachis herba is a aerial part of 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 Kuntze which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Methods : The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domestic cultivation of Agastachis Herba. We experiment on essential oil content, the content of ethanol soluble extracts and HPLC profiling. Results : Loss on drying of Agastachis Herba contents of harvest in June ~ July was 4.93~8.26% and contents of harvest in August ~ September was 3.88~5.38%. Ash of Agastachis Herba contents of harvest in June ~ July was 5.07~7.97% and contents of harvest in August ~ September was 4.55~7.61%. Acid-insoluble ash of Agastachis Herba contents of harvest in June ~ July was 0.43~1.62% and contents of harvest in August ~ September was 0.46~1.44%. Essential oil contents of Agastachis Herba contents of harvest in June ~ July was $0.2{\sim}0.4m{\ell}$ and contents of harvest in August ~ September was $0.2{\sim}0.6m{\ell}$. Ethanol soluble extracts of Agastachis Herba contents of harvest in June ~ July was 9.72~20.44% and contents of harvest in August ~ September was 11.00~18.70%. HPLC profiling was detected of tilianin(12.93 min), acacetin(15.84 min) and agastachoside(17.95 min). Conclusion : Agastachis Herba should be harvested from August ~ September, the time of flowering. This is because of the high content of active compounds.

방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 지옥화;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57-1163
    • /
    • 1996
  • 방아의 ether추출물을 중성, 페놀성, 산성 및 염기성 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수소 공여능, 과산화물가,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을 이용한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으로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페놀성 획분과 중성 획분을 다시 소획분으로 분획한 다음 그중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한 소획분성분을 GC/MS 및 NMR로 분석, 동정하였다. 페놀성 획분은 DPPH에 의한 수소 공여능, POV, TBA가 및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등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중성 획분은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페놀성 획분을 소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소획분 P-1, P-2 및 P-3에서 항산화 활성이 강하였으며, 특히 P-2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나 천연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caffeic acid보다도 강하였다. 소획분 P-2를 TMS 유도체로 만들어 GC로 분석하였을 때 major peak 성분인 Peak I, II, III 및 IV 모두 TMS m/z 73를 base peak로 가지고 있어 4개의 peak 모두 -OH, -COOH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성 획분의 소획분 중에는 N-2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소획분 N-2의 주성분을GC/MS 및 NMR로 분석 한 결과 estragole로 확인되었다. Estragole의 흰쥐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 50% 억제 농도는 $20{\sim}50\;{\mu}g/ml$로서 BHT보다는 약하였으니 caffeic acid, gallic acid와는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