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m Position Calibr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아케이드 건(Gun)을 위한 적외선 LED 추적과 조준 위치 보정 (Infrared LED Tracking and Aim Position Calibration for an Arcade Gun)

  • 백성호;김종수;김태용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10
    • /
    • 2005
  • 아케이드 건의 대표적인 컨트롤 방식은 라이트 건과 포지셔널 건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라이트 건은 모니터의 유형 및 해상도, 리프레시 비율 등의 요소에 따라 사용의 제한을 받으며, 포지셔널 건은 한정된 플랫폼 및 고정된 인터페이스로 인한 낮은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아케이드 건 컨트롤 방식인 IRED을 제안한다. IRED Gun은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적외선 IRED추적을 이용하며, 조준 위치 보정을 통하여 정확한 조준 좌표 값을 계산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LED추적과 보정 방법의 실행 가능성과 타당성을 증명 하였다. 또한, IRED Gun은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구축비용에 있어 저렴하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머리의 자세를 추적하기 위한 효율적인 카메라 보정 방법에 관한 연구 (An Efficient 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Head Pose Tracking)

  • 박경수;임창주;이경태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7-90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n efficient 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vision-based head tracking. Tracking head movements is important in the design of an eye-controlled human/computer interface. A vision-based head tracking system was proposed to allow the user's head movements in the design of the eye-controlled human/computer interface. We proposed an efficient camera calibration method to track the 3D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user's head accurately. We als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experimental err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more accurate and stable pose (i.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camera than the conventional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which has been used in camera calib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racking head movements related to the eye-controlled human/computer interface and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 PDF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mponents of maxillary molar and craniofacial frame in normal occlusion: Cephalometric calibration on the vertical axis of coordinates

  • Han, Ah-Reum;Kim, Jongtae;Yang, Il-Hy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5-22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of maxillary first molar and vertical skeletal measurements in lateral cephalograms by using new linear measurements on the vertical axis of coordinates with calibration. Methods: The vertical position of maxillary first molar (U6-SN), and the conventionally used variables (ConV) and the newly derived linear variables (NwLin) for vertical skeletal patterns were measured in the lateral cephalograms of 103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and without calibration using the anterior and posterior cranial base (ACB and PCB, respectively) lengths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U6-SN. Results: The PCB-calibrated statistics showed the best power of explanation. ConV indicating skeletal hyperdiverg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6-SN. Six NwLin regarding the position of palatal plan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U6-SN. Eac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generated a two-variable model: sella and nasion to palatal plane. Among the three models, the PCB-calibrated model yielded highest adjusted R2 value, 0.880. Conclusions: U6-SN could be determined b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 which could then be used to plan the amount of molar intrusion and estimate its clinical stability. Cephalometric calibration on the vertical axis of coordinates by using PCB for vertical linear measurements could strengthen the analysis itself.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을 이용한 Ir-192 선원의 공기커마 세기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Air-kerma Strength Calculation Algorithm in Terms of the Absorbed Dose to Water for HDR Ir-192 Source)

  • 허현도;김우철;노준규;이석;이상훈;조삼주;신동오;최진호;권수일;김성훈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32-23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r-192 선원의 검교정을 겉보기 방사능(apparent activity)을 이용하지 않고 물속 기준점에서 흡수선량을 측정함으로써 공기커마 세기(air-kerma strength, Sk)를 계산하고자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근접치료용 다목적 팬톰(multi purpose brachytherapy Phantom, MPBP)을 제작하였다. 물 흡수선량 측정은 고선량률 근접치료기(micro-Selectron, Nucletron, Netherlands)에 장착된 Ir-192 선원(Mallinckrodt Medical B.V., Netherlands)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물 흡수선량은 몬테칼로 계산방법으로 계산된 이온전리함(TM30013, PTW, Germany)의 물 흡수선량 교정인자($N_{D.W.Q}$)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물 흡수선량은 한 개의 선원에 대하여 4 cm에서 7 cm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전산화 치료계획 장치에서(plato BPS, ver 13.2, Nucletron, Netherlands) 계산된 값과 비교하였다. 공기커마 세기(Sk)는 기준점 5 cm되는 곳에서 3개의 Ir 선원에 대하여 구하였다. 계산된 공기커마 세기는 선원제조사에서 제공된 값과 비교하였다. 몬테칼로 계산방법으로 계산된 이온전리함의 물 흡수선량 교정인자는 5.28 cGy/nC이었다. 한 개 선원에서 측정한 물 흡수선량 값은 -2.16%에서 -0.84%까지 상대오차를 나타내었다. 공기커마 세기는 제조사에서 제공된 값과 비교하여 -0.6%에서 +1.8% 제조사 권고치 ${\pm}5%$ 이내로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은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을 정확히 결정함으로써 선원의 공기커마 세기를 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물 흡수선량을 통한 Ir-192 선원의 검교정 방법들은 미국의학물리학회(AAPM) 보고서 TG-43에서 권고한 흡수선량 계산 알고리즘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