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Bladd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Air Pressure Regulation in Air Bladders of Ascophyllum nodosum(Fucales, Phaeophyceae)

  • ;강은주
    • ALGAE
    • /
    • 제21권2호
    • /
    • pp.245-251
    • /
    • 2006
  • Diurnal and age-related changes in air pressure were measured in air bladders of Ascophyllum nodosum from the Atlantic coast of Nova Scotia. Exterior and interior bladder volumes vary significantly with 4 and 6 y bladders being about 40% larger than 2 y bladders (p < 0.01). Freshly collected bladders yielded a mean pressure of 40.8 ± 6.5 cm H2O. Overnight (20 h) dark treatment at 15°C generated pressure reductions by 80% in 2 y bladders but only by about 30% in 4 and 6 y bladders. Furthermore, in 2 y bladders 8 out of 11 bladders were reduced to atmospheric pressure. Pressure losses were inversely related to pressure recovery after 2.5 h in natural daylight, but after 5 h in dayl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sure within the age groups. Even under 25% of full illumination, bladders inflated to full pressure after 5 h.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ces in bladder age and bladder wall thickness have roles in diurnal patterns of bladder inflation and deflat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bladder inflation is based on photosynthetic O2 production and not on partial pressures of O2 in the surrounding medium as was suggested for Sargassum. Chemical analyses of fluid recovered after the interior of bladders were washed with saline showed no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surfactant that might be responsible for maintaining the air-liquid interface.

한국산 나자식물 화분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Pollen Grains from Some Korean Gymnosperms)

  • 고성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203-221
    • /
    • 1994
  • 한국산 나자식물 5과 12속 19분류군을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화분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고 기재하였으며, 각 과별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분류학적으로 볼 때 취급된 나자식물의 화분립은 모양, 크기, 표면상태, 표면무늬, 기낭의 유무 및 돌기의 유무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및 속 이하의 분류군에는 유용하였으나, Pinus속내의 종들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화분립의 크기나 표면무늬에 의해서는 화분형질의 중복으로 인해 종분류는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소나무과내의 Picea속에 속하는 P. koraiensis의 화분립은 기낭의 형태가 불규칙하고, 몸체에 비해 기낭의 크기가 크며, 표벽이 얇기 때문에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의 분류군과는 차이점이 뚜렷하다. 또한 Abies속의 특징으로 기재된 모부의 중앙부위에서 기낭쪽으로 갈수록 표벽이 얇아진다는 점, 화분림 몸체의 표면이 비교적 굴곡이 심하지 않다는 점과 화분립의 크기가 크다는 점으로 볼 때 P. koraiensis는 기낭을 갖는 Pinus속과 Abies속 중 Abies속과 화분학적으로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투과전자현미경관찰을 통해 기낭을 갖는 화분립을 조사한 결과 근극에는 내표벽과 외표벽이 모두 존재하나, 서로 분리되어 외표벽은 기낭과 연결되고 내표벽은 원극을 이룬다. 또한 구과목의 분류군들에 있어 소나무과를 제외한 주목과, 난우송과 및 측백나무와 일부 분류군의 내표벽이 여러 층으로 구성된 관상구조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기낭을 관찰한 결과 표면무늬는 유공상이고 미세한 pit가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낭의 표면무늬는 광학현미경상에서 망상으로 보이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본 결과 이는 기낭내부의 망상구조가 광학현미경하에서 투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부레가 어류의 등방향 반사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wim Bladder on Dorsal Aspect Target Strength of Fishes-I)

  • 안장영;정용진;강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3호
    • /
    • pp.174-180
    • /
    • 2001
  • 부레를 가시고 있는 어류는 그 부레가 반사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중에서 어류의 부레가 등방향 반사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주도 주변 정치망에서 어획된 독가시치 8마리에 대하여 200 kHz 송수파기를 이용하여 등방향 반사강도를 측정하였다. 등방향 반사강도에 대한 부레의 역할 정도에 관한 조사를 위해서는 X-ray 사진을 이용하여 주사기로서 부레의 가스를 제거하기 전후의 등방향 반사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독가시치의 유영자세별 등방향 반사강도의 최대치는 수평상태에서 6$^{\circ}$만금 머리를 아래로 향하여 보다 깊은 수심으로 유영하여 가는 자세에서 -30.69 dB 이었다. 부레속에 가스가 있을 때의 실험어의 전장과 체중에 따른 평균 등방향 반사강도를 나타내는식은 각각, TS : -65.16 + 20 log L TS : -50.50 + 20/3 log W 이었다. 또한 부레속의 가스를 제거한 후 실험어의 전장과 체중에 따른 평균 등방향 반사강도를 나타내는 식은 각각, TS : -65.29 + 20 log L TS : -52.62 + 20/3 log W으로서 전장과 체중에 대하여 모두 2.12~2.13 dB의 차이가 있었다. 독가시치는 부레속의 가스를 제거하기 전의 등방향 반사강도가 제거한 후보다 최고5.87 dB, 평균 2.01 dB 높았는데 이는 회귀직선식으로 구한 차이와 거의 같은 값이었다. 그러나. $\pm{30}^\circ$ 전후의 유영자세에서 부분적으로 반사강도의 역전현상이 나타났으며. 유영자세 $27^\circ$에서 2.12 dB 이나 낮게 나타났다.

  • PDF

전립선암 치료 시 방광의 용적 변화에 따른 선량의 비교 평가 (Comparison of Doses According to Change of Bladder Volume in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 권경태;민정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15-421
    • /
    • 2017
  • 전립선암에서 방사선치료의 경우 직장의 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항문을 통하여 일정한 양의 공기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다. 이런 이유로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는 매일 영상유도를 하기 위하여 CBCT를 획득하고 있다. 치료 전 처음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과 가장 비슷한 상태의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처치를 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일치된다고 할 수 없다. 두 명의 실제 치료계획에서는 방광의 용적은 45.82 cc와 63.43 cc 및 등가직경 4.4 cm, 4.9 cm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20회 CBCT 결과에서 방광의 용적은 평균 56.2 cc, 105.6cc로 평가되었다. 치료계획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평가된 선량과 A 환자의 기준으로 정한 CBCT의 선량은 PTV Mean dose는 1.74%, Bladder Mean dose는 96.67%의 차이로 평가되었으며, B 환자의 경우 PTV Mean dose는 4.31%, Bladder Mean dose는 97.35%의 차이로 평가되었다. 방광의 용적의 변화에 따라 PTV와 방광의 선량변화가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광의 용적의 변화에 따른 방광 선량의 상관계수 값은 평균선량 $R^2=-0.94$의 선형성을 나타냈다. 방광의 용적변화에 따른 PTV선량의 상관계수 값은 평균선량 $R^2=0.04$의 선형성을 나타냈다. 방광 용적의 변화에 따라 PTV의 선량 변화가 방광의 선량변화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레옥잠 바이오매스의 특성분석과 제지적용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Biomass and Evaluation of Applicability as an Organic Filler to Papermaking)

  • 김동성;허윤성;성용주;한승원;서철모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5호
    • /
    • pp.79-87
    • /
    • 2014
  • The enrichment with nutrients in rivers and lakes becomes serious problems in Korea. As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the phytoremediation are getting more attention and the water hyacinth could be a strong candidate plant for this. Water hyacinth is a free floating freshwater plant proven to be a effective plant used for a purification of a polluted lakes, sewage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The biggest obstacles for application of water hyacinth in Korea could be the disposal of the water hyacinth before winter, because there is no feasible use for the water hyacinth until now.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hyacinth were deeply investigated for providing background data to develop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water hyacinth. The water hyacinth was fractioned three parts, leaf, air blader, root of which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with microscope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he water contents of each parts of the water hyacinth were 87% for leaf, 96.5% for air bladder, 94.6% for root.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each parts were also measured and showed around 29% of hot water extract in leaf and air bladder, 42% holocellulose for leaf, 47% holocellulose for air bladder. The application of water hyacinth biomass without root parts to papermaking provided bulkier structure, but the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방광 팬텀 제작을 통한 충만여부에 따른 방광 주변 병변에 대한 영상 평가 (Development of Bladder Phantom and Image Evaluation of Lesion in the Vicinity according to Filling and Empty Bladder)

  • 박찬록;김재일;이홍재;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20권1호
    • /
    • pp.24-27
    • /
    • 2016
  • 방광 주변에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경우 소변의 충만으로 방광 주변에 병변 평가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방광 팬텀을 직접 제작하여 방광 충만 여부에 따라 주변 병변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Biograph mCT40 (siemens, germany)을 사용하여 6개의 insert에 각각 14.8 MBq ($400{\mu}Ci$), Background 110 MBq (3 mCi), 방광에 74 MBq (2 mCi)를 주입하였다. NEMA IEC body 팬텀을 이용하여 고무풍선을 방광으로 대체하고 6개의 insert를 방광 주변 병변으로 설정하고, %BV, SUV, peak count rate의 영상평가 인자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 BV는 방광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광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hot sphere는 방광의 충만여부에 따라 $7.8{\pm}3.8%$의 SUV 차이가 났다. 방광으로부터의 거리가 0.4 cm 이하까지 방광을 비웠을 경우 평균 카운트가 약 14% 높게 측정되었으며, true count는 38% 감소한 반면, single count는 44%, random count는 61% 감소하였다. 그리고 그 이상의 거리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방광에 찬 소변이 주변 병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방광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광이나 방광 주변에 병변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PET-CT 검사를 하는 모든 환자에 있어 방광을 비우고 검사를 하는 것이 정확한 검사를 하는데 도움을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벤지딘 염료공장 노동자들의 혈뇨 (Hematuria among Benzidine Dye Industry Workers)

  • 손미아;백도명;최정근;박수경;박정순;오세민;박정선;박동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225-243
    • /
    • 1995
  • Benzidine Industry in Korea has started after Japan has banned its production in early 1970's, and it has been in operation in Korea for over 20 years. However, it is not known yet whether any bladder cancer has developed from benzidine exposure. This study was done to screen benzidine-exposed workers for bladder cancer,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screening test at the workplace. All the workplaces that manufacture or use benzidine for more than 20 years in Korea have been covered in this study, and they include 2 benzidine manufacturing factories, 5 benzidine using factories, as well as 2 benzidine free factories as an outside control. In total, 516 workers were screened with urine stick test and urine cytology test for the evidence of hematuria and abnormal urothelial cells. Each worker was also asked about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bladder cancer including past medical history, smoking, medication and occupational history Benzidine in the air was measured by personal and area sampling. Out of 516 screened workers, 84(16.3%) workers showed positive hematuria in urine stick test, and 7(1.4%) workers showed degenerative cells in urine cytology tests. Those workers with abnormal urine test results who have been exposed to benzidine fo more than 10 years were further screened, and, in total, 23 workers were examined with intra-venous pyelography and cystoscopy. None of those screened had any evidence of bladder cancer When workers with only past hematuria history were included in the positive hematuria group, 96(18.5%) had positive hematuria. O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hematur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nzidine exposure, history of other occupations with elevated bladder cancer risk, pyuria and glycosuria. The association got stronger as direct benzidine exposure was accounted through individual task analysis, and as exposure duration was accounted with tenure analysis. For those with benzidine exposure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nure, the odds of having positive hematuria was elevated 2.14(95%C.I is 1.08 to 4.25) times more than for those without exposure. Even though bladder cancer was not detected for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short observation period, majority of studied workers with short latency, healthy worker effect, and low sensitivity of single screening test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hematuria screening is a feasible and very useful test for bladder cancer screening among benzidine exposed workers.

  • PDF

섭취한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 회장방광루 (Ileovesical Fistula Caused by Ingested Foreign Material)

  • 손석우;조영아;박동수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90-195
    • /
    • 2010
  • Ileovesical fistula is a rare condition in children. A case of 13 year-old female with ileovesical fistula caused by an ingested foreign material is presented. She had dysuria and lower abdominal pain for one month. There was no history of medico-surgical illness such as Crohn's disease or diverticulitis. Preoperative imaging study showed a movable calcified object in the pelvic cavity and air bubbles in the bladder. At laparotomy a bezoar-like mass was found at the antimesenteric border of the terminal ileum adherent to the dome of bladder. Segmental resection of the ileum and partial cystectomy were perfo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