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al cell cou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제주도 어승생 저수지 색도 원인 분석 (Analysis of chromaticity cause in Jeju Eoseungsaeng Lake)

  • 이정훈;이희남;김진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1-389
    • /
    • 2016
  • Jeju Eoseungsaeng lake which is a main water resource of Eoseungsaeng water treatment plant($Q=15,000m^3/d$) experienced high chromaticity(40 CU) and pH(9.46) in 2013. This could decline customer's confidence on drinking water quality unless proper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chromaticity were implemented. To find cause of chromaticity, water monitoring on various water parameters including TOC, algal cell count, Chl-a, turbidity, SS, conductivity, etc. were implemented. Iron and manganese were excluded from the cause of chromaticity due to its low concentration (i.e., < 0.02 mg/L). Correlation among water parameters showed that relationship between algal cell count and chromaticity was the highest(R=0.43), which suggested that presumably the main reason of chromaticity occurrence in Jeju Eoseungsaeng lake was algae.

민물말류 군집 생태 연구시 생체량 계산의 의미와 예 (Short Note on Freshwater Algal Biomass Measurements and Significance in Ecological Community Studies)

  • 정상옥
    • ALGAE
    • /
    • 제19권2호
    • /
    • pp.149-151
    • /
    • 2004
  • Freshwater algae make up a very important portion of the autotrophic component of the aquatic food web. Therefore, the study of freshwater algal structure and biomass is central to aquatic ecosystem studies. Due to variations in cell shape and size for each species (or taxon) and survey site, cell abundance (or cell numbers per chosen volume) often leads to misrepresentation of the true importance of some species because of the great differences in size of various algae.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reshwater algal species of a site in order to calculate the cell volume. Although direct cell counting, species volume measurement, as well as biomass calculation are time-consuming and requiring specialists in taxonomy.

초음파 처리 조건에 따른 집락형 유해남조류 Microcystis 세포수 변화 연구 (Colonial Cyanobacteria, Microcystis Cell Density Variations using Ultrasonic Treatment)

  • 이혜진;박혜경;허준;이현제;홍동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0-215
    • /
    • 2018
  • It is difficult to count colonial cyanobacteria Microcystis cells since the thickness of colonies is constrained by amorphous mucilage, making it impossible to estimate the number of cells. Disaggregation of Microcystis colonies into single cell is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cell density estimation of naturally collected samples. Uultrasonic treatment method is commonly used owing to the simplicity and immediacy of the procedure. However, amplitude, frequency, and duration of ultrasonic treatment also cause cell loss during the experiment. Optimal ultrasonic treatment has not been standardized ye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ptimal ultrasonic treatment by analyzing cell density and colony numbers. We collected colonial Microcystis from Changnyeong-Haman weir area in Nakdong River during harmful algal boom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7. Ultrasonic treatment method was applied to disrupt colonies into single cells to enumerate cell density. Among treatment conditions, results from continuously treated for 100 seconds were found to be the optimum to reduce colonies to a suspension of single cell without cell losses under high and low density of Microcystis cells. Lugol iodine fixed cells followed by sonication showed less negative impact of cell damage within the optimal treatment time (100 seconds). Furthermore, disaggregated cells treated by sonication enables microscopic observation more easily since gas vacuoles were collapsed to facilitate sedimentation of cells under the counting chamber for quantitative enumeration of buoyant Microcystis cells.

초분광센서를 활용한 낙동강 하류부 남조류세포수 추정식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lue-green algae cell count estimation formula in Nakdong River downstream using hyperspectral sensors)

  • 김광수;최재윤;남수한;김영도;권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373-380
    • /
    • 2023
  • 국내 이상기후현상과 기후변화로 인해 하천, 호소에 조류의 과대성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하천의 조류는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기타조류 등으로 분류되며, 남조류 중 일부 종은 악취 유발과 독성물질의 배출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조류경보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유해남조류세포수에 따라 발령이 된다. 이렇듯 유해남조류 측정은 매우 중요하며, 현재 조류의 분석방법은 현장샘플을 하여 조류검경을 통해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중 유해남조류를 구분하여 세포수를 산정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최근 원격탐사를 통해 남조류세포수의 대체 인자(지표)인 Phycocyanin을 통해 조류농도를 분석하고 있으나, 남조류세포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천에서 발생한 조류를 채취하여 조류검경을 통해 남조류세포수를 검경하였으며, 광학센서로 Phycocyanin농도, 초분광센서를 통해 조류스펙트럼을 취득하고, 이를 통해 남조류세포수 추정식을 산정하여 남조류세포수를 추정하였다.

Assessment of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extent of algal proliferation in water from an impounding reservoir prone to eutrophication

  • Ballah, Mohun;Bhoyroo, Vishwakalyan;Neetoo, Huda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1호
    • /
    • pp.22-30
    • /
    • 2019
  • Background: Piton du Milieu (PdM) impounding reservoir is suspected to be eutrophic based on the elevated level of orthophosphate and nitrate. Water supplies from three adjacent rivers are primarily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nutrient enrichment of the reservoir. It is also suspected that there is leaching of orthophosphate, nitrate and organic matter into the rivers during rainfall events and also as a result of anthropogenic activities within the catchment a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impact of nutrient loading on the water quality of PdM water and on the population of freshwater microalgae in the reservoir. The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gae from PdM were performed by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Dissolved oxygen (DO) and pH were determined by electrometric methods, whereas nutrient levels, silica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were determined by instrumentation techniques. Results: Annual mean orthophosphate, nitrate and total organic carbon input from the three feeders within the catchment area of PdM reached levels as high as 0.09 mg/L, 0.4 mg/L and 2.62 ppm respectively. Over a 12-month period, mean TOC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was 2.32 ppm while the mean algal cell count was 4601 cells/mL. The dominant algal species identified were Oscillatoria, Cyclotella, Navicula and Cosmarium.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trophic state of the reservoir water and clearly points to the need for constant monitoring in order to avoid the occurrence of an impending harmful algal bloom.

토양 관련 조류독성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for Soil-Related Algal Toxicity)

  • 남선화;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07-612
    • /
    • 2013
  • 토양 생태위해성평가는 식물류, 지렁이류, 선충류, 곤충류 등 일부 영양 단계에 국한된 토양독성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토양독성자료의 생물종 확대를 위해 토양 환경에서의 주요 생산자인 조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관련 조류독성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토양 관련 시험종, 노출매체 등에 초점을 맞춰 연구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시험매체, 시험종, 시험물질, 시험방법 등의 특성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토양 관련 조류독성 연구에 사용된 생물종은 8종(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Chlorella vulgaris, Scenedesmus bijugatus, Chlorococcum infusionum, Scenedesmus subspicatus, Nostoc linckia, Synechococcus elongatus, and Chlorococcum sp.)으로 제한적이고, 독성 종말점은 세포계수나 광합성 색소 측정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노출매체는 액체배지, 토양추출액(soil extract), 토양공극수(porewater), 한천배지, 토양 등 총 5종으로, 액체배지와 토양추출액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양에서 분리된 조류를 이용하거나 토양 추출액을 이용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라 토양 매체에서의 직접적인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토양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건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생태위해성평가는 토양 매체에서의 전반적인 종 민감도 분포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토양 관련 조류 시험종 및 종말점 개발이 필요하다.

군체 크기와 세포수 상관관계를 이용한 녹조 유발 남조류의 세포수 산정 방법 (The Calculation Method of Cell Count for the Bloom-forming (Green tide) Cyanobacterium using Correlation between Colony Area and Cell Number in Korea)

  • 유경아;송미애;변명섭;이혜진;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50-357
    • /
    • 2014
  •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발생 현황을 취 정수장 등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남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인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Oscillatoria 속의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여 군체 크기로 세포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남조류가 과다증식한 시기에 한강(팔당호), 낙동강(달성보, 창녕함안보) 및 금강(고복저수지)의 대표지점에서 남조류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 속의 종별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종 및 속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남조류의 속별 상관분석 결과는 사상형인 Anabaena와 Aphanizomenon의 $r^2$값이 0.93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구형의 Microcystis는 0.7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종 별 상관분석 결과 사상형 남조류 Anabaena crassa, Aphanizomenon flos-aquae, A. issatschenkoi, Oscillatoria curviceps, O. mougeotii는 $r^2$값이 0.89~0.96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구형인 Microcystis aeruginosa, M. wessenbergii, M. viridis는 0.76~0.88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다른 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Microcystis의 상관성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동일한 종, 동일한 크기의 군체라도 Microcystis strain에 따라 점액질 내의 세포 밀집 정도와 세포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 도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군체 크기 측정값을 세포수로 환산하는 방법이 기존의 세포 계수법과 비교할 때 신속하고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남조류 종별 더 정확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료수 확보와 더불어 다른 종들에 대한 조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Chlorella vulgaris의 흡광도, 클로로필 및 개체수 통합 영향에 근거한 중금속 및 나노입자 독성 조사 (Toxicity Evaluation of Metals and Metal-oxide Nanoparticles based on the Absorbance, Chlorophyll Content, and Cell Count of Chlorella vulgaris)

  • 장현진;이문희;이은진;양신;공인철
    • 청정기술
    • /
    • 제23권1호
    • /
    • pp.27-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7종(Cu, Cd, Cr, As(III), As(V), Zn, Ni) 및 나노입자 5종(CuO, ZnO, NiO, $TiO_2$, $Fe_2O_3$)에 대한 독성을 수계 대표 생물종인 녹조류 Chlorella vulgaris를 이용한 생물검정법으로 평가하였다. 조류에 미치는 영향은 흡광도, 클로로필 및 개체수 측정에 대한 결과를 통합하여 평가하였다. 중금속의 통합결과독성($TEC_{50}$) 순서는 Cr ($0.7mgL^{-1}$) > Cu ($1.7mgL^{-1}$) > Cd ($3.2mgL^{-1}$) > Zn ($3.9mgL^{-1}$) > Ni ($13.2mgL^{-1}$) > As(III) ($17.8mgL^{-1}$) ${\gg}$ As(V) (> $1000mgL^{-1}$)로 나타났다. 중금속은 측정종말점에 따라 일부 상이한 민감도와 독성이 조사되었다. 나노입자의 독성($TEC_{50}$) 순서는 ZnO ($2.4mgL^{-1}$) > NiO ($21.1mgL^{-1}$) > CuO ($36.6mgL^{-1}$) > $TiO_2$ ($62.5mgL^{-1}$) > $Fe_2O_3$ ($82.7mgL^{-1}$)로 나타났다. 나노입자는 측정종말점간에 비슷한 민감도와 독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염물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단일 방법에 의한 결과보다는 다양한 측정종말점의 통합결과에 근거한 접근이 적절할 것이다.

연안 양식장 퇴적물의 비료화를 위한 알카리 안정화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lkaline Stabilization Processes for Organic Fertilizer of Coastal Sediments)

  • 김정배;최우정;이필용;김창숙;이희정;김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8-513
    • /
    • 2000
  • 알카리 안정화방법에 의거하여 양식장 퇴적물을 농업용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조과정에 따른 비료의 유효성분 및 중금속농도를 분석하고, 비료의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퇴적물과 축산분뇨 혼합율 및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비료를 제조한 결과 생석회 $30{\%}$ 첨가시 건중량비 1 : 4 이었을 때가 최적의 반응조건 이었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도 영양분의 보강제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퇴적물 조비료는 질소 및 칼륨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급 내지 고급 비료로 평가되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고급 비료에 속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카리 안정화 방법으로 양식장 퇴적물을 유기질 비료로 전환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에 의해 제조된 비료내의 중금속 및 병원성균에 의한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