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zym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5초

잡종(雜種) 채종원(採種園)에서 리기다소나무의 Allozyme 변이(變異)와 Allozyme 분석(分析)에 의(依)한 잡종종자(雜種種字) 발생률(發生率)의 추정(推定) (Allozyme Variation of Pinus rigida Mill. in an F1-Hybrid Seed Orchard and Estimation of the Proportion of F1-Hybrid Seeds by Allozyme Analysis)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09-117
    • /
    • 1984
  • 잡종채종원상(雜種採種園上)의 리기다소나무 49가계(家系)로부터 종자(種字)를 채취하여 종자(種字)의 배유(胚乳) 및 배(胚)에 대한 Aspartate aminotransferase(AAT), Glutamate dehydrogenase(GDH) 및 Leucine aminopeptidase(LAP)등의 Allozyme 변이(變異)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들 세 가지 Allozyme system에서 AAT에 5개, GDH에 1개 및 LAP에 2개, 모두 8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Locus)가 발견되었으며 GDH를 제외한 모든 유전자좌에서 Allozyme Polymorpshism을 발견하였다. 각 유전자좌에 있어서 평균 대입유전자(對立遺傳子) 수(數)는 종자모수집단(種子母樹集團)에서 2.33개, 차대집단(次代集團)에서 2.67개였다. 평균이형접합성(平均異型接合性) 종자모수집단이 0.235, 차대집단(次代集團)이 0.238이었고 유전자의 유전적(遺傳的) 다양성(多樣性)은 종자모수집단이 5.409, 차대집단(次代集團)이 5.569로서 같은 수종의 다른 집단 또는 다른 침엽수 수종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Allozyme분석에 의하여 잡종채종원의 리기다소나무에 있어서 일대잡종(一代雜種) 종자(種子) 발생율(發生率)을 추정해 본 결과 일대잡종 종자의 발생빈도는 0.77%로서 묘포에서 조사한 일대잡종묘의 발생율 0.73%와 거의 일치하였다. 잡종채종원상의 종자모수 리기다소나무 및 이대 차대들 Allozyme변이에 있어서 Wahlund 효과(效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자가수정(自家受精) 및 Non-random mating 등의 가능성이 발견되어 이들에 대한 Allozyme 변이 연구에 깊은 주의가 필요하다.

  • PDF

한국산 왜우렁이 집단의 지역적 Allozyme 변이에 관한 연구(I) (Allozyme Variations in Local Populations of Parafossrulus manchouricus (Gastropoda: Prosobranchia) in Korea)

  • Chung, Pyung-Rim;Jae-Kyung Chang;Yung-Kyum Ah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1호
    • /
    • pp.37-53
    • /
    • 1988
  • The most medically important snail species of Korea is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 member of the freshwater prosobranch family Bithyniidae. The human parasite that this snail transmits is Clonorchis sinensis, the "Chinese live fluke". On the other hand, this snail ha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reduce the turbidity of freshwater by its filiter feeding activity. However, a few basic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The present studies were attempted to know 1) the possibility of culturing the snails and 2) allozyme variations among 5 local populations of this bithyniid snails. As the results of the studies, P. manchouricus was able to be cultivated in the lavoratory and showed considerable allozyme variations especially in the Chongpyung and Paldaing populations out of those collected from 5 localities in Korea. It is quite suggestive that the endemicity of clonorchiasis might be related to the allozyme variability.

  • PDF

한국산 가시톡토기 과 (곤충 강: 톡토기 목)의 문제 2아속의 계통분화 (Phylogenetic Study of Two Problematic Subgenera of Tomoceridae (Insecta : Collembola) from Korea)

  • 박경화;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11-25
    • /
    • 1999
  • 가시톡토기 과에서 분류학적으로 문제되는 2아속 3종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형태형질 및 효소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형질분석과 효소의 분석에서 서로 다른 계통수가 만들어졌다. 형태형질분석에서는 아속간에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효소분석의 경우 아속간에 확실히 구분되었으며 유전적 차이도 매우 컸다. 그러나 이들 계통수들은 distance method나 분지분석방법에서 모두 같은 분지순서를 나타냈는데 특히 형태형질분석의 경우에 형질평가방법과 형질비평가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같았다. 본 연구 결과 어떤 중요한 형태적인 형질이 효소분석에서 처럼 유전적 분화를 나타내면 강렬한 분류형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Bithynia manchourica, B. misella 및 B. kiusiuensis (복종강 : 전새아강) 3종의 Allozyme 연구 (Allozyme Analyses of Bithynia manchourica, B. Misella and B. Kiusiuensis (Gastropoda : Prosobranchia))

  • Kim, Jae-Jin;Kim, Sei-Cha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1
    • /
    • 1990
  •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한 Bithynia manchourica, B. misella and kiusiuensis등 3종의 Bithyniidae 과 패류의 allozyme 을 분석한 결과 B. manchourica 가 다른 2종에 비해 유전적 거리가 멀었고(0.246)B. misella와 B. kiusiuensis에서는 유전적 거리가 0.217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들 3종의 GPI주행양상은 채집지에 따른 변이가 심하지 않았고 각 종에 따른 특이한 allele을 가지고 있었다.

  • PDF

Allozyme Variation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an Invasive Plant, Ageratina altissima(White Snakeroot), in Seoul

  • Chun, Young-Jin;Lee, Hyun-Woo;Lee, Eun-J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09-312
    • /
    • 2001
  • Allozyme studies have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genetic variation and to describe genetic structure in natural populations. In many cases, the genetic diversity of recently established populations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central populations. In addition, the genetic composition of an invasive species is influenced by its History of introduction as well as its ecological characters. Ageratina altissima (L.) R. King & H. Robinson (white snakeroot) is a perennial herb native to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Canada, and is currently receiving much attention for its rapid invasion of the Korean forests.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assess the genetic variability at 11 putative loci in seven introduced populations of A. altissima in Seoul. Populations of A. altissima maintained lower levels of allozyme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 0.063) than those reported for other taxa with similar ecological traits.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bserved among A. altissima populations was considerably low. It is suggested that the populations were recently established from only a few founders via dispersal by human activities, resulting in the loss of genetic variation.

  • PDF

동위효소와 수용성단백질 분석에 의한 한국 초파리아속 10종의 계통 (Phylogeny of Subgenus Drosophila (Drosophilidae: Drosophila) in Korea by Allozyme and Soluble Protein Analysis)

  • Eun Young Joo;Nam Woo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17-225
    • /
    • 2003
  • 한국산 초파리과의 계통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초파리아속에 속하는 10종을 대상으로 동위효소와 수용성 단백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위효소와 수용성 단백질 분석결과 D.(D.) angularis와 D.(D.) brachynephros가 유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종이었으며, D.(D.) curvispina와 D.(D.) tsigana 사이는 유전적 거리가 가장 먼 종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초파리아속 10종은 D.(D.) virilis, D. (D.) tsigana, D. (D.) lacertosa의 제1군과 D. (D.) angularis와 D. (D.) hrachynephros, D. (D.) unispina와 D. (D.) curvispina, D. (D.) takadai와 D. (D.) kuntzei. 그리고 D (D.) nigromaculata의 4개의 아군으로 이루어진 제 2군으로 나눌 수 있다.

Genetic Studies of Oenothera odorata Populations in Korea Based on Isozyme Analysis

  • Huh, Hong-Woo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23-229
    • /
    • 1996
  • The genetic variation in Korean evening primorse (Oeothera odorata L.) populations was examiend to estimate the level of allozyme variation within populatons using starch gel electrophoresis. 7 of 13 loci (Adh, Est-1, Est-2, Mdh-2, Pgd-2, Pgm-1, and Idh) revealed (Ps=43.2%) were polymorphic.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 and polymorphic locus (Ap) for populations were 1.64 and 2.46, respectively.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Aep) within populations relatively was low ranging from 1.08 to 1.22 with a mean of 1.14. Within populations, the mean number of allele per polymorphic loci (Ap) was 2.46,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 was 1.64, and the mean genetic diversity was 0.093. About 2.7% of the total allozyme diversity resided among populations (Mean GST=0.0274). FIS, a measure of the deviation from random mating within 13 populations, was relative low (mean FIS=0.03636). The indirect estimate of gene flow, based on the mean GST, was high (Nm=8.88). Estimates of gene flow were consistent with low levels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 PDF

알로자임에 의한 무 씨의 순수성 검증 (Determination of Seed Purity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Using Allozyme)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07-911
    • /
    • 2008
  • 무(Raphanus sativus L.)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다. 십자화과 식물 종자 생산에서 원하지 않은 내교잡에 의한 종자 결실로 오염이 발생하므로 씨의 순수성 검증은 매우 중요하다. 재배종 진주 대평 무(R. sativus cv. Daepeng)와 백자 무(R. sativus cv. Backza)의 교잡 분석을 실시하였다. 알로자임으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잡종 제1세대($F_1$) 무에 있어서 씨의 순수성을 평가하였다. 웅성과 자성 양친 360개체에 27개 대립유전자좌위를 조사하였다. 특히 Par-1 ($aa{\times}bb$), Lap-1($aa{\times}bb$), Est-1 ($aa{\times}bb$)에서 명확한 잡종 밴드를 나타내었다. Est-1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자성 배우체로부터 기원된 것이 15개체(8.3%)가 발견되었고, 웅성 배우체로부터 기원된 것이 26개체(14.4%)가 발견되었다. 또한 다양도 측면에서 양친 계통에 비해 잡종 계통에서 높은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샤논의 정보지수(Shannon's index)를 이용한 표현형 다양도는 교잡 계통이 가장 높았다. 알로자임에 의한 무 계통의 교잡에 의한 종자 생성에서 씨에 대한 순수성 검증이 효과적으로 탐지되어 육종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Phytophthora infestans in Korea by Using Molecular Markers

  • Zhang Xuan-Zhe;Kim Hwa-Yeong;Kim Byung-S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23-430
    • /
    • 2006
  • A total of 367 isolates of Phytophthora infestans was collected from the leaf samples of late blight disease from five provinces in Korea over the three growing seasons of 2002-2004. Of the 367 isolates, 337 isolates were of the A1 mating type, and 30 isolates were of A2 mating type, showing that the majority was A1 mating type. Profiles of Gpi and Pep defined four allozyme genotypes among the total of 367 isolates. All four allozyme genotypes could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Gpi profiles alone, whereas all isolates were homozygous at the Pep locus (100/100). The mitochondrial DNA haplotype of all isolates were the IIa haplotype. Amplification of the genomic DNAs extracted from eight isolates of each mating typ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he selected primer (OPC-5 primer) produced a total of 20 DNA bands, of which 11 bands were polymorphic. According to the RAPD analysis using the OPC-5 primer, 106 isolates including two standard isolates were separated into 8 groups at the similarity level of 92.5%. The RAPD group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allozyme genotypes and the isolated locations. All of the eight RAPD groups were identified in Gangwon-do, suggesting that Gangwon-do is the center of origin of the P. infestans in Korea. A 600-bp DNA band generated with the OPC-5 primer was specific to A1 mating type isolates, but not detected with A2 mating type, showing that the specific PCR primer can distinguish different mating types in P. infestans.

수본(數本)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전파증식(傳播増殖)중에 있는 리기다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Genetic Structure of Pinus rigida Mill. in an Expanding Population Originating from a Few Founder Trees)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6-26
    • /
    • 1986
  • 처음 8본의 리기다소나무 양친수로부터 전파 증식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AAT, GDH, LAP 등의 Allozyme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표본으로 선정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은 산의 남쪽 낮은 지대에 처음 식재되었던 8본의 양친수로부터 종자가 무더기 무더기로 군데군데 colony를 형성하면서 동쪽, 서쪽, 북쪽으로 전파 증식되어 산지의 각 부분 부분마다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가계군(家系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이주(移柱)와 colony 형성과정에서 부분적으로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결과 처음 리기다소나무 colony가 형성되었던 산의 남쪽지역과 나중에 colony가 형성되었던 북쪽 지역의 소집단 사이에 상당량의 유전자 빈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에 의해 소수 유전자좌(座)에 유전자 고정 현상이 나타났으나 기타의 유전자좌(座)에서는 유전자 Recombination이 일어났다. Gene Recombination에 의한 이형접합체(異型接合體)의 형성과 이들의 자연도태 현상에 의해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있어서도 상당량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형접합성(異型接合性)이 유지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