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opecurus aequali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자운영 입모부족시 Sethoxydim 처리가 둑새풀 방제 및 자운영 녹비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 (Enhancement of Biomass Production in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by Controlling Alopecurus aequalis with Sethoxydim under Poor CMV Seedling Stand)

  • 김상열;오성환;황운하;최경진;박성태;김정일;여운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5-269
    • /
    • 2009
  • 자운영답 입모부족시 생초량 증진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월초에 Sethoxydim 유제로 둑새풀을 일찍 방제시 방제가가 84%로 높았으나 처리시기가 늦을 수록 방제효과는 낮았다. 2. 둑새풀 방제후(처리 76일 후) 자운영 입모수는 처리전과 비슷하였고 가을철 재입모수도 처리전에 비해 $2.2{\sim}2.6$배가 증가 하였으나 무처리는 둑새풀과 경합에 의해 자운영 입모수가 감소하였다. 3. 둑새풀 방제후 자운영 건물중은 자운영 피복도가 20%일때 63%, 50% 피복도일 때 164%가 증가하였고 질소함량으로는 12.3 kg, 16.4 kg/10a으로 표준질소시비량 9 kg/10a 보다 높았다. 4. 둑새풀 방제에 따른 쌀 수량은 기계이앙 및 부분경운 이앙 모두 무방제와 비슷하였다.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Kom.) Ohwi.)의 생리 · 생태적 특성 및 방제 - 2. 비료 3요소에 대한 생장 반응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 (Kom.) Ohwi. - 2. Growth Response to Fertilizer Three Factors)

  • 임일빈;백남현;허상만;고영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127
    • /
    • 1998
  • 뚝새풀의 생장에 대한 비료 3요소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의 초장은 질소 인산 칼리의 3요소, 질소 인산, 인산 칼리 및 인산 단일 시용의 경우에 컸고, 초장에 미치는 비료요소의 주 효과는 인산과 질소였으며, 이들의 상호작용 효과도 켰다. 2. 분얼도 초장과 같은 경향으로 질소 인산 칼리의 3요소, 질소 인산, 인산 칼리, 인산 시용의 경우에 많았으며, 비료 3요소 중 분얼에 미치는 주 효과는 인산이었으며 질소와 칼리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건물 생산량도 질소 인산 칼리의 3요소, 질소 인산, 인산 칼리 및 인산 단일 시용의 경우에 많았고, 비료 3요소 중 건물 생산량에 미치는 주 효과는 인산과 질소였으며, 이들 상호작용의 효과도 컸다. 4. 뚝새풀의 이삭수도 질소 인산 칼리의 3요소 및 질소 인산 시용구에서 많았으며, 주 효과는 인산이었다. 5. 분얼경에 대한 이삭의 비율은 질소 인산, 인산, 질소 인산 칼리, 무시용 및 인산 칼리 시용구의 경우에 높았고, 주로 인산의 효과였으며 칼리와 질소의 단일 시용 효과는 낮았다. 6. 뚝새풀의 생장정도는 비료 3요소 중 인산에 절대적으로 지배되었으며 질소의 시용 효과는 인산의 시용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 PDF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의 염증반응에서 뚝새풀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Alopecurus aequalis Sobol Ethanol Extracts o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Cells)

  • 정호경;강병만;장지훈;안병관;여준환;정원석;조정희;국용인;현규환;조현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8-104
    • /
    • 2014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lopecurus aequalis Sobol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by RAW 264.7 cell line. Consistent with these observations, DS reduced the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t the protein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were also reduced by DS. Moreover, LPS increased expression phosphorylation of $I{\kappa}B{\alpha}$, but DS showed inhibitory effect by reducing LPS-inducible p-$I{\kappa}B{\alpha}$ expressio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own regulation of iNOS, COX-2, TNF-${\alpha}$, and IL-6 expression by DS are achieved by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ctivity, a transcription factor necessary for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that is also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특성(特性) 및 방제(防除) - 1.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 Ohwi. - 1. Gernmination and Emergence Under Several Environmental Conditions)

  • 임일빈;이선룡;허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1994
  • 뚝새풀의 발생(發生)에 있어서 온도(溫度), 광(光), pH, 염농도(鹽濃度) 등(等) 환경(環境)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뚝새풀의 종자(種子)는 휴면성(休眠性)이 있었으며 휴면타파(休眠打破)는 $30^{\circ}C$ 건조처리(乾燥處理)에서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발아율(發芽率)은 $15^{\circ}C$ > $10^{\circ}C$ > $20^{\circ}C$ > $5^{\circ}C$의 순(順)으로 높았으며, $25^{\circ}C$ 이상(以上)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극히 낮았다. 3. 뚝새풀의 발생(發生)에는 광(光)이 크게 관여(關與)하지 않았으며 암상태(暗狀態) 하(下)에서 더 양호(良好)한 편이었다. 4. 실온보존(室溫保存) 종자(種子)는 건조종자(乾燥種子)를 $30^{\circ}C$에서 1일(日) 처리(處理)로도 80% 이상(以上) 발생(發生)되었으며, 30일(日) 이상(以上) 처리(處理) 시(時)는 50% 이하(以下), 60일(日) 처리(處理) 시(時)는 전혀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5. 간척지(干拓地)에서 염농도(鹽濃度) 0.25% 이상(以上)의 포장(圃場)에서는 발생(發生)이 극히 적었다. NaCl 농도(濃度) 0.5% 이상(以上)의 용액(溶液)에서는 발아(發芽)가 저조하였으나 0.7%에서도 70% 정도(程度) 발아(發芽)되었다. 6. pH 2.0에서는 발아(發芽)되지 않았으며, pH 6.0-pH 12.0 범위(範圍)에서는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거의 없었다. 7 답전윤환답(畓田輪換畓)에서 대두(大豆) 3년(年) 연속(連續) 재배시(栽培時) 발생량(發生量)은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

벼 무경운(無耕耘)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둑새풀 방제적기(防除適期) 구명(究明) (An Optimum Control Time of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hwi in No - tillage Dry Seeded Rice)

  • 황정동;박성태;김상열;이기영;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2-367
    • /
    • 1997
  • 벼 무경운(無耕耘)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둑새풀 방제적기(防除適期) 구명(究明)하기 위해 '96년(年) 3월(月) 15일(日)부터 5월(月) 15일(日)까지 15일(日) 간격(間隔)으로 5회(回)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인 Paraquat dichloridc를 ha당(當) 3000ml를 살포(撒布)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둑새풀 방제시(防除時)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42-237g/$m^2$으로 둑새풀 방제시기(防除時期)가 늦을수록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2. 파종시(播種時) $m^2$ 당(當)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3월(月) 15일(日) 및 3월(月) 20일(日) 방제구(防除區)는 각각(各各) 68.3g, 26.3g,이었고 4월(月) 15일(日) 이후(以後)는 0.62g으로 둑새풀 방제가(防除價) 98% 이상(以上) 이었다. 3. 파종후(播種後) 30일(日)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은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35.4g/$m^2$으로 둑새풀 방제가(防除價)가 69.2% 이었으나 3월(月) 30일(日) 이후(以後) 방제구(防除區)는 둑새풀 발생량(發生量)이 0.4-8.2g/$m^2$으로 방제가(防除價)는 92.9% 이상(以上)으로 높았다. 4. 출아기(出芽期)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는 6월(月) 7일(日) 이었으나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6월(月) 6일(日), 3월(月) 30일(日) 방제구(防除區)는 출아기(出芽期)는 다같이 6월(月) 4일(日)로서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대비(對比) 방제구(防除區)는 출아기(出芽期)가 1-3일(日)이 빨랐다. 5. $m^2$당(當) 입모수(立毛數)는 93-110개(個) 이었는데 4월(月) 30일(日) 및 5월(月) 15일(日) 둑새풀 방제구(防除區)는 93-95개(個)로 입모수(立毛數)가 11-17개(個)/$m^2$가 적었다. 6. 둑새풀 부숙장해(腐熟障害)는 4월(月) 30일(日) 및 5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3-4정도(程度) 발생(發生)하였고, 오갈병은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및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1-2정도(程度) 발생(發生)하였다. 7. 출수기(出穗期)는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8월(月) 18일(日))에 비해 3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는 같았으나 3월(月) 30일(日) 이후(以後) 방제구(防除區)는 1일(日)이 빨랐다. 8.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는 대체로 등숙비율(登熟比率), 천립중(千粒重), 수당입수(穗當粒數)는 치리간(處理間)에 별차이가 없었으나 수수(穗數)는 4월(月) 15일(日) 방제구(防除區)에서 가장 많았고 이 시기(時期)를 기준(基準)으로 방제시기(防除時期)가 빠르거나 늦어질수록 약간씩 적었다. 9. 쌀 수량(收量)은 둑새풀 무방제구(無防除區) 4.40ton/ha에 비하여 둑새풀 방제구(防除區)는 4.52-4.79ton/ha으로 무방제구(無防除區) 대비(對比) 3-9% 증수(增收) 되었고 둑새풀 방제구간(防除區間)에는 4월(月) 15일(日) 둑새풀 방제구(防除區)에서 가장 높았다.

  • PDF

제초제 스크리닝을 위한 뚝새풀과 서양뚝새풀간의 생육력 및 제초반응 비교연구 (Comparison of Growth and Herbicidal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iensis) and Blackgrass(Alopecurus myosuroides) for Herbicide Screening)

  • 김진석;김태준;신욱균;김기주;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8-196
    • /
    • 1995
  • 본 연구는 신규 약제의 개발을 위한 스크리닝 재료로써 서양뚝새풀 대신에 뚝새풀 사용이 가능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두 초종간의 발아 및 생육특성 차이와 작용특성이 다른 제초제 들에 대한 반응을 온실조건에서 비교 조사하여 보았다. 아울러 뚝새풀을 재료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파종량 및 처리시기 기준을 검토하였다. 1. 서양뚝새풀은 뚝새풀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발아가 양호하지만, 생육은 보다 고온에서 좋았고, 장일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경향이었다. 초기생육속도 및 생육량이 뚝새풀보다 서양뚝새풀에서 우수하였다. 2. 3-4엽기 이내의 초기 제초반응은 토양처리에서 서양뚝새풀이 둔감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엽처리에서는 같은 효과를 보여 주어 뚝새풀과 약제간 반응차이가 스크리닝 실험에 문제가 될 정도로 크지는 않았다. 따라서 서양뚝새풀 대신에 뚝새풀을 초기단계의 검정초종으로 사용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뚝새풀을 스크리닝 재료로 사용할 경우 파종량은 0.1g/$350cm^2$로 하는 것이 특히 경엽처리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보였고, 약제는 3-5엽기를 기준으로 처리하는 것이 약제선발노력을 줄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충남지역(忠南地域) 추계채소재배지(秋季菜蔬栽培地)에서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의 분포(分布) (Weed Occurrence in Autumn Vegetable Crops in Chungnam Area)

  • 박기웅;노석원;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9-263
    • /
    • 1996
  • 1. 충남지역 시설채소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는 약 30여종이었으며 구슬갓냉이, 둑새풀, 별꽃, 쇠비름, 바랭이, 명아주 등이 전반적으로 우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충남지역의 서북부 해안지역에서는 별꽃, 쇠비름, 둑새풀, 서남부 해안지역에서는 구슬갓냉이, 바랭이, 별꽃, 내륙북부지역에서는 구슬갓냉이, 둑새풀. 바랭이, 내륙남부지역에서는 구슬갓냉이, 둑새풀, 쇠비름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다. 3. 충남지역의 배추포장에서는 별꽃, 구슬갓냉이, 쇠비름, 무포장에서는 구슬갓냉이, 털비름, 별꽃 등, 오이포장에서는 털비름, 별꽃, 바랭이 등, 파포장에서는 구슬갓냉이, 쇠비름 등이 높은 우점도를 나다냈다.

  • PDF

Effects of Mecoprop Wettable Powder Concentrations on Growth and Yield of Flax

  • 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15-2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coprop-wp concentrations on weed control, growth characters and yield in flax, after 7cm and 14cm of plant height it to the field. The major weeds were Alopecurus aequalis var. a murensis (kom) ohwi, Persicaria hydropiper spach, Lamium amplexicaule L, Stellaria alsine Grimm var. undulata ohwi, Eleusine indica(L.) Gaertn. Flax yield were increased somewhat more with 250g/10a mecoprop-wp at 7cm of plant height than the other treatment and by hand weeding treatment of mecoprop-wp, 250g/10a at 7cm of plant height was slightly harmful for the flax with recommended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ll treatments were harmful in the double dosage level.

  • PDF

제초제 처리에 의한 보리의 작물학적 특성 (Bota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Weed Control by Herbicide in Barley)

  • 홍범용;최윤표;차희정;주정일;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19-126
    • /
    • 2008
  • 총체용 "유연" 보리 품종에 대한 토양처리용 제초제인 Alachlor와 Butachlor를 처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잡초방제 효과와 보리 종실 및 건물 수량의 증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2007년 10월 10일 충남대학교 전작 포장에 휴립세조파로 파종하였고, 파종 2일 후에 이들 약제를 처리하고 이듬해에 분얼기와 출수기등 2회에 걸쳐 잡초 초중수와 개체수 및 수량 관련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 발생 경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조사인 처리 25주 후인 3월 30일 조사에서는 Butachlor 처리구에서 점나도나물이 개체수 8.7점, 생체중 4.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Alachlor 처리구에서는 냉이가 5.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둑새풀은 처리된 2종의 약제 모두 발생하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둑새풀 39개로 높았다. 2. 보리 출수기에는 Butachlor의 경우 냉이와 점나도나물의 개체수가 각각 1.7과 2.3개로 두 종의 약제에서 비슷하게 발생 하였으나, Alachlor의 경우에는 오히려 점나도나물보다 냉이의 출현개체가 높았다. 반면에 둑새풀은 1차 조사와 같이 발생하지 않았다. 무처리구 역시 1차 조사와 같이 모든 초종에서 매우 높게 발생하였다. 3. 보리 생육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제초제 처리 25주와 30주 후인 2차에 걸쳐 Alachlor 처리구에서 살펴본 결과 초장, 분얼수, 생체중, 건물중, 근장등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분얼기에서는 생체중 및 건물중의 증가효과가 컸으며, 등숙기에서는 무처리보다 간장 9.2cm, 분얼수 1.8개, 생체중 15.6g, 건물중 3.0g 높게 나타났다. 4. 단위면적당 종실수량 및 지상부 간엽중에 대해 약제 처리효과를 살펴보면 간엽중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수량은 Alachlor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서 Butachlor, 무처리 순이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맥류 파종시 잡초 경감효과 및 수량증수를 위해서는 제초제 사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제초제간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