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erlite IRA-900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Amberlite IRA-900을 이용한 cyclodextrin glucotransferase의 최적 고정화 (Optim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Immobilization on Amberlite IRA-900)

  • Seo, Hyo-Jin;Jung, Il-Hyong;Nam, Soo-Wan;Kim, Byung-Woo;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94-799
    • /
    • 2004
  • Bacillus subtilis NAl/pKBl으로부터 생산된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는 cyclodextrin (CD)의 생산에 이용되었으며, 이에 사용된 CGTase는 ion-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다. 정제된 CGTase는 pH 6.0-7.0 범위, 60-$7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이온결합성 고정화 담체를 이용하여 정제 효소의 고정화를 실시한 결과,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인 Amberlite IRA-900이 가장 우수한 고정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고정화된 효소는 pH 6.0, $6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활성이 약 1개월간 유지되어 cyclodextrin을 생산하기 위한 연속반응기내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메틸프룩토시드의 분리공정 연구 (A Study on the Purification Process of Methyl Fructoside by Liquid Chromatography)

  • 허주형;유인상김해성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29-535
    • /
    • 1996
  • 효소적으로 합성된 메틸프룩토시드(methyl fruc­t to side )와 당의 혼합물로부터 Amberlite IRA -900 을 고정상 담체로 하여 당과 배당체를 액체 크로마 토그래피법으로 정밀 분리함으로써 메틸프룩토시드 를 출발물질로 하는 새로운 sugar ester의 합성 공 정이 연구개발되도록 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에 의한 알킬배당체의 정밀 분리기술이 실용화될 수 있도록 최적조업조건과 해상도 빛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Amberlite IRA-900을 고정상 담체로 한 메틸프 룩토시드의 정밀분리공정은 이론단수의 개념에 근거 한 선형 크로마토그래피 모델로 모사할 수 있었으며 에틸프룩토시드와 자당의 용출 크로마토그램을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급액농도가 각각 3g/L와 5g/L 인 메틸프룩토시드와 자당의 수용액으로부터 메틸프 룩토시드를 정밀분리하기 위해서는 급액을 $60^{\circ}C$에서 충전체적의 75%까지 주입하고공탑유속 1.13cm/mm의 중류수로 용출시킬 때 해상도 1.1에서 95% 이상의 회수율과 7mg MF/g-resin/h의 생산성을 얻었다.

  • PDF

Immobil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sferase on Amberline IRA-900 for Biosynthesis of Transglycosylated Xylitol

  • Kim, Pan-Soo;Shin, Hyun-Dong;Park, Joong-Kon;Lee, Young-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3호
    • /
    • pp.174-180
    • /
    • 2000
  •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a) from Thermoanaerobacter sp. was adsorbed on the ion exchange resin Amberlite IRA-900.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immobilization of the CGTase were pH6.0 and 600 U CGTase/g resin, and the maximum yield of immobilization was around 63% on the basis of amount ratio of the adsorbed enzyme to intial amount in the solution. Immobilixation of CGTase shift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enzyme to peoduce transglycosylated xylitol from 7$0^{\circ}C$ to 9$0^{\circ}C$ and improved the thermal stability of immobilized CGTase, especially after the addition of soluble starch and calcium ions. Transglycosylated xylitol was continuoncly produced using immobilized CGTase in the column type packed bed reactor,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maximum yield were 10%(w/v) dextrin (13 of the dextrose equivalent) as the glycosyl donor, 10%(w/v) dextrin (13 of the dextrose equivalent) as the glycosyl donor, 10%(w/v) xylitor as the glycosyl acceptor, 20mL/h of medium fiow rate, and 6$0^{\circ}C$. The maximum yield of transglycosylated xylitol and productivity were 25% and 7.82 g.L-1.h-1, respectively. The half-life of the immobilized CGTase in a column type packed bed reactor was longer than 30 days.

  • PDF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모나자이트중 우라늄의 분리, 회수에 관한 연구 (Separation and Recovery of Uranium from Korean Monazite Sand by Ion-Exchange resin)

  • 하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1-367
    • /
    • 1983
  • 이온 교환수지에 의한 국산모나자이트 중에 함유된 우라늄을 분리, 회수하기 위하여 강염기성 이온교환수지(Amberlite IRA-900)에 S$O_4^{2-}$ 및 P$O_4^{3-}$ 이온을 흡착시켜 황산우라닐착이온, 인산우라닐착이온 형태로 우라늄을 흡착시켜 적당한 용리액(HN$O_3$ : N$NH_4NO_3$)으로 우라늄을 분리 회수하는 실험을 하였다. 표준우라늄을 사용하였을 때 황산형수지에서 99.3%, 인산형수지에서 99.2%까지 회수하였으며 모자나이트를 황산분해한 모나자이트 황산분해용액 중의 희토류원소들을 제거한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는 약 92%까지 회수하였다. 모나자이트 중에 함유된 인산이온의 방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형수지에서 우라늄의 회수율이 51% 정도인 것으로 보아 모나자이트를 황산으로 분해하였을 때는 대부분의 우라늄은 황산우라닐착이온으로 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 PDF

Effective Purification of Ginsenosides from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ith Macroporous Resins

  • Li, Huayue;Lee, Jae-Hwa;Ha, Jong-M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1호
    • /
    • pp.1789-1791
    • /
    • 2008
  • This study was aimed (i)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ginsenosides for industrial use and (ii)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ginsenosides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Panax ginseng) with those of red ginseng (steamed ginseng) and white ginseng (air-dried ginseng). The crude extra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ere obtained by using a 75% ethanol extraction combined with ultrasonication. This was followed sequentially by AB-8 macroporous adsorption chromatography, Amberlite IRA 900 Cl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Amberlite XAD16 adsorption chromatography for further purification.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were increased from 4.1%, 12.1%, and 11.3% in the crude extra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to 79.4%, 71.7%, and 72.5% in the final products, respectively. HPLC analysis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s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were distributed in a different ratio compared with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피부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 JJ-11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ase Pro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JJ-11 Isolated from the Human Skin)

  • 이진경;김해남;강호영;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5-252
    • /
    • 2006
  • 피부 트러블을 가진 남,여 40명의 피부에서 분리한 collagen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로 판명되었으며 이를 S. aureus JJ-11이라 명명하였다. S. aurells JJ-11 균주의 collagenase의 최적 생산 조건은 1.5%(w/v) gelatin, 1%(w/v) yeast extract, 0.4% (w/v) $K_2HPO_4$, 0.005%(w/v) $NiSO_4{\cdot}6H_2O$를 함유한 배지 (pH 7.0)에서 $37^{\circ}C$, 200 rpm으로 18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분리 균주가 생산하는 collagenase를 정제하기 위해서 amberlite IRA-900과 sephacryl S-300 HR columns를 이용하였고, 6.66-folds로 정제되었다. S. allreus JJ-11 균주가 생산하는 collagenase를 정제한 결과 분자량은 약 62 kDa이었으며, pH 7.0과 $37^{\circ}C$에서 각각 최대의 활성을 가졌고, pH와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pH 4.0-8.0, $40^{\circ}C$까지 100%의 활성이 있었다. 금속이온에 대해서는 $Fe^{2+},\;Co^{2+},\;Ba^{2+}$ 존재 하에서는 5 mM 농도에서도 활성을 유지하였다. $Sr^{2+},\;Hg^{2+}$에서는 30% 이상이 저해를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DTA와 O-phenanthroline에 의해 65% 이상이 저해되는 일 반적인 collagenase의 특정인 metalloproteinase의 특정을 보였으며, 그리고, 여러 가지 기절에 대해 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 insoluble collagen (type I)에 대해 효소 활성이 가장 높았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JS-17 Collagenase.)

  • 임경숙;손승희;강호영;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57-663
    • /
    • 2005
  • Collagnase는 천연 collagen의 triple-stranded helix를 분해할 수 있는 protease로서 조직의 수복과 재생 과정에서 collagen의 재형성과 세포의 이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숙주 감염시에는 collagen 기질을 빠르게 분해함으로써 감염을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에서 식용하는 김치로부터 collagen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였으며 이를 Bacillus subtilis JS-17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최적 생산 조건은 $1.5\%$ fructose, $1\%$ yeast extract, $0.5\%\;K_2HPO_4,\;0.4\%\;KH_2PO_4,\;0.01\%\;MgSO_4{\cdot}4H_2O,\;0.1\%\;citrate,\;0.1\%\;CaCl_2(pH\;7.0)$의 배지에서 $30^{\circ}C$, 200 rpm으로 72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최적 조건에서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를 Amberlite IRA-900 column chromatography, Sephacryl S-300 HR column chromatography, DEAE-Sephadex A-30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분리 정제하고, 얻어진 정제 효소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의 비활성은 growth medium에서 192.1 units/mg였고, $1.1\%$의 수율로 얻어졌으며 분자량은 28 kDa이었다. 정제된 collagenase는 $55^{\circ}C$까지는 $100\%$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65^{\circ}C$에서도 $60\%$ 정도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pH $6.0\~9.8$에서 $6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는 metalloprotease inhibitor인 EDTA와 O-phenanthroline에 의해 효소 활성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Ammoninum persulfate, L-cysteine, N-ethylmaleimide, SDS, $NaN_3$, NaF, $KMnO_4$, PMSF에 대해서도 활성이 감소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를 여러 가지 기질에 대해 효소 활성을 비교한 결과 collagen (type I)에 대해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Purification of Total Ginsesides with Macroporous Resin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Li, Huayue;Jin, Haizhu;Lee, Dong-Geun;Lee, Jae-Hwa;Lee, Sang-Hyeon;Ha, Bae-Jin;Ha, Jong-My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21-1326
    • /
    • 2006
  • Total ginsenosides were purified and their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crude extracts of ginseng, which were extracted with 75% ethanol by ultrasonification method, were firstly purified on AB-8 macroporous adsorption column to remove water soluble impurities, and decolored on Amberlite IRA 900 Cl anion-exchange column. Then, they were purified on Amberlite XAD16 adsorption column to delete the non-polar impurities. Total ginsenosides contents of the purified extracts were 79.4%, 71.7% and 72.5% in cultured wild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hi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crude extracts. All of the three extracts showed concentration-dependant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radicals, among which white ginseng showed the most powerful activity. Cultured wild ginseng roots showed strongest effect against both B. subtilis PM 125(Gram-positive) and E. coli D31 (Gram-negative) bacteria, while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only showed the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TT assay, ail of the three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U-937 human hohistiocytic lympma cell,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when compared to th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