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Writing Textbook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 구슬기;박일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463-480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posing th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hildren's scientific 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ones of each chapter and thus to propose an effective way of presenting scientific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Korean 'Science'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and Macmillan Mcgraw-Hill(MMH) Science for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science writing tasks per pages, and less per chapters than MMH one. Both text books provide balanced amount of science writing tasks, yet MMH especially does systematic exercises for each chapter.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s' scientific writing shows that both textbooks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writing, which reflects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is leaning towards acquiring and verifying scientific concepts. In American textbooks, however, writings utilizing extensive cognition process and materials are also presen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present diverse and expressive writing assignments including personal opinion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tasks.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re present independently with lesson objectives of the chapters and practices, while those in MMH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textbooks' way of presenting writing tas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thus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and by implementing extensive cognitive process in the writing activities, textbook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in improv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쓰기 활동 자료 분석 (An analysis of writing activity material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손미용;이재근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3호
    • /
    • pp.139-1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presented in the thirteen middle school textbooks and determine if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are analyzed based on three criteria. First,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are analyzed based on Rivers'(1981) five writing guidances, which are specified with detailed writing activity materials. The first criterion was suggested by Young-Ran Lee(2004). Second,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in the textbook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prescrib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specified with writing activities presented by Rivers(1981), Raimes(1983), Hedge(1988), and Beverly and Carol(1988). Third,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related to other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in the textbooks a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integration of skil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activity materials in the textbooks belong to the type of 'reproduction', ie. the second stage of Rivers' writing guidance, 'recombination, which is the third stage of Rivers' writing guidance, and the type of 'guided writing', noted on the fourth stage of the guidance. Second,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satisfy the criter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proportions, but they are not balanced. Third, most of the writing activity materials contain writing activities that involve non-writing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but they are not balanced. Particularly, writing activity materials related to reading activities are common.

  • PDF

수행을 위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한국어교재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Components of Writing Tasks for Performance)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7-206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제시되는 쓰기 과제가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쓰기 과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이 설정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연구 대상인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과제의 유형에서 '자유 작문'과 '모방해서 쓰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는 21개 정도였다. 지시 내용의 대다수가 한 두 문장의 지시문으로 지시사항을 진술하는데 대부분이 주제 및 장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의 목적, 형식, 분량, 시간 등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텍스트의 유형은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설명문의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평가 준거와 기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시간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고급수준의 쓰기 과제에서는 글의 분량, 형식 등이 그나마 제시되는 편이나 초급과 중급에서는 이것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통합형 한국어교재에는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가 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채 학습자들에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과업 분석: 장르, 텍스트 전개구조, 활동 유형, 진정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writing task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cusing on genre, rhetorical structure, task types, and authenticity)

  • 최선희;유호정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267-29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tasks included in the newly develope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e aspects of genre, rhetorical structure, task type, and authenticit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se task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EFL students' writing skills. A total of nine textbook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every writing task in each textbook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types of genres were incorporated in the tasks, but very few opportunities were provided for students to acquir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res. In terms of rhetorical structure of text, narration, illustration, and transaction were required most, whereas not a single writing task asked students to use classification or cause and effect. Many of the writing tasks analyzed offered linguistic and/or content support through the use of models, which displays traces of the product-based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Lastly, most of the tasks lacked authenticity represented by explicit discussion of purpose and audience. Implications for L2 writing task development and writing instruction in the Korean EFL context are discussed.

  • PDF

쓰기이론과 쓰기지식에 기초한 한국어 쓰기교재 분석 (Analysi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Based on the Rationale and Knowledges for Writing)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24-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쓰기교육 이론에 비추어 한국어 쓰기교재의 위치와 특징을 점검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고 쓰기지식 구성활동을 살펴보아 추후 교재개발에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쓰기교재 4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텍스트 질적 분석을 통해 자료수집, 개방코딩, 심층코딩, 표현과 제시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이 교재에 어떻게 적용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언어 구조지식, 과정지식, 맥락지식, 내용지식의 네 차원에서 교재의 언어활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특별히 내용지식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단원의 조직에서 나타난 이론적 배경과 내부 구성 및 내용은 일치하지 않았다. 네 가지 쓰기지식 역시 각 교재에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나 강조점과 비중의 차이는 있었다. 나아가 본고는 내용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교재를 드러내고 이러한 교재가 사회구성주의 쓰기교재로서 바람직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쓰기교재 개발과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science writing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길순;강유진;김지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344-355
    • /
    • 2014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위한 방법으로 과학 글쓰기를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 종을 분석하여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을 제재와 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글쓰기 페이지 비율이 낮았으며, 과학 글쓰기 수가 교과서 종류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글쓰기가 대부분 단원의 마무리에 제시되어 있고, 교과서에 따라서는 단원별로 제시된 과학 글쓰기 페이지 수와 과학 글쓰기 수의 편차가 큰 경우도 있었다. 둘째,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의 제재 및 글쓰기 양식을 구분한 결과, '과학지식-설명'이 가장 많았고, 'STS-주장'이 두 번째로 많았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과학지식-설명' 중 일부는 과학 학습을 위한 글쓰기가 아니라 언어영역 비문학독해와 같은 제시문의 독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어서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 데는 부족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진술에 사용되는 서술어 중에는 과학 글쓰기 의도가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서술어가 다수 존재하였다.

  • PDF

성인 문해교육 기관의 자체 개발 교과서의 내용 제시 방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Literacy Textbooks for Adult Learners Developed by Adult Literary Education Institutes)

  • 김재춘;변효종;박은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57-466
    • /
    • 2007
  • This study is to analyze literacy textbooks for adult learners developed by adult literacy education institutes. In the study, six different kinds of literacy textbooks a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ive evaluation criteria.: unit organization, presentation way of Hangeul, type of content, level of content, and degree of subject integration. The results of literacy textboo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iteracy textbooks carry different forms of unit organization in different textbooks. Most textbooks are composed of lessons, without a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lessons, whereas some textbooks carry a hierarchical structure of 'unit + lessons'. Second, Hangeul is mostly presented in the form of reading and writing and literacy textbooks tend to present Hangeul as constructing letter through combining vowels and consonants rather than as whole language. Third, literacy textbooks contain life-adjustment situations which would help adult learners to lead everyday lives more efficiently. Fourth, literacy textbooks carry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al content, ranging from 'basic Hangeul' through 'expanded content' to high level of Hangeul writing. Fifth, literacy textbooks appear to integrate educational content from different subjects in order to provide more relevant content for adult learners.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 Focused o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 전제응;고상훈;고아라;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1-27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 글쓰기 과제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으로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가 줄어들고, 과제가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5~6학년군 과학 글쓰기 과제가 글과 그림으로 제시되어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과제를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학년군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 하위 요소에 치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5~6학년군에서 가장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반영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되고 있었다.

글쓰기 내용지식 구성의 세분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글쓰기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Content Knowledge Formation -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86-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내용지식으로부터 학생의 통합지식을 구성함에 있어 지식통합의 단위와 기준을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형성 있는 대학 글쓰기 교재 세 권을 분석하고 내용지식의 구성에 대한 제시방법을 텍스트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살폈다. 분석 절차와 제시방법은 Creswell의 질적 연구에서의 나선형 분석 모델을 따랐다. 이는 자료 수집부터 분석, 제시까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자료 분석 방법이다. 이를 통해 내용지식 구성단위에는 글 전체 단위, 단락 단위, 문장 단위의 세 가지 차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내용지식 구성의 체계화된 교육을 위해서 이 세 가지 단위 차원을 모두 다루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식통합의 과정별 기준과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지식의 선별 과정에서는 논지와의 적합성과 보충성의 기준을, 지식의 조직과 통합과정에서는 통일적 통합, 모순적 통합, 배경적 통합, 종합적 통합 등의 기준과 내용을, 지식의 표현과 인용 과정에서는 정확한 표현과 표기법, 출처표시 등의 절차 지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표현의 차원에서 일반 글쓰기 교재에서 빈번하게 연습되는 '바꿔 말하기' 과정도 '요약, 연계, 해석과 변용'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연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몇 차례 더 세분화의 과정을 거쳐야 대학 수준의 글쓰기 교재에 활용하기 적합하고 체계화된 지식통합의 요목들을 정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추후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제7차 초등학교 $3{\sim}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강훈식;윤지현;이대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58-16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on learning with the multiple represen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the macroscopic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ymbolic external representations.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ith drawing and/or writing, especially writing,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out drawing and/or writing. However, the most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rarely us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or the theories (e.g., personalization principle, dual coding theory, cognitive load theory, and social constructivism theory) for effective uses of the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to establish the effectiv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learners but also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