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otation Edit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DESIGN OF E-BOOK VIEWER FOR PDA SUPPORTING ANNOTATION EDITING

  • Lee, Joo-Pyo;Hwang, Dae-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76-582
    • /
    • 2003
  • Because of today's rapid growth of digital contents market and many benefits of electronic book, many people have considerable interest in E-book. Furthermore multifarious consortiums take an active part in standardization of I-book, and many E-book tools have been provided by software manufactures all over the world. E-book tools include editor for production of E-Book, viewer for reading, and the like. Especially in E-book viewer, annotation function has to be Included to put arrangement, summation, recording, comment, emphasis and after comprehension to practical use. In this paper, a E-book viewer with annotation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EBKS, Korean standard. The proposed viewer is aimed to implement in PDA with embedded Linux, but developed in Windows 2000 platform. Becaus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application environment are different each other, Qt-Library and cross-compiler are used for cross-platform development. The viewer support various functions such as adjusting of font size, hypertext linking, retrieval of specific word, and so forth. And in addition to these basic functions, annotation function is designed for the viewer, which can be used for re-usage and sharing of important information.

  • PDF

Bioinformatics Approaches for the Identification and Annotation of RNA Editing Sites

  • Lee, Soo Youn;Kim, Ju Ha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0권1호
    • /
    • pp.27-32
    • /
    • 2013
  • Post-transcriptional nucleotide sequence modification of transcripts by RNA editing is an important molecular mechanism in the regulation of protein function and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human disease phenotypes. Identification of RNA editing sites is the basic step for studying RNA editing. Databases and bioinformatics resources are used to annotate and evaluate as well as identify RNA editing sites. No method is free of limitations. Correctly establishing an analytic pipeline and strategic application of both experimental and bioinformatics methods constitute the first step in investigating RNA editing. This review summarizes modern bioinformatics approaches and related resources for RNA editing research.

Extending TextAE for annotation of non-contiguous entities

  • Lever, Jake;Altman, Russ;Kim, Jin-D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2호
    • /
    • pp.15.1-15.6
    • /
    • 2020
  • Named entity recognition tools are used to identify mentions of biomedical entities in free text and are essential components of high-quality information retrieval and extraction systems. Without good entity recognition, methods will mislabel searched text and will miss important information or identify spurious text that will frustrate users. Most tools do not capture non-contiguous entities which are separate spans of text that together refer to an entity, e.g., the entity "type 1 diabetes" in the phrase "type 1 and type 2 diabetes." This type is commonly found in biomedical texts, especially in lists, where multiple biomedical entities are named in shortened form to avoid repeating words. Most text annotation systems, that enable users to view and edit entity annotations, do not support non-contiguous entities. Therefore, experts cannot even visualize non-contiguous entities, let alone annotate them to build valuable datasets for machine learning methods. To combat this problem and as part of the BLAH6 hackathon, we extended the TextAE platform to allow visualization and annotation of non-contiguous entities. This enables users to add new subspans to existing entities by selecting additional text. We integrate this new functionality with TextAE's existing editing functionality to allow easy changes to entity annotation and editing of relation annotations involving non-contiguous entities, with importing and exporting to the PubAnnotation format. Finally, we roughly quantify the problem across the entire accessible biomedical literature to highlight that there are a substantial number of non-contiguous entities that appear in lists that would be missed by most text mining systems.

펜 기반 웹 문서 교정을 위한 모호성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mbiguity Resolving for Pen-based Proofreading of Web Documents)

  • 손원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6
    • /
    • 2007
  • 전자펜을 이용한 문서교정 시스템에서 정확한 교정결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문서 교정자가 드로잉한 교정부호와 문서내용간의 영역 모호성(ambiguity)을 해결하여야 한다. 한편 교정의 대상이 되는 전자문서가 HTML/XML과 같은 경우 교정된 문서구조가 반드시 기 정의된 DTD를 위배하지 않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펜 기반의 교정시스템에서 교정부호(마킹)와 대상문서간의 모호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인터페이스에서는 모호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정부호와 문서간의 컨텍스트(Context)를 반영하였으며 동시에 대상문서의 문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정 인터페이스는 기존 교정시스템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정부호 입력에 따른 구조문서 변경시에도 원본문서의 DTD에 따르는 문서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 PDF

주석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PDA용 E-Book Viewer의 설계 (Design of E-Book Viewer for PDA supporting Annotation Editing)

  • 이주표;박준표;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80-785
    • /
    • 2002
  • 오늘날 디지털 컨텐츠 시장의 급성장, 그리고 전자책이 갖는 장점들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전자책에 많은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이에 전세계적으로 각국에서는 전자책 문서의 표준화를 위한 컨소시엄이 활동 중에 있다. 또한 전자책을 보기 위한 도구인 E-Book Viewer에 대한 여러 연구 및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중에서 주석 기능은 정보 공유 및 검색과 같은 다양한 활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석을 지원하는 PDA용 E-Book Viewer의 설계를 위하여 Windows 환경에서 QT Labrary를 이용하였으며, 폰트의 크기와 스킨의 색상, 주석의 표현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고, 특정 단어를 검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 PDF

PPEditor: 한국어 의존구조 부착을 위한 반자동 말뭉치 구축 도구 (PPEditor: Semi-Automatic Annotation Tool for Korean Dependency Structure)

  • 김재훈;박은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1호
    • /
    • pp.63-70
    • /
    • 2006
  • 말뭉치(corpus)는 많은 언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언어처리 및 계산언어학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말뭉치에 언어 정보를 부착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이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말뭉치 구축 도구가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존구조 부착을 위한 말뭉치 구축 도구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해서 기술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주석자가 전혀 개입하지 않고, 말뭉치를 구축하는 것이나 이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말뭉치 구축 도구는 반자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된 도구도 반자동이다. 제안된 도구는 언어 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내포된 오류를 효과적으로 수정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한 반복적인 작업을 피할 수 있으며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20어절 이상의 1만 문장에 의존구조를 부착해 보았다. 잘 훈련된 8명의 주석자들이 매일 4시간씩 2개월 동안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는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었으며, 작업 시간과 인력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조선 의가 이규준의 『황제내경』 의학 계승 - 『의감중마』 「계경장부편」을 중심으로 - (Lee Gyoojoon, a Korean Medical Scientist's Succession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Medicine)

  • 오재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95
    • /
    • 2015
  • Objectives : I'd like to introduce a Korean medical scientist, Lee Gyoojoon (李圭晙, 1855-1923)'s achievements about Huangdi's Internal Classic (黃帝內經, HIC) to examine the Section of Viscera and Bowels to inspect the Medical Classics (稽經藏府篇, SVBIM) of the Double grinded Medical Mirror (醫鑑重磨, DMM), which is a medical book published in 1922, his last studies. And I'd like to describe its meaning of medical history. Methods : For this, I compared the DMM with two primary texts, the representative medical books of Joseon dynasty,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東醫寶鑑, TMEM) and Lee's former research result of HIC, Major Essentials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Plain Question (黃帝內經素問大要, MEHIC), in the aspects of the original text, annotation, editing, attached theses, and so on. Results : Lee Gyoojoon criticized the TMEM in two aspects. First, it was unfocused and miscellaneous, second, it intended to help Yin Qi (陰氣) and reduce Yang Qi (陽氣) so that it regards a prime mover, Yang Qi, as an enem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e deleted miscellaneous articles and sort out the points to accord with the HIC. As a result, he had written the Section of SVBIM of the DMM in the form of revising the subtitles or refuting the contents of TMEM and quoted the partial texts of MEHIC to be written by the view of Supporting Yang Qi (扶陽). Conclusions : Lee Gyoojoon proposed the Supporting Yang Qi medicine to preserve the Heart fire (心火) based on his lifelong Neo-Confucianism (性理學) study. The Section of SVBIM of the DMM showed how to apply his medical theory, which is achieved by the study of the medical classic HIC to real clinical medicine through a medium of the TMEM. In addition, it could explain concretely how the Confucianists studied the medicine and how Confucianism can impact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heory.

XML 문서에서의 펜 기반 교정 인터페이스 (A Pen-based Proofreading Interface in XML Documents)

  • 손원성;김재경;최윤철;임순범;김우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2호
    • /
    • pp.231-242
    • /
    • 2006
  • 펜 기반 교정 환경에서 정확한 마킹영역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교정마킹과 문서영역간의 관계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호성(ambiguity)을 해결하여야 한다. 또한 웹 및 XML과 같은 구조문서 환경에서는 변경된 문서구조가 반드시 정의된 DTD에 따라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형 마킹에 의한 교정부호 입력이 가능하며, 교정 마킹과 원본문서의 영역을 판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호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컨텍스트 기반의 영역인식 및 보정 인터페이스(Context-based Proofreading Interface)를 제안한다. 제안 인터페이스에서는 교정부호의 입력에 따른 문서내용 및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올바르게 문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생성된 교정 마킹 정보는 기존 교정시스템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정부호 입력에 따른 구조문서 변경시에도 원본문서의 DTD에 따르는 문서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DOM에 기반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pn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Document Authoring system based on DOM)

  • 유성주;김차종;신현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01-2608
    • /
    • 2010
  • 텍스트 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에서는 문서의 병합과 재사용이 어려우며 문서를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웹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대상으로 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을 설계 구현함으로써 이들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이를 위해 XML 문서를 객체 모델화하고 조작하기 위한 API인 DOM(Document Object Model)에 기반을 두었으며 Java 객체를 송수신하고, 구현 시 소켓통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도록 RMI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켰으며 템플릿(Template) 제공, 주석달기, 문서구조 가시화가 가능한 편집기를 제공함으로써 XML 문서 공동저작의 수월성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