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Construction Firm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아파트 건설기업(상장기업)의 효율성 분석 (Measuring Efficiency of Korean Apartment Construction Firms using DEA)

  • 김종기;강다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201-207
    • /
    • 2008
  • 현재 아파트 건설 산업의 경쟁적인 사업 환경으로 인해 아파트 건설기업의 파산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건설기업(상장기업)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에 따른 효율성을 DEA분석기법으로 분석하는 것으로써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아파트 건설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총 25개 아파트 건설기업들의 CCR, BCC 효율성과 규모수익성(RTS)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아파트 건설기업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CCR효율성이 1인 업체는 4개 기업, BCC효율성이 1인 업체는 10개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규모수익성은 IRS가 21개의 기업, CRS가 4개의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분양가 자율화와 건설회사의 주가 (A Study of the Deregulation of New Apartment Sales Price and the Stock Price of Construction Firms)

  • 양중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11
    • /
    • 2019
  • 본 연구는 분양가 자율화가 건설회사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적인 분석방법으로, 본 연구는 전통적인 사건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양가 자율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어떤 변수와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로, 정부가 분양가 자율화 발표시 주식의 누적추과수익률은 양의 값을 갖는다. 발표전 -10일과 발표후 +10일간의 거래기간인 21일 동안의 누적초과수익률은 25.51%이며 1%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본 결과는 분양가 자율화가 긍정적인 정보를 증권시장에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회귀분석결과 본 연구는 누적초과수익률이 매출액총이익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건설 업체 공기산정 기준 및 영향요인 연구 -공동주택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imate Criteria and Influence Factors of Construction Duration of Domestic Firms -Focused on the Apartment Building Firms-)

  • 김선엽;김선국;한충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7-450
    • /
    • 2004
  • 국내 건설업계는 공기보다는 공사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사회적 요구 변화로 인하여 공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적정한 공사기간은 다른 방면으로서의 비용절감과 관리의 효율성을 줄 수 있다. 특히 공동주택과 같은 경우 대부분의 공정이 타 기업과 유사하여 다른 기업의 장점을 쉽게 얻을 수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공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공기가 타기업에 비해 짧은 기업을 대상으로 대공정 수준의 일반 공기 산정 기준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기업의 공기 우위요인을 연구하여 공기 산정을 위해 검토하여야 할 요소와 이를 통한 공기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제시하려 한다.

  • PDF

시스템사고를 통한 아파트 브랜드와 주거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Brands and Housing with System Thinking)

  • 김봉식;유창규;안병주;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3-606
    • /
    • 2007
  • 2007년 현재 우리나라의 아파트 시장은 건설업체의 이름보다 브랜드가 더 알려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아파트의 브랜드화는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 외환위기 이 후부터 존재하기 시작하였다. 외환위기 이 후 분양가 자율화와 주택시장의 구조변화로 인해 건설업체간의 경쟁은 브랜드 아파트라는 새로운 개념을 창출 해 냈고, 현재 브랜드가 분양시장에 있어서는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 되어버렸다. 이와 같이 브랜드가 건설업체의 중요한 요소로 두각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아파트를 형성하고 있는 여러 요인들과 그것의 실제 사용자인 거주자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단편적인 측면의 브랜드 전략과 거주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만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아파트 브랜드와 주거의 상관관계의 영향변수를 분류하여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시스템 사고 이론에 입각하여 연결하고, 그 구조를 동태적으로 파악하여 상관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이고, 나아가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건설업체의 전략수립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X-12 ARIMA를 이용한 아파트 원가의 변동분석 및 예측모델 개발 (Time Serie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Forecasting Model in Apartment House Cost Using X-12 ARIMA)

  • 조훈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98-106
    • /
    • 2005
  • 아파트 건설원가 추정지수와 그 예측모델은 아파트 분양가격 변동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건설기 업이 적정이윤을 계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철골 철골조주택 공사비지수를 개선하고, 개선된 지수를 대상으로 X-12 ARIMA 방법에 의한 예측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5년간 노무비를 제외하고 약 33.7%의 아파트 건설 원가상승요인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3년간 16.8%가량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정량적인 연구결과는 최근의 높은 아파트 분양가격의 적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고, 아파트 건설원가의 변동패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 맞춤형 아파트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stom-built Apartment)

  • 한송이;최재규;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30-233
    • /
    • 2003
  • 타 산업, 특히 제조업 분야의 경우 급격한 기술 및 인터넷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시장이 세분화 되고 다품종 소량생산의 체제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주택 시장에도 변화를 간져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주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설계 시점부터 소비자와 상담을 통하여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아파트가 도입되었으나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맞춤형 아파트의 운영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맞춤형 아파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전 단계로. 맞춤형 아파트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 최근의 공동주택 공급 전략 및 맞춤형 아파트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 PDF

공동주택 부위별 마감수준에 대한 CS전문가 집단의 인식 분석 (Weighing the CS Experts' Priority on the Quality of Each Housing Segment -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

  • 조태제;최종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09-617
    • /
    • 2011
  • 주택시장의 패러다임이 수요자 중심의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수요의 축소와 공급자인 건설사간의 경쟁이 심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건설사의 공동주택 공급전략이 요구되며 이는 마케팅, 상품개발, 품질관리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설사의 전략수립에 기초가 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CS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동주택을 13개 부위로 구분하여 각 부위별 마감품질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AHP 기법을 활용한 분석결과 각 부위별 중요도는 주방, 세대현관, 지하주차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는 입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할 후속연구의 결과와 연계할 경우 건설사의 공동주택 공급전략 수립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PMN 모델링 방식을 활용한 공동주택 하자진단 업무프로세스 모델 (The Defect Diagnosis Process Model Utilizing BPMN Modeling Method in the Apartment Housing)

  • 정려원;김경환;이정석;김재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67-79
    • /
    • 2015
  • As the Korean construction market in the apartment housing has changed to a housing consumer focused market, interest and importance on efficient use and management on existing buildings has increased rather than demand for new buildings. Interest of housing consumers on apartment house quality has increased in this market paradigm, and this spontaneously is connected to quality flaw related defect disputes and lawsuits that the importance of defect diagnosis has continuously increased. This defect diagnosis is directly connected to maintenance charges in defect dispute and lawsuit processes that rather objective and highly credible progress of duty is required. However, most defect diagnosis firms today that progress defect diagnosis are using different diagnosis methods and depend on the experience of experienced professionals that there is no standardized defect diagnosis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mon defect diagnosis process model for defect diagnosis firms utilizing the BPMN (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modeling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professional and reliable task performances of concerned defect diagnosis worker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design lawsuit damage will be substantially reduced by standardizing defect diagnosis processes.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한 아파트 개발 사업 기획 모델 (A Planning Model for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Reflecting Client Requirements)

  • 김유신;오예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88-96
    • /
    • 2004
  • 고객 요구사항은 기업의 여러 성과와 관련하여 최근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개념이며, 특히 국내 건설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 사업의 경우 다각도의 조사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발굴하고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아파트 사업에 적용하는 기법이 요구되며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와 연계된 ROQ(Return On Qualify)는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고 이를 품질개선 프로그램에 적용해 수익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프로세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ROQ 프로세스의 적용을 통해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자 면접조사와 FGI(포커스그룹 인터뷰) 조사 실시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으며, 그 후 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아파트 상품 개발에 적용 가능한 품질개선 프로그램을 수립하였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새로운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RESEARCH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THOD FOR KOREAN NAME BRAND APARTMENT

  • Kyungsook Kim;Moojoong Kim;Jaehak Jo;Jaeju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083-1088
    • /
    • 2005
  • Current brand strategies applied for name brand apartments seem to have no product differentiation but merely function as a convenient instrument for product image change through naming only. Since proliferating brand names don't have much relevance to their brand concepts at present, long-range brand strategies are definitely needed. We'll inquire, first, the success and failure cases in the brand strategies of other industry. Nex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e'll look into the brand concepts of construction firms and their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we'll present the necessity of indigenous brand culture by use of macroscopic contents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