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 Angl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1초

Control of Delta-Wing Vortex by Apex Strake

  • Sohn, Myong-Hwan;Chung, Hyoung-Seo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98-106
    • /
    • 2007
  • The vortex flow characteristics of a double-delta wing, which can change the incidence angle of its apex strak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wing-surface pressure measurement and the particle image velocimetry(PIV) measurement of the wing-leeward flow region. The apex strake has sharp edges and can change its incidence angle with a hinge line at the 23% chord position measured from the apex of the main wing.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incidence-angle change of the apex strake could greatly alter the vortex flow pattern around the double-delta wing and the wing-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which suggested that the apex strake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device for the active control of delta-wing vortex flow.

Another Glenoid Measurements for Shoulder Surgery

  • Jeong, Yeon-Seok;Yum, Jae-Kwang;Lee, Jun-Seo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179-185
    • /
    • 2018
  • Background: We analyzed the angle between the glenoid anterior surface and glenoid axis, the range of the glenoid apex and the location of the glenoid apex for assistance during shoulder surgery. Methods: Sixty-two patients underwent a computed tomography of the shoulder with a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the range of the glenoid apex, the ratios of the distribution of triangles with a Constant anterior and posterior area of the glenoid were measured. The location of glenoid apex was confirmed as the percentage of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glenoid with the center of the part, analyzed the angle between the glenoid anterior surface and glenoid axis was measured. Results: The angle between the glenoid anterior surface and glenoid axis was $19.80^{\circ}{\pm}3.88^{\circ}$. The location of the glenoid apex is $60.36%{\pm}9.31%$, with the upper end of the glenoid as the reference. The range of the glenoid apex was $21.16%{\pm}4.98%$. When the height of the glenoid becomes smaller, the range of the glenoid apex tends to become larger (p=0.001) and the range of the glenoid apex becomes wider (p=0.001) as the glenoid width narrows. Conclusions: We believe the anatomical measurements of the glenoid will be helpful for a more accurate insertion in glenoid component. It is thought that more accurate insertion is possible if we can set other anatomical measurements using computed tomography imaging of the glenoid which can develop into the study of other anatomical measurements.

꼭지각이 다른 쐐기형 무반향 타일의 음향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Wedge-shaped Anechoic Tiles with Different Wedge-apex Angles)

  • 김성기;이강일;윤석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
    • /
    • 2001
  • 무반향 수조의 내벽 흡음재로 사용되는 무반향 타일을 쐐기형으로 제작하여 쐐기의 꼭지각 변화에 따른 음향학적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무반향 타일 평판 시료의 크기는 400mm x 385mm x 15.5 mm이며, 무반향 타일을 구성하는 쐐기의 길이는 27.5mm로 고정하였다. 음선추적법을 이용하여 무반향 타일 시료 평판에 부착될 흡음쐐기의 꼭지각을 각각30°와 60°로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수중에서 쐐기가 부착되지 않은 평판형 무반향 타일과 흡음쐐기의 꼭지각이 30°와 60°인 무반향 타일에 음파를 수직 입사하여 반사손실을 측정하였다. 또한 쐐기의 유무와 무반향 타일을 구성하는 쐐기의 꼭지각 변화에 따른반사 및 흡음특성을 고찰하였다. 쐐기의 꼭지각이 30°일 때 60°보다 반사손실이 증가함을 이론을 통해 예측하였고,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써 음선추적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한 무반향 타일의 흡음쐐기의 꼭지각이 30°인 무반향 타일의 흡음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premolar positions in Angle Class I subjects with different vertical facial type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Duan, Jun;Deng, Feng;Li, Wan-Shan;Li, Xue-Lei;Zheng, Lei-Lei;Li, Gui-Yuan;Bai, Yan-Ji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80-189
    • /
    • 2015
  • Objective: To compare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premolars in Angle Class I subjects according to vertical facial type. The results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redicting effective tooth movement i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120 Angle Class I subjects.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short, normal, and long face types according to the Frankfort mandibular angle. Parameters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right premolars and the mandible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axis and buccal cortex,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buccal cortex, angle of vestibularization, arc of vestibularization, and root apex maximum movable distanc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hort face type than in the long and norm face type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axis and buccal cortex, the distance from root apex to buccal cortex, and the arc of vestibulariza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hort face type than in the normal face type. Conclus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premolar positions in Class I subjects according to vertical facial type.

LASER-INDUCED IGNITION OF REACTIVE SOLIDS WITH ROUGH SURFACE

  • Jae-Ou Chae;Gregory N. Mokhin;Nam-Ki Kim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5년도 제4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57-168
    • /
    • 1995
  • Ignition of a reactive solid with rough surface by constant heat flux is studied. The geometry of surface is represented by a protrusion in shape of cone of infinite length. Ignition time and ignition criterion versus apex angle are determined, with the use of heterogeneous model of ignition. To study the effect of geometry on igni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known results for the one-dimensional ignition of the semi-infinite body. It is shown, that: a) ignition time depends strongly upon the apex angle and is proportional to the angle to the second power; b) ignition criterion and ignition temperature do not depend strongly on angle. The ignition delay and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uccessful ignition are substantially reduced compared to the one-dimensional case.

  • PDF

앙와위와 좌측 기울린위치에서의 좌심실의 공간적 관계 변화. 임신부 심폐소생술 측면에서 (Spatial Relationship of the Left Ventricle in the Supine Position and the Left Lateral Tilt Position (Implicat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Pregnant Patients))

  • 윤종근;이병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5-79
    • /
    • 2013
  • 임신부의 경우 심폐소생술동안 좌측 기울림을 적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좌측으로 기울리면 임신부의 자궁 뿐만이 아니라 좌심실도 좌측으로 편위되어 심폐소생술의 심장펌프기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좌측 기울림이 심폐소생술동안 흉골 운동 방향을 대변하는 전후축과 좌심실의 공간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가상내시경검사를 받은 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컴퓨터단층촬영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가상내시경은 앙와위와 좌측 기울림 위치 모두에서 실시되었다. 좌심실 단면적이 가장 넓은 축면에서 전후축과 좌심실축사이의 각도($Angle_{AP-LV}$), 전후축과 좌심실 중앙사이 최단거리($D_{AP-MidLV}$), 및 전후축과 좌심실첨부사이 최단거리($D_{AP-Apex}$)를 측정하였다. 대상환자 중 87명(96.7%)에서는 앙와위에서 좌심실이 전후축의 좌측에 위치하였다. 좌측으로 기울인 영상에서의 기울림 각도는 $43.4{\pm}11.0^{\circ}$였다. $D_{AP-MidLV}$$D_{AP-Apex}$는 좌측 기울린 위치에서 의미있게 길었지만 (p<0.001), AngleAP-LV는 두 자세 사이에 비슷했다. 심장정지인 임신부에서 좌측으로 기울림은 흉부압박의 심장펌프 효과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CT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용 형판의 무치악 거리에 따른 정확도 분석 (Accuracy of the CT guided implant template by using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the edentulous distance)

  • 강병길;김희중;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용 형판의 무치악 거리에 따른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방사선불투과성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상악 좌우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부위를 치아상실 상태로 5개의 상악 모형을 제작하고 각각의 모형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가상 모형을 획득하였다. 모형의 술전 CT DICOM file과 가상의 모형을 중첩 후 치아 상실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고 제작된 수술용 형판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후 술후 CT 촬영을 시행하였다. 술전 CT와 술후 CT를 software상에서 중첩 후 X, Y, Z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platform과 apex 부위에서, 계획된 임플란트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의 거리 및 각 오차를 측정하고 Kruskal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식립 각도 오차는 제2소구치에서 제2대구치로 갈수록 커졌으나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latform 부위와 apex부위에서의 식립 거리 오차 또한 제2소구치에서 제2대구치로 갈수록 커지나 제2대구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큰 오차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는 계획된 임플란트와 식립된 임플란트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platform과 apex 부위에서의 식립 거리는 제2대구치 부위의 임플란트에서 더 큰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Anamorphic 프리즘을 위한 계산 평가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in Calculating and Estimating Anamorphic Prisms)

  • 이동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55
    • /
    • 2008
  • 목적: anamorphoser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anamorphic 프리즘을 계산,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 anamorphic 프리즘 매질의 굴절률과 빔의 확대 비율에 의해 결정되는 프리즘의 정각과 프리즘의 볼륨을 확인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anamorphic 프리즘 제작이 상당히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anamorphic 프리즘이 사용되는 전체 광학계의 설계와 제작에 편리한 수단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프리즘 매질의 굴절률, 빔의 확대 비율이 주어졌을 때 anamorphic 프리즘의 정각 및 배치각을 결정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였고, 다음은 이것을 가시화하여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델파이 6.0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하였다. 결과: anamorphoser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anamorphic 프리즘을 계산,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사용 해 본 결과로 볼 때, 이 프로그램은 생산자에게 많은 정확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기에 anamorphoser의 구성 부품으로 사용되는 anamorphic 프리즘의 계산과 생산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상강좌 1 - 비우식성 치경부병소와 치경부 복합레진수복의 응력분석 (Stress analysis of non carious cervical lesion and cervic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박정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7-307
    • /
    • 2010
  • Noncarious cervical lesions(NCCLs) are characterized as structural defects found on the tooth surface of the cement-enamel junction. Loss of tooth structure through noncarious mechanisms may vary in etiology and clinical presentation for each individual but presently many clinician now classify this as tooth failure of abfraction due to the stress applied in the cervical area of the tooth under oral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loads.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stress distribution of maxillary premolar with NCCL using simulated 3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ound maxillary premolar, the stresses were highly concentrated at cervical enamel surface of the mesiobuccal line angle, asymmetrically. 2. Once the lesion has been formed, the highest stress concentration was observed around the apex of the wedge shaped lesion. 3. In four types of NCCL, the patterns of stress distribution were similar and the peak stress was observed at mesial corner and also stresses concentrated at lesion apex. 4. Lesion cavity modification of rounding apex, reduced stress of lesion apex. 5. When restoring the notch-shaped lesion, material with high elastic modulus worked well at the lesion apex and material with low elastic modulus worked well at the cervical cavosurface margin.

Optical simulation of micro-pyramid arrays for the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backlight unit of LCD

  • Lee, Ji-Young;Kim, Young-Jin;Nahm, Kie-Bong;Ko, Jae-Hyeo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43-1346
    • /
    • 2006
  • Optical performances of micro-pyramid arrays were simulated by ray tracing technique for the application of backlight unit of LCD. Th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luminance and the on-axis luminance gain depended on the apex angle,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density of micro-pyramids. The on-axis luminance reached a maximum when the apex angle was $90^{\circ}$. It also increased as the density and the refractive index of micro-pyramids increased. The present result showed that highly-efficient optical sheet might become realized by adopting micropyramid array and corresponding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proce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