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ied Music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대학의 음악과 명칭에 관한 연구 (대학의 실용음악과 명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me of Music Universities in Korea (Focusing on the name of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applied Music))

  • 이정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19-6124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의 실용음악 개설 대학들의(대학, 전문대, 학점은행제 포함) 현황을 파악하고 각 대학들의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현재 확장되고 있는 각 대학 실용음악과의 특성과 개설 배경을 설명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의 오류나 잘못된 해석의 경우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개설되어있는 각 대학의 실용음악과의 명칭에 있어 공감대 있는 국문, 영문 명칭 제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새롭게 개설되거나 편입되는 대학, 대학원 또는 그 외에 학점은행제를 포함하는 모든 음악교육 기관의 실용음악과 학과 개설 시 필요한 명칭의 선택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악발성과 실용음악발성의 비교연구 (Comparison between Operatic Singing and Applied Music Singing)

  • 남도현;김화숙;유현지;최홍식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4호
    • /
    • pp.11-18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classical operatic singing and applied music singing using the vocal assessment software, Dr. Speech and SPEAD from Lx Speech Studio.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eight female operatic singers (mean 22.6 yrs, average career 7.5 yrs); eight male operatic singers (mean 25.6 yrs, average career 7.3 yrs); eight female applied music singers (mean 25.1 yrs, average career 6.1 yrs); and eight male applied music singers (mean 27.6 yrs, average career 6.8 yrs). The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closed quotient values in female applied music singers during singing (p<.05). In addition, higher closed quotient values in speaking were presented in male classical singers and longer MPT was obtained in female operatic singers (p<.05). Furthermore, singer's formants were identified in all male operatic singers and in three female operatic singers. In contrast, only one applied music male and one female singer showed singer's formants while singing.

  • PDF

학생 1인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거시적 교육방향 탐색: 실용음악분야를 중심으로 (Inquiry on Educating One-person Creative Enterprise by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eld of Applied Music Education)

  • 이승희;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5-133
    • /
    • 2012
  • 학생 1인창조기업은 내용전문성을 갖춘 청년이나 대학생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1인기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전문인력양성이라는 교육적 책무성을 가진 대학에서 학생 1인창조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음악콘텐츠산업에 진출하는 예비 음악가들의 창업역량을 개발하는 관점에서 학생 1인창조기업의 교육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악콘텐츠산업의 최근동향과 창업역량, 창업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토대로 실용음악분야의 거시적 교육방향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인문학적 통찰력 함양, 창의적 기업가정신 배양, 뉴미디어 패러다임 수용, 인지적 음악도제 활용.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among Vocal and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 이다혜;황영진;김재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was suitable for singers in other genres than vocal music to assess their vocal problems subjectively. Twenty six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wenty six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G0 and G1 in voice quality using the GRBAS scale during the tasks of singing. K-SVHI wa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In the singing task,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SVHI scores by G scale. In the reading task, the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0 than in G1 in K-SVHIs by G scale, while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1 than in G0. Also,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0, G1 in the singing task while the vocal music group showe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0 in the reading task. In addition, the vocal music group ha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1 in both tasks. As comparing by groups in three sub-areas of K-SVHI,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area. Those results showed that singers felt their voice problems differently by musical genres, which means that K-SVHI may not be a proper tool for evaluating voice handicap of singers in diverse voice music genres.

실용음악대학 현황과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소재 실용음악대학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n management of colleges of applied music -with the focus on applied music departments based in Busan -)

  • 서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29-538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소재 실용음악대학들의 과목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실용음악관련 학교들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부산소재 3개 학과의 커리큘럼을 분석한 결과 실용음악전공과 기존 음악학과의 커리큘럼은 일부 유사성이 있으나 차이점도 상당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산의 경우 실용음악학과의 교육과목은 기존 순수음악학과의 영향아래에 있지만 나름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실용음악 교육기관들은 관련 커리큘럼을 세분화시키는 동시에 타 전공과 연계한 융합형 과목의 개설을 시도하고 교육환경의 향상을 도모해야한다. 이제 음악 내로 한정하는 기존의 논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경영, 미디어관련학과들과 연계해 음악기획이나 정책과 연관된 융합형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수업을 통해 뮤지션으로의 진로뿐 아니라 공연기획, 문화예술행정가 등으로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기관의 관계자들은 공론장에서 이에 대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제 국내 실용음악학의 발전을 위한 근원적 성찰이 필요하다.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operative Roles between K-Pop and Applied Music)

  • 류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12-425
    • /
    • 2017
  •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 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 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차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 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보컬 가창 훈련을 위한 CAI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CAI Development for Vocal Training in Applied Music)

  • 문원경;이승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3-22
    • /
    • 2016
  • 실용음악의 가창 및 악기에 대한 도제식 교육방식은 국내에 실용음악 교육이 도입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 없이 수용되어 왔다. '1대1 개인 레슨'이나 배정된 '전공지도 교수자에 의한 도제식 교육법' 이외의 다른 교수법에 대한 논의나 제안이 제기된 사례가 많지 않다. 1980년대 후반, 실용음악 교육이 국내에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실용음악 교육을 위한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코스웨어 개발은 실용음악 이외의 분야에서처럼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실용음악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프로듀싱이나 영상 음악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발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용음악 교육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의 발전된 기능들을 활용하여 실용음악 가창 분야에서 전통적인 도제식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학습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음원의 음정 보정을 위해 개발된 피치 쉬프트(Pitch Shift)기술인 오토 튠(auto tune)을 활용한다. 이것을 통해 음정에 관한 실시간 피드백이나 녹음 후 모니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가창 훈련 시 음정 정확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물론 가창력을 판단할 때 음정 정확도만 평가 되는 것은 아니며 음정 정확도 역시 발성, 발음 등의 복잡한 신체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 연구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이 실용음악 보컬 학습자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여 더 효율적인 가창 훈련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Customized Exercise Program according to Various Music Tempo on the Pain, Posture, and Function of Auto Parts Manufacturing Workers

  • Kim, Ho;Shin, Wonseob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48-5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according to various music tempo on pain, posture, and function of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workers. Design: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is study was an exercise program tailored to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4 weeks and 3 times a week for 60 minutes.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customized exerci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usculoskeletal system. The subject provided music during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group who applied the fast tempo music listened to the music of 120~140 bpm, and the group who applied the slow tempo music listened to the music of the low tempo of 60~80 bpm.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ain and phys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fast tempo music group and the slow tempo music group (p<0.01).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e characteristics only in the fast tempo music group (p<0.01). In terms of pain, physical function, and posture characteristics, the fast tempo music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slow music tempo group (p<0.05). Conclusions: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using fast-tempo music and slow-tempo music to workers in the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physical function, and posture characteristics applied with fast-tempo music were found. In the future, applying an exercise program with a fast tempo is expected to help improve musculoskeletal disorders.

한국 실용음악과 피아노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A Research on Problem and Improvement of Piano Education at Applied Music Department in Korean Colleges)

  • 김성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36-139
    • /
    • 2011
  • 본 논문은 국내 실용음악과(Applied Music Department)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피아노 교육의 한계를 짚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실용음악 전공 학생들의 발성치료 전후 성대 및 음성 특성 비교 (Comparison of Vocal Cord Motion and Voice Characteristics of Applied Music Sing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Singing Voice Therapy)

  • 황연신;심미란;김철준;최용석;김상연;최찬호;선동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4-121
    • /
    • 201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Many students major in applied music singing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phonation when they sing or perform. But the studies about this cause are l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singing voice therapy based on vocal music is effective or not to applied music singing students that have difficulties in phonation. Materials and Methods : Singing voice therapy program had been done to 8 students major in applied music singing during 7 weeks. We did laryngeal stroboscope, perceptual, acoustic and aerodynamic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singing voice therapy to this students. And we studied post examination results have differences or improvements compared to pre examination results. Results : Four male students don't have effective improvement after singing voice therapy but they shows slight improvement in aerodynamic examination values compared to pre examination values. Four female students shows improvement in aerodynamic examination values and pitch range increasing. Above all, one student's vocal nodules disappeared after singing voice therapy. Conclusion : Singing voice therapy based on music singing is very effective to the students major in applied music singing. Above all, their curriculum in applied music singing should include phonation training based on music singing before training perform and technic pract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