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oval Rat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객체식별아이디 이포지션 기반의 LBSNS 앱이 19대 총선 후보 지지율의 변화에 미친 영향 (Change of Approval Rating of Candidates for 19th General Election affected by LBSNS Application based on Object Identification, ePosition)

  • 이상지;장동혁;박성운;조원희;이기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71-179
    • /
    • 2013
  • 19대 총선에서 특정 후보의 이름을 포함하도록 정한 통합식별아이디 이포지션(ePosition)을 기반으로 후보 개인 맞춤형 LBSNS 앱을 기획하여 개발하고 선거기간 동안 홍보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선거를 전후하여 본 LBSNS 앱이 후보의 지지율 변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 정량적으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6개 지역구 24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LBSNS 앱을 활용한 후보와 그렇지 않은 후보를 구분하여 선거운동 기간 동안 언론에 공개적으로 발표된 지지율과 개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지지율 변화를 비교하였다. 해당 앱을 활용한 3명의 후보는 각각 12.6%, 11.4% 및 11.2%씩 두 자리 수의 지지율 상승이 있었지만 나머지 21명의 후보들은 지지율 변화는 모두 3% 이내로 머물러 개인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활용함으로써 후보 지지율 상승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조사 연구 (Investigation Research on the Residents Satisfaction Rating to the Floor Impact Sound in Apartment Buildings)

  • 김경우;최현중;김영수;양관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79-184
    • /
    • 2010
  • In this study, the satisfaction rating to the floor impact sound was investigated for the residents in the apartment Building where the business scheme had been approved after 2005.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xisting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597 residents in 14 apartments complex which were applied with standard floor structure and approval floor structure. Most of respondents(71.1 %) answered that the performance of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in case of standard floor structur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apartments where they used to live. Comparing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 of existing research, the answered ratio of 'less annoyed' and 'less loud' is somewhat increased.

소셜 미디어(SNS)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여론조사 예측 모델 분석 (Analyzing Effective Poll Prediction Model Using Social Media (SNS) Data Augmentation)

  • 황선익;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00-1808
    • /
    • 2022
  • 선거기간이 되면 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후보자별 지지율을 조사하여 배포한다. 과거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의존하여 지지율을 조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 여론이 표출된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표출된 국민 여론을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면 여론조사 결과만큼 정확한 후보자 지지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정치 관련 언급을 종합하여 선거기간 후보자의 지지율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게시글에서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해 KoBert, KcBert, KoELECTRA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여론조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모델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Effects of Lowering the Statutory Maximum Interest Rate on Non-bank Credit Loans

  • KIM, MEERO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4권3호
    • /
    • pp.1-26
    • /
    • 2022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the cut in the legal maximum interest rate (from 27.4% to 24%) that occurred in February of 2018 on loan interest rates, the default rates, and the loan approval rate of borrowers in the non-banking sector. We use the difference-in-difference identification strategy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cut in the legal maximum interest rate using micro-level data from a major credit-rating company. The legal maximum rate cut significantly lowers the loan interest rate and default rate of low-credit borrowers (i.e., high-credit-risk borrowers) in the non-banking sector. However, this effect is limited to borrowers who have not been excluded from the market despite the legal maximum interest rate cut. The loan approval rate of low-credit borrower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legal maximum interest rate cut. Meanwhile, the loan approval rate of high-credit and medium-credit (i.e., low credit risk and medium credit risk) borrowers increased. This implies that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non-banking sector should reduce the loan supply to low-credit borrowers who are no longer profitable while increasing the loan supply to high- and medium-credit borrowers.

소규모 민간건축 시공현장에 있어서 창호에너지 소비효율등급제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in Construction Field)

  • 강석표;진은미;윤여면;박상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25
    • /
    • 2014
  • Up to now, most the fenestration industry is consisted of glazing and window frame in Korea. According to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of Buildings, u-value of fenestration is defined as the value of calculation with glazing and frame. For this reason, when applying for a building permit, in most cases, the official approval test report of the set of windows and doors is used. Nevertheless, in windows construction progresses, most construction manager take delivery of the glazing and frame separately. For those reason, windows and doors are constructed regardless of the report of the Fenestr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Rating System in most construction fields. From now on, the research of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reality of policy and reality of construction fields should be carried out.

  • PDF

The Energy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NEO-Hanok

  • Han, Sang Hee;Park, So Yeon;Park, Hyo Soon
    • KIEAE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77-86
    • /
    • 2014
  • Plenty of efforts have been made i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Korea, Hanok, to develop various elements such as restoration, the introduction of new design, and energy-saving while systemic setups on standard and evaluation of eco-friendly energy design of Hanok are lacking. If we evaluate energy performance based on current standards without reflecting unique features of Hanok on the system, Hanok will be included in the very low grade among the residential buildings being included in the approval system of eco-friendly architecture or the unique features will be modified and the burden of increased construction cost.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reference for the introductory evaluation system by evaluating the energy performance level of NEO-Hanok based on the current building energy rating system. The result for NEO-Hanok based on the building energy rating system, we propose the rating standard with scorecard elements of NEO-Hanok by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identity and standard for NEO-Hanok. As a result of infiltration test to check the tightness, it was measured as 10.81 times/h (50 ACH). As we switch from the main insulation for the wall from the glass wool 64k(0.035W/mk) to rigid polyurethane foam first class first unit (0.024W/mk), the result was slightly increased from the first demand quantity rating yield $249.8kWh/m^2{\cdot}yr$ to $235.0kWh/m^2{\cdot}yr$. Current certificate system is focused more on the heating load than the cooling load, it is disadvantageous for Hanok, which has less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summer. The rating result from the target building study is level 4.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Presidential Job Approval in the Poll Survey)

  • 배종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3-134
    • /
    • 2012
  • 대통령 지지도는 대통령 자신에 대한 정치적인 성취뿐만 아니라 국민과 관련된 정책 결정 및 추진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대통령 지지도 측정 방식은 현실적인 체감적인 만족과는 상당한 격차를 느끼게 할 정도로 측정 자체에 많은 문제점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를 측정하는 문항의 구성과 조사결과의 활용에 있어 현행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첫째로 설문기획 측면에서 '대통령 국정수행'을 평가하는 성격의 설문구성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통령으로서의 일'을 모르는 응답자들이 '잘하는지와 못하는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기 척도에서도 응답자의 응답가능성을 기초할 때 4점 척도의 보기 구성보다 5점 척도의 보기 구성이 타당함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로 통계분석 측면에서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문항(잘하는지와 못하는지를 응답하는 문항)과 정책관련 문항, 직접적으로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물어보는 문항과의 상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는 적절하지 않으며 대통령에 대해 직접적인 지지 여부를 물어보는 것이 가장 설명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과활용 측면에서 대통령의 지지도가 '높고 낮음'은 언론 매체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조사 자체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도출하여 대통령 지지도의 결과값과 비교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보았다.

  • PDF

노인 장기요양보험의 등급판정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연구 (A Study on the Judgement Rating for Level of Need for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a Decision Tree)

  • 한상태;강현철;최보승;이성건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1호
    • /
    • pp.137-146
    • /
    •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이나 노인성질병 등으로 인하여 혼자서 일상 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사회적 연대원리에 의해 제공하는 사회보험 제도로써,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신뢰성있는 등급판정을 위하여, 안정적인 수급자의 요양인정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양인정점수 산출과 등급판정에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사용하였고 안정적인 모형을 위해 원자료의 변환 및 절사, 다양한 분리기준(splitting criterion), 정지규칙(stopping rule)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한 모형이 기존의 모형보다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동양사상의 시스템 사고를 통한 상생 리더십의 현대적 사례 연구: 2011년 서울 시장 보궐 선거, 안철수와 박원순을 중심으로 (Oriental Way of Systems Thinking and Win-Win Leadership: Focusing on 2011 Seoul mayor election, Ahn Cheol-soo & Park Won-soon)

  • 김헌식;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5-40
    • /
    • 2012
  • This study focus on oriental way for Win-win leadership of modern time using systems thinking approach. We constructed concept, 'Modesty Leadership' from oriental bible- Tao Te Ching, Change Ch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This work described in the paper based on case collected from 2011 Seoul city mayor election in the Korea. There are three initial aims : to confirm what feedback loop affected approval rating, to determine how these feedback interacted and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cognitive mapping. The use of system thinking to model cognitive mapping of political election untraditional approach in study of oriental bible. This approach is valuable in that it can be to understand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ir effect on decision making.

  • PDF

객체식별아이디 기반의 개인 맞춤형 LBSNS 앱의 19대 총선 후보 지지율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approval rating of 19th general election affected by LBSNS application S/W based on object identification)

  • 이상지;장동혁;박성운;이기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2
    • /
    • 2013
  • 19대 총선에서 특정 후보를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 맞춤형 위치기반소셜네트워크서비스(LBSNS,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앱(App)을 기획하여 개발하고 선거기간 동안 활용함으로써 선거 전후 해당 후보의 지지율 변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6개 지역구 24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LBSNS 앱을 활용한 후보와 그렇지 않은 후보를 구분하여 선거운동 기간 동안 언론에 공개적으로 발표된 지지율과 개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지지율 변화를 비교하였다. 해당 앱을 활용한 3명의 후보는 각각 12.6%, 11.4% 및 11.2%씩 두 자리 수의 지지율 상승이 있었지만 나머지 21명의 후보들은 지지율 변화는 모두 3% 이내로 머물러 개인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활용함으로써 후보 지지율 상승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