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amino acid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1초

Regulation of 3-Deoxy-D-arabinoheptulosonate-7-phosphate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Producing Phenazine-1-carboxylic acid

  • Kim, Kyoung-Ja
    • BMB Reports
    • /
    • 제34권4호
    • /
    • pp.299-304
    • /
    • 2001
  • The 3-Deoxy-D-arabinoheptulosonate 7-phosphate (DAHP) synthase is the first enzyme of aromatic amino acid-, folic acid-, and phenazine-1-carboxylic acid biosynthetic pathways.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that produces phenazine-1-carboxylic acid was feedback inhibited by two intermediary metabolites of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s, prephenate and chorismate, but not by other metabolites, such as anthranilic acid, shikimic acid, p-aminobenzoic acid, and 3-hydroxyanthranilic acid.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was not inhibited by end products, such as aromatic amino acids, folic acid, and phenazine-1-carboxylic acid. The inhibition of DAHP synthase by prephenate and chorismate was non-competitive with respect to erythrose 4-phosphate and phosphoenolpyruvate. Prephenate and chorismate inhibited 50% of the DAHP synthase activity at concentrations of $2{\times}10^{-5}\;M$ and $1.2{\times}10^{-4}\;M$, respectively The synthesis of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was not repressed by exogenous aromatic amino acids, folic acid, and phenazine 1-carboxylic acid, single or in combinations.

  • PDF

아미노산 성분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nation Byproducts Formation of Amino Acid Compounds)

  • 손희종;최영익;배상대;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32-340
    • /
    • 2009
  • 20종의 아미노산 성분들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위 DOC당 THM 생성능은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tryptophan과 tyrosine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18종에서는 매우 낮은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단위 DOC당 HAA 생성능 조사결과, tryptophan, tyrosine,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보였으며,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은 DCAA 생성능 조사결과, aspartic acid, histidine, asparagine, tyrosine 및 tryptophan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aspartic acid는 660.2 ${\mu}$g/mg으로 나타나 다른 아미노산 성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HAN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반응성이 높은 6종의 아미노산 성분에서 생성되는 HAN 구성종의 대부분은 DCAN으로 나타났다. 단위 DOC당 chloral hydrate 와 chloropicrin의 생성능을 조사결과에서 chloral hydrate는 asparagine, aspartic acid, histidine, methionine, tryptophan 및 tyrosine에서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hloropicrin의 경우는 20종의 아미노산에서 전체적으로 1${\mu}$g/mg 이하의 아주 낮은 생성능을 보였다. 아미노산의 작용기별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은 THM의 경우 방향족(aromatic) 화합물인 tryptophan과 tyrosine에 반응성이 높았고, HAA는 aromatic, neutral, acidic, basic 순으로 반응성을 보였으며, HAN은 acidic, basic, neutral, aromatic 순으로 반응성을 나타내어 방향족 화합물보다 지방족 화합물이며 친수성인 물질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향족 아미노산이 초기계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세포생물학적 연구 (Cell Biological Studies of the Effect of Aromatic Amino Acids on Early Development of Chick Embryo)

  • 최임순;주충노;최춘근;김재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7-278
    • /
    • 1985
  • Phenyalanine, tryptophan, tyrosine 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을 계배 초기에 투여하였을 때 somite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형태적으로 추구한 결과 아미노산을 투여한 계배에서는 불완전한 체절 분절 현상이 일어나고 신경계에도 감쇠 영향을 미치며 somite의 발생이 불완전하고 그 크기도 다양하였다. 또한 체절 세포는 chromatin이 응축되고 미토콘드리아의 일부는 파괴되었고 핵이 변형된 경우도 있었다. 부란 24시간 후 아미노산을 투여하고 15일간 부란한 계배의 경우 단백질이나 핵산은 대조군에 비해 크게 저하되지는 않았으나 lactate dehydrogenase, succin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 및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와 같은 기초대사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효소활성은 크게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초기계배에 아미노산을 투여하면 아마도 yolk granule의 분해가 지연되며 결과적으로 세포내의 아미노산 균형이 파괴되어 정상 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비정상적인 체절형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hiral Separation of Aromatic Amino Acid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using (+)-18-crown-6 tetracarboxylic acid and (-)-18-crown-6 tetracarboxylic acid as Chiral Selectors

  • Choi, Young-Me;La, Sook-Ie;Lee, Won-Jae;Kim, Kyoung-R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78.1-278.1
    • /
    • 2003
  • Recently,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hiral separation of amino acid enantiome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biological activities. Hence, the high optical purity of aromatic amino acids is critical because of their important functio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For the accurate chiral discrimination. we attempted to exploit the crosschecking each enantiomeric migraion orders of aromatic amino acids measured using (+)-18C6H4TA and (-)-18C6H4TA as the chiral selectors under pH 2.0, tris/citric acid buffer.

  • PDF

아미노산 수송체 TAT1에 의한 방향족 아미노산의 수송특성 (Transport Properties of Aromatic Amino Acids by Amino Acid Transporter TAT1)

  • 김윤배;김명수;윤정훈;박주철;국중기;정해만;최봉규;정규용;김종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5-781
    • /
    • 2002
  • hTATl에 의해 수송되는 방향족 아미노산들의 수송특성을 밝히기 위해 hTATl의 cRNA를 미세주입한 Xenopus laevis oocyte에서 hTATl에 의 해 유도되는 방향족 아미노산의 up-take를 여러 조건 하에서 관찰하였긴. hTATl은 L-[$^{14}$ C]tryp-tophan의 uptake를 유도하였으며, 그 uptake는 $Na^{+}$-과 Cl$^{-}$-비 의존적이었다. hTATl은 L-($^{14}$ C)tryptophan의 uptake를 시간의 존적으로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hTATl에 의한 L-($^{14}$ C) tryptophan의 uptake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phenylalanine, tyrosine 및 tryptophan에 의해서 억제되었으며 , hTATl에 의한 아미노산들의 uptake 실험에서 L-($^{14}$ C)phenylalanine, L-($^{14}$ C)tyrosine 및 L-($^{14}$ C)tryptophan의 수송을 확인하였다 hTATl에 의 한 L-($^{14}$ C)tryptophan의 uptake는 포화되었으며, Km치는 452.2$\pm$27.8 UM, V$_{max}$ 값은 2.1 $\pm$0.3 pmol/oocyte/min 이었다. L-($^{14}$ C)tyrosine 및 L-[$^{14}$ C]phenylalanine의 Km치는 각각 636.3$\pm$59.4 UM과 740.5$\pm$96.7 HM이었다. 실험용액의 pH 5.5에서 8.5까지의 변화는 hTATl에 의한 L-[$^{14}$ C]tfpto- phan의 uptake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hTATl의 CRNA를 미 세주입한 oocyte에서 배양시간 의존적 인 L-($^{14}$ C) tryptophan의 efflux를 볼 수 있었으며, 이 efflux는 oocyte 외 용액의 tryptophan존재 유무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hTATl이 상피세포로부터 혈류로의 방향족 아미노산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카드뮴 결합 고분자량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d-binding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s)

  • 천기정;김봉희
    • 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0-384
    • /
    • 1995
  • The isoelelectric points of Cd-BP(l) and Cd-BP(II), cadmium-binding proteins, were 6.01 and 5.35, respectively. Both of them contained zinc. As for the amino acid composition, Cd-BP(I) contained a lot of glycine and lysine but none of such aromatic amino acids as tyrosine and phenylalanine.. On the other hand, Cd-BP(II) contained leucine, histidine, asparti cacid and alanine but no aromatic amino acids.

  • PDF

Asymmetric Sythesis of Unnatural L-Amino Acids Using Thermophilic Aromatic L-Amino Acid Transaminase

  • Cho, Byung-Kwan;Seo, Joo-Hyun;Kim, Ju-Han;Lee, Chang-Soo;Kim, Byung-Gee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4호
    • /
    • pp.299-305
    • /
    • 2006
  • Aromatic L-amino acid transaminase is an enzyme that is able to transfer the amino group from L-glutamate to unnatural aromatic ${\alpha}-keto$ acids to generate ${\alpha}-ketoglutarate$ and unnatural aromatic L-amino acids, respectively. Enrichment culture was used to isolate thermophilic Bacillus sp. T30 expressing this enzyme for use in the synthesis of unnatural L-amino acids. The asymmetric syntheses of L-homophenylalanine and L-phenylglycine resulted in conversion yields of >95% and >93% from 150 mM 2-oxo-4-phenylbutyrate and phenylglyoxylate, respectively, using L-glutamate as an amino donor at $60^{\circ}C$. Synthesized L-homophenylalanine and L-phenylglycine were optically pure (>99% enantiomeric excess) and continuously pre-cipitated in the reaction solution due to their low solubility at the given reaction pH. While the solubility of the ${\alpha}-keto$ acid substrates is dependent on temperature, the solubility of the unnatural L-amino acid products is dependent on the reaction pH. As the solubility difference between substrate and product at the given reaction pH is therefore larger at higher temperature, the thermophilic transaminase was successfully used to shift the reaction equilibrium toward rapid product formation.

천연 페놀성 화합물들의 방향족 아미노산 탈탄산효소 저해작용 (Inhibition of 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AADC) by Some Phenolic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 유시용;한용남;한병훈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91-794
    • /
    • 1994
  • Sixteen kinds of naturally occurring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5 stilbenes, 7 flavonoids and 4 anthraquinones were examined in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rat liver AADC(aromatic L-amino acid decarboxylase) in vitro, using 5-hydroxytryptophan as a substrate. Three hydroxystilbenes, resveratrol 1, rhapontigenin 3 and piceatanol 5, which were known to be monoamine oxidase A inhibitors,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ion against AADC($IC_{50}$=20, 8 and $5\;{\mu}M$, respectively). By the comparison of the activity of each phenolic compound, it was suggested that the 3',4'-dihydroxyphenyl group of stilbenes or flavones was the best pharmacophore for the AADC inhibitory activity.

  • PDF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 about the Development of White Biotech-Based Aromatic Compounds)

  • 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6-315
    • /
    • 2009
  • 원유의 고갈, 반복되는 에너지 위기 및 지구온난화 문제에 기인하여 석유 대신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방향족 화학원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포도당으로부터 방향족아미노산 생합성경로 중간대사체 및 그 유도체 합성기술은 벤젠유래 화합물을 포함한 많은 방향족 석유화학원료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는 미생물 대사공학, 생물전환, 화학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hydroquinone, catechol, adipic acid, shikimic acid, gallic acid, pyrogallol, vanillin, p-hydroxycinnamic acid, p-hydroxystyrene, p-hydroxybenzoic acid, indigo, indole 3-acetic acid와 같은 방향족화합물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를 논하였다. 또한, 경쟁력있는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등을 논했다.

식물에서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와 이의 대사공학적 응용 (Biosynthetic pathway of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and its metabolic engineering in plants)

  • 임선형;박상규;하선화;최민지;김다혜;이종렬;김영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35-153
    • /
    • 2015
  • 식물의 페닐알라닌, 티로신, 그리고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의 구성 성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물질들이다. 이러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화합물들은 식물의 색소와 세포벽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들의 구성성분이자, 옥신과 살리실산과 같은 식물 호르몬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영양과 건강을 증진하는 높은 잠재력을 지니는 알칼로이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같은 천연산물로써 역할을 한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합성경로는 shikimate 경로로부터 유래되는 공통의 중간기질인 chorismate를 공유한다. 트립토판은 중간기질로 anthranilate를 통해 합성되고,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은 중간기질인 prephenate를 통해 합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에 관련한 모든 단계의 효소와 전사/전사후 수준에서의 그들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추가적으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동안 시도되어온 대사 공학적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