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pod communit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시비량과 농약사용을 달리한 수원지역 소규모 농가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s Managed by Different Fertilization Rate and Pesticide Application in Suwon)

  • 이준호;김광호;이호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15-26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rthropod community patterns in smallrice fields managed by different cultural methods [Conventional and Low Input Sustainable Agriculture(LISA)] in Suwon in 1995 and 1996. A half of nitrogen fertilizers and a quarter of pesticides were applied in the LISA field compared to in the conventional field. Total 15 orders and 43 families of arthropods were collected in two year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arthropod abundance and arthropod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wo differently practiced fields. The arthropod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guild categories. The arthropod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est(phytophag)>natural enemy>non-pest' in their densities. The pest species were mainly Homoptera and dominated by Delphacidae (Nilaparvata lugens Stal and Sogatella furcifera Horvath). They constituted > 80% of pest abundance. The spider was the most dominant group in the natural enemy and constituted > 90% of natural enemy abundance. Hunting spiders constituted > 60% of spider abundance and were dominated by Pirata subpiraticus Bos. et Str.(Lycosidae). Pachygnatha clerki Sundevall(Tetragnathidae), Gnathonarium dentatum Weider and Ummeliata angulituberis Oi(Erigonidae)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webbing spiders.

  • PDF

경기도 반월지역에서의 농업용수 수질에 따른 수도포장내 절지동물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the Rice Fields with Different Irrigating Water Quality in Banwol, Kyonggi-do)

  • 박홍현;이준호;배윤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75-384
    • /
    • 1997
  •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irrigating water qualities(clean water, life sewage and animal sewage) on the pattern of arthropo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were investigated at Banwol, Kyonggi-do, mid-western part of Korea from 1994 to 1996. The total density of arthropod was highest in the rice field which was irrigated with clean water(clean water field), and the arthropod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aphids and collembolans. Each functional group was found in the order of 'pests>non-pests>natural enemies' in its density. The dominant taxa in the pest group were aphids, planthoppers(Delphacidae), leafhoppers(Cicadelidae) and rice water weevil(L. oryzophilus). In the non-pest group collembolans, non-biting midges and dipterans were main arthropods, and in the natural enemy group Araneae was the dominant taxon. In the early growth stage of rice plant the dominant functional group was pests, and in the mid growth stage both the pest and the natural enemy group became dominant. But in the late growth stage none of the functional group was dominant over the other functional groups. The densities of spiders were much more higher in the clean water field than in the other fields. And through all the growth stages of rice plants the density of spiders in clean water field kept increase in contrast to the othe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spiders in the life sewage field was similar to that in the animal sewage field, but in the clean water field i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fields.

  • PDF

PPO 저해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벼가 절지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Arthropod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Fields of Non-genetically Modified (GM) and Herbicide-tolerant GM Rice)

  • 김영중;이준호;백경환;김창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35-343
    • /
    • 2015
  • 유전자변형 작물이 절지동물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은 유전자변형 작물의 주요한 환경위해성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O (protoporphyrinogen oxidase) 저해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벼가 절지동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지동물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야외포장에서 벼의 생육기간 동안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유전자변형 벼는 채집된 절지동물군집의 다양도 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다변량분석(PerMANOVA, NMDS) 결과에서도 절지동물군집 구조는 채집시기에 따라 달랐지만 벼의 유전형(유전자변형 또는 비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Impact of Pesticide Treatment on an Arthropod Community in the Korean Rice Ecosystem

  • Park, Hong-Hyun;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19-25
    • /
    • 2009
  • An arthropod community in a rice ecosystem was survey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wo insecticides frequently used in Korean rice ecosystems: carbofuran 3GR, which targets the rice water weevil, 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Coleoptera: Curculionidae) in the early season and fenobucarb EC, which targets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emiptera: Delphacidae) in the mid- and late seasons, respectively. Overall, the application of the insecticides reduced density of total arthropods by 48.4% compared to the untreated field, but their impact on each functional group were different. Carbofuran GR treatment on 1 June reduced the L. oryzophilus population significantly until mid-season. The population of filterfeeding chironomids was also reduced by 50%, whereas the spider population was less disturbed. Fenobucarb EC treatment on 16 August significantly reduced N. lugens and detrivorous entomobryid populations until the late season. Both web-building and wandering spiders were also significantly disturbed by fenobucarb EC although the impact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ehavioral differences. While the population of web-building spider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that of wandering spiders recovered from the disturbance a few weeks later.

제주도 감귤원의 절지동물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at Tangerine Orchard in Cheju Island)

  • 김주필;이성무;강상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5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rthropod fauna at tangerine orchards in Cheju-do island. To fulfil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at 21 areas from the Cheju-do island 1985 to 1989. During this period, 33 species were identified, thus making 217 species, 99 genera, 31 families of spiders recorded from this island, In tangerine orchards alone, 26 species of spiders were found.

  • PDF

LMO 격리 포장에서 유전자비변형 모본 고추(P915)와 유전자 변형 고추(CMVP0-CP)에 서식하는 절지동물 군집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Arthropods Community on Non-transgenic Mother Chili Pepper (P915) and Transgenic Chili Pepper (CMVP0-CP) in the Isolated Quarantine LMO Fields)

  • 이훈복;김현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29
    • /
    • 2010
  • 토마토나 고추 등의 유용작물에 자주 발생하여 생산량을 저하시키는 오이모자이크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CMVP0-CP (Cucumber mosaic virus-coat protein) gene이 삽입된 유전자 변형 CMVP0-CP 고추 (line 7)에 대한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2007년 고추의 생육기간 동안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3회(6월 19일, 7월30일, 8월 31일)에 걸쳐 조사를 하였다. 두 가시의 고추, 즉 모본(P915, nTR)고추와 유전자변형 고추(CMVP0-CP (line 7), TR)의 꽃과 잎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곤충진공포획기를 사용하여 절지동물을 정량적으로 채집하였다. 절지동물의 군집은 채집 시기별로 출현 종과 빈도수에 차이는 있었지만 두 작물간의 군집 구조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금까지 수행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판단하여 볼 때, 유전자 변형 고추로 인한 비표적 생물체의 군집구조가 모본 고추의 군집구조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환경 위해서도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좀더 확실한 유전자변형생물체인 고추의 환경위해성이 없다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파종방법을 달리한 수원 및 이천 지역 소규모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 associated with Different Planting Methods in Suwon and Incheon)

  • 이준호;김광호;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6
    • /
    • 1997
  •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errestrial arthropod community and biomass in differently managed rice fields in Korea

  • Lee, Sue-Yeon;Kim, Myung-Hyun;Eo, Jinu;Song, Young Ju;Kim, Seung-Tae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17-334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anaged farming practices, including low-intensive farming, duck farming, and golden apple snail farming, in a rice ecosystem by comparing terrestrial arthropod communities. A total of 75 species from 70 genera belonging to 43 families in 11 orders were identified from 9,622 collected arthropods. Araneae, Hemiptera, and Coleoptera were the richest taxa.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Diptera, Hemiptera, and Araneae. Bray-Curtis similarity among the farming practices was very high (76.7%). The biodiversity of each farming practice showed a similar seasonality pattern. The richest species group was the predators, followed by the herbivores. The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f ecologically functional groups among the farming practi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abundance of predators in golden apple snail farming. The biodiversity seasonality of ecological functional groups in each farming practice showed similar patterns. The biomass of Araneae, Hemiptera, Coleoptera, and Diptera was greater than the other taxa, in general. The biomass of each ecological functional group showed little difference and the biomass fluctuation patterns in each farming practice were almost the same. Collectively, the community structures and biodiversity of terrestrial arthropods among the farming practices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different.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to sustain rich biodiversity in irrigated rice fields and to advanced studies of food webs or energy flow structures in rice fields for ecological and sustainable agriculture.

야외 격리 포장에서 유전자 변형 탄저병 저항성 PepEST 고추가 절지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nthracnose Resistant Transgenic Chili Pepper on the Arthropod Communities in a Confined Field)

  • 이훈복;권민철;박지은;김창기;박기웅;이범규;김환묵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26-335
    • /
    • 2007
  • 농업생태계에 심겨진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인 PepEST 유전자가 내재된 유전자변형 고추의 환경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6년 고추의 생육기간 동안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3회(6월 20일, 7월 25일, 8월 28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두 가지의 고추 즉 모본(nTR, WT512)와 유전자 변형 고추(TR, line 68)의 꽃과 잎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절지동물을 정량적으로 채집하였다. 생육 기간 중에서 7월에 가장 많은 종수, 종다양도, 그리고 종구성의 차이를 보여주었지만(P<0.05), 각 생육기간별 두 작물간의 군집구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각 분류군 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초식자의 먹이 기능군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P<0.05), 그초식자군의 고추에 대한 잠재적인 피해 가능성을 검정한 결과, 섬서구메뚜기, 진딧물, 그리고 총채벌레의 잠재적 피해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지금까지 수행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판단하여 볼 때, 유전자 변형 고추로 인한 비표적 생물체의 군집구조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환경위해도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추후 환경 위해도의 잠재 가능성 때문에, 환경위해성 평가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저장중 벼, 현미 및 백미에서의 마디발동물 군집의 환이 (Ecological Successions of Arthropod Communities in Stored Rough Rice, Polished Rice and Brown Rice)

  • 류문일;조혜원;김영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0
  • 벼, 현미 및 백미를 실내에 저장하면서 저곡생태계의 구성, 군집의 천이 및 이에 따르는 군집의 에너지 변환 양상을 1987년 2월부터 1988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곡물의 온도 변화는 약 4주간의 시차를 두고 저장실의 온도 변화에 따랐다. 벼, 현미, 백미의 함수량은 실내 상대습도가 39-90% 의 범위에서 변화하였음에도 각각 12.7 $\pm$ 0.4, 13.1 $\pm$ 0.4, 및 13.5 $\pm$ 0.3%로 안정된 수준에 있었다. 마다발동물의 군집천이는 벼, 현미, 백미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벼의 경우 우점종이 가루민다드미벌레에서 어물다드미벌레로 천이하였다. 현미 및 백미의 정우에는 밀가루줄명나방에서 쌀바구미, 미동정 기생충, Anisopteromalus calandrae Howard와 거짓쌀도둑의 우점으로, 다시 쌀바구미로 천이하였다. 그러나 백미에서는 호미와는 달리 다드미벌레목 2종의 일시적인 우점 현상이 관찰되었다. 대체적으로 벼에서의 군집은 현미냐 백미에서의 군집에 비해 단순하게 구성되었으며 불안정하였다. 천립중의 약화는 벼와 백미의 경우에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현미의 경우 마디발동물의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다소 감소하였다. 그러나 회분함량은 현미, 백미 및 벼에서 공히 증가한 자취를 불 수 없어 저장기간 중 곡물생태계의 에너지의 손실은 미미하였단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