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Recommenda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그래프 기반 음악 추천을 위한 소리 데이터를 통한 태그 자동 분류 (Automatic Tag Classification from Sound Data for Graph-Based Music Recommendation)

  • 김태진;김희찬;이수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0호
    • /
    • pp.399-406
    • /
    • 2021
  • 콘텐츠 산업의 꾸준한 성장에 따라 수많은 콘텐츠 중에서 개인의 취향에 적합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자동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이력을 바탕으로 하는 기존 추천 기법과 더불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및 콘텐츠 자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특징을 융합한 추천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소리 데이터로부터 태그 정보를 분류하는 LSTM 기반의 모델을 학습하고 분류된 태그 정보를 음악의 메타 데이터로 추가하여, 그래프 임베딩 시 콘텐츠의 특징까지 고려할 수 있는 KPRN 기반의 새로운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카카오 아레나 데이터 기반 실험 결과, 본 연구의 제안 방법은 기존의 임베딩 기반 추천 방법보다 우수한 추천 정확도를 보였다.

태그 온톨로지를 이용한 자동 태깅 및 태그 추천 기법 (Automatic Tagging and Tag Recommendation Techniques Using Tag Ontology)

  • 김재승;문현정;우용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7-1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태그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태그를 추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태그 추천 기법은 기존에 생성된 대량의 문서 집합을 대상으로 자동 태깅하기 위한 기법(TWCIDF)과 신규 문서를 대상으로 태그를 추천하기 위한 기법(TWCITC)으로 구성된다. 태그집합은 전처리 과정, 태그 온톨로지를 이용한 표준화 작업, 자동 태깅 및 추천을 위한 랭킹 부여과정을 거쳐 구성된다. 전처리 과정에서는 의미있는 복합명사를 찾기 위한 용어결합과정을 사용하였고, 표준화 작업 과정에서는 용어의 오탈자 및 유사용어를 처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실험 결과, 추천 태그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도 실시간으로 자동태깅 및 태그 추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

반자동 방식을 이용한 이메일 추천 시스템 (An E-Mai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emi-Automatic Method)

  • 정옥란;조동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B
    • /
    • pp.604-607
    • /
    • 2003
  • Most recommendation systems recommend the products or other information satisfying preferences of users on the basis of the users' previous profile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 searches and purchase of users visiting web sites. This study aims to apply these application categories to e-mail more necessary to users. The E-Mail System has the strong personality so that there will be some problems even if e-mail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by category through the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personal rules. In consideration with this aspect, we need the semi-automatic system enabling both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recommendation metho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users. Accordingly, this paper uses two approaches as the solution against the misclassification that the users consider as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itself using the dynamic threshold in Bayesian Learning Algorithm and the second one i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using the recommendation agent enabling the users to make the final decision.

  • PDF

Dialog-based multi-item recommendation using automatic evaluation

  • Euisok Chung;Hyun Woo Kim;Byunghyun Yoo;Ran Han;Jeongmin Yang;Hwa Jeon Song
    • ETRI Journal
    • /
    • 제46권2호
    • /
    • pp.277-289
    • /
    • 2024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ural network-based application that recommends multiple items using dialog context input and simultaneously outputs a response sentence. Further, we describe a multi-item recommendation by specifying it as a set of clothing recommendations. For this, a multimodal fusion approach that can process both cloth-related text and images is required. We also examine achieving the requirements of downstream models using a pretrained language model. Moreover, we propose a gate-based multimodal fusion and multiprompt learning based on a pretrained language model. Specifically, we propose an automatic evaluation technique to solve the one-to-many mapping problem of multi-item recommendations. A fashion-domain multimodal dataset based on Koreans is constructed and tested. Various experimental environment settings are verified using an automatic evalua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obtain confidence scores for multi-item recommendation results,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accuracy evaluation.

Automatic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Music Characteristics

  • Kim, Sang-Ho;Kim, Sung-Tak;Kwon, Suk-Bong;Ji, Mi-Kyong;Kim, Hoi-Rin;Yoon, Jeong-Hyun;Lee, Han-Ky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68-273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effective methods for automatic music recommendation system which automatically recommend music by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Conventional music recommendation system use users’ music downloading pattern, but the method does not consider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usic. Sometimes, similarities between music are used to find similar music for recommendation in some method. However, the feature used for calculating similarities is not highly related to music characteristics at the system. Thus, our proposed method use high-level music characteristics such as rhythm pattern, timbre characteristics, and the lyrics. In addition, our proposed method store features of music, which individuals queried, to recommend music based on individual taste. Experiments show the proposed method find similar music more effectively than a conventional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for real-time application since the processing time for calculating similarities between music, and recommending music are fast enough to be applicable for commercial purpose.

  • PDF

Adaptive Recommendation System for Health Screen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 Kim, Namyun;Kim, Sung-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2호
    • /
    • pp.1-7
    • /
    • 2020
  • As the demand for health screening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efficient design of screening items. We build machine learning models for health screening and recommend screening items to provide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When offline, a synthetic data set is generated based on guidelines and clinical results from institutions, and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each screening item is generated. When online, the recommendation server provides a recommendation list of screening items in real time using the customer's health condition and machine learning model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the accuracy of the learning model was close to 100%, and server response time was less than 1 second to serve 1,000 users simultaneously. This paper provides an adaptive and automatic recommend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ew screening environment.

딥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피부색 기반 파운데이션 색상 추천 기법 연구 (A Study On User Skin Color-Based Foundation Color Recommenda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 정민욱;김현지;곽채원;오유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67-1374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cosmetic foundation recommendation system that suggests a good foundation product based on the user's skin color. The proposed system receives and preprocesses user images and detects skin color with OpenCV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system then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model using XGBoost, Gradient Boost, Random Forest, and Adaptive Boost (AdaBoost), based on 550 datasets collected as essential bestseller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this paper implements a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highest performing machine learning mode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ur system can effectively recommend a suitable skin color foundation. Thus, our system model is 98% accurate. Furthermore, our system can reduce the selection trials of foundations against the user's skin color. It can also save time in selecting foundations.

협업 필터링을 통한 IP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Automatic Recommendation of IPTV Program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 김은희;김문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701-702
    • /
    • 2008
  • A large amount of efforts are required to search user's preferred contents for the program contents being provided by IPTV services. In this paper,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 automatic recommendation method of IPTV program contents is presented by reasoning similar group preferences on IPTV program contents which constitutes personalized IPTV environments. The proposed method models the user's preference of IPTV program contents with the program attributes such as content, genres, channels actor/actress, staffs and calculates it using the watching history of program contents in different genres and watching times. Also, the proposed method considers timely changing user's preference and the preference oon the content itself, which improves the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that can not recommend the non-consumed items.

  • PDF

기존 영화 추천시스템의 문헌 고찰을 통한 유용한 확장 방안 (A Prospective Extens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isting Movie Recommendation Systems and Their Challenges)

  • ;;;이경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호
    • /
    • pp.25-40
    • /
    • 2023
  • 추천 시스템은 지능적인 자동 결정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다. 영화 추천 시스템의 연구에서, 기존 접근 방식은 협업 및 콘텐츠 기반 필터링 기술을 사용한다. 협업 필터링은 사용자 유사성을 고려하는 반면, 콘텐츠 기반 필터링은 단일 사용자의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협업 필터링과 콘텐츠 기반 필터링을 결합한 혼합 필터링 접근법은 서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엔 더 나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간의 유사성을 찾는데 몇 가지 AI 기반 유사성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다양한 영화 추천 시스템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가능한 해결책을 도출하여 유용한 확장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DA 기반 은닉 토픽 추론을 이용한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Automatic TV Program Recommendation using LDA based Latent Topic Inference)

  • 김은희;표신지;김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70-283
    • /
    • 2012
  • 다채널 TV, IPTV 및 Smart TV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수많은 방송 채널과 방대한 TV 프로그램 콘텐츠가 시청자 단말로 제공됨으로써 시청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고 소비하는 것이 어려운 TV 시청 환경을 맞게 되었다. 따라서 TV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자동 추천해 줌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로의 접근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미래의 지능형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한 이슈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 취향과 대중의 선호취향을 모두 고려한 협업필터링 개념의 통계적 기계학습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시청한 TV 콘텐츠에 대한 선호 토픽을 사용자의 시청 선호도로 보고, 최근 널리 활용되고 있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모델을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에 적용하였다. LDA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TV시청 이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을 은닉 변수로 하고,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에 대한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은닉 변수의 확률분포 특성을 비대칭 디리클레(Dirichlet) 분포로 모형화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LDA 기반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유사 시청 특성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상위 5개의 TV 프로그램을 일주일 단위로 추천하였을 경우 평균 66.5%, 2개월 단위의 추천에 대해서는 평균 77.9%의 precision 추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