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C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물 및 토양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석 (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Water and Soil)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315-132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C-ECD을 이용해서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BHC의 이성질체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을 분리하고, Kelthane, Orthocide, Endrin와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복합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상대적 유지시간은 $\alpha$-BHC의 유지시간을 1로 하였을 때 $\beta$-BHC, (equation omitted)-BHC, $\delta$-BHC는 각각 1.18, 1.24, 1.31이었으며, Kelthane, Orthocide, Endrin은 각각 1.56, 1.70, 2.02으로 완전 분리되었다. 단높이(H)는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이 각각 50mm, 35mm, 32mm 및 29mm이었으며, Kelthane, Orthocide, Endrin은 각각 81mm, 68mm 및 48mm이었다. 최소검출농도는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이 각각 0.26, 0.36, 0.37 및 0.39ng/g이었다. 또한 Kelthane, Orthocide, Endrin도 각각 0.55, 1.39 및 0.56ng/g이었다. 제주시 연안의 토양과 해수 및 저니토에서 BHC의 이성질체 $\alpha$-BHC, $\beta$-BHC, (equction omitted)-BHC와 $\delta$-BHC와 Kelthane, Orthocide, Endrin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남제주도 중문관광단지의 하예동 부근 해양환경은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다.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의 잔유분(殘留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2. 시판채소중(市販菜蔬中) BHC 잔유분(殘留分)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Residues of Chlorinated Organic Insecticides -2. BHC Residues in or on Commercial Vegetables-)

  • 박창규;이규승;유재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3호
    • /
    • pp.177-183
    • /
    • 1974
  • 1971년도(年度) 국내(國內)에서 생산(生産)된 13종(種)의 채소(菜蔬) 125점(點)을 괴집하여 ${\alpha}-$${\gamma}-BHC$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을 GLC로 분석(分析)하였다. ${\gamma}-BHC$의 잔류분(殘留分)은 채소별(菜蔬別)로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평균(平均) 0.015ppm을 초과(超過)하지 않았다. ${\alpha}-BHC$의 잔류분(殘留分)은 채소(菜蔬)의 종류(種類)에 따라 ${\gamma}-BHC$$2{\sim}7$배(倍)에 달(達)하였으나, 13종(種)의 채소(菜蔬) 모두 0.030ppm을 넘지 않았다. ${\gamma}-BHC$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FAO/WHO공동위원회(共同委員會)에서 검사(檢討) 결정(決定)한 Tolerence에는 미달(未達)하나, 현용(現用) BHC원제(原劑)를 Lindane정제(製劑)로 대체(代替)할 것을 제안(提案)하였다.

  • PDF

경북 상주의 인삼 재배환경 중 유기염소계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Residue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eavy Metal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 김정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2호
    • /
    • pp.183-189
    • /
    • 2004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Gyeongbuk, the analytical methods for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s for $\alpha$-BHC, $\beta$-BHC, ${\gamma}$-BHC, $\delta$-BHC,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1.000, 1.042, 1.049, 1.086, 1.202, 1.335, 1.341, 1.371, 1.391 and 1.439,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separated on the base line. The qualified det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beta$-BHC, ${\gamma}$-BHC and $\delta$-BHC is 0.43, 1.33, 0.54 and 1.63 ng/g and it's of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0.63, 0.50, 0.66, 0.74, 0.96 and 0.88ng/g, respectively.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not detected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aju, Gyeongbuk. The detection concentration for Hg, Cd, Pb, Cr, and As in ginseng were 0.0086ppm, 0.0020ppm, 0.0200ppm, 0.0271ppm and 0.0220ppm, respectively, which were also lower than the 30ppm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level for heavy metal in herbal medicines.

제주도(濟州道)의 밭토양(土壤) 및 채소류 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잔류(農藥殘留)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of Field Soils and Vegetables in Jeju Island)

  • 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55-160
    • /
    • 1981
  • 제주도의 중요한 채소재배지의 토양과 농작물에 대한 BHC제 및 heptachlor제의 잔류수준을 1979.10-1980.11. 사이에 조사하였다. 토양중에서의 ${\alpha}-BHC$는 n.d-0.967ppm(평균 : 0.391ppm), ${\gamma}-BHC$는 n.d-0.590ppm(평균 : 0.218ppm), heptachlor는 n.d-0.819ppm(평균 : 0.163ppm), 그리고 heptachlor epoxide는 n.d-0.256ppm(평균 : 0.034 ppm) 잔류하였으며 채소작물중 배추의 평균잔류량은 ${\alpha}-BHC$ 0.002ppm, ${\gamma}-BHC$ 0.001ppm, heptachlor 0.002ppm, heptachlor epoxide, 0.001 ppm이며, 당근의 경우에는 ${\gamma}-BHC$ 0.004ppm, ${\alpha}-BHC$ 0.012ppm, heptachlor 0.003ppm, heptachlor epoxide 0.011ppm이었으며 마늘에는 ${\alpha}-BHC$ 0.014ppm, ${\gamma}-BHC$ 0.007ppm, heptachlor 0.002ppm 그리고 heptachlor epoxide는 trace로 나타났다.

  • PDF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 있어서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n the Organe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Downstream Area of Nakdong River)

  • 유선재;박청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87-197
    • /
    • 1984
  •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서 낙동강(洛東江)물, 수도물, 토양(土壤), 저질(底質) 및 붕어와 뻘조개에 대(對)한 유기염소계살충제(有機鹽素系殺蟲劑) 농약(農藥)을 G.C-ECD로 분석(分析)하였다. 수중(水中) 잔류염소계(殘留鹽素系) 농약중(農藥中) 주(主)로 BHC만 검출되었는데, 이들 농약(農藥)의 잔류농도(殘留濃度)는 $ND{\sim}56ppt$로 공중보건(公衆保健)에 해(害)를 줄만 한 것은 아니다. 낙동강(洛東江)물과 수도물의 월별(月別) total BHC 농도(濃度)는 여름이 높고 겨울로 갈수록 낮았으며, 강수량(降水量)과는 약(弱)한 양의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냈다. 토양(土壤)에서 ${\alpha}-BHC$${\beta}-BHC$$ND{\sim}3.3ppb$$ND{\sim}769.7ppb$이었으며 저질(底質)에서 ${\alpha}-BHC$${\beta}-BHC$$ND{\sim}2.0ppb,\;ND{\sim}409.9bbp$이었다. 각(各) 지점(地點)에서 저질(底質)로의 total BHC 농축계수(濃縮係數)는 $83{\sim}3,218$이었고, 강열감량(强熱減量)과는 양(量)의 상관성(相關性)이 있었다. 붕어에서 ${\beta}-BHC$와 total BHC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2,619와 435 그리고 뻘조개에서 두가지 BHC 잔류성분(殘留成分)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3,261과 375였다.

  • PDF

남해안산(南海岸産) 수산식품(水産食品) 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殘留農藥)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urvey on the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me Marine Foods from South Coast of Korea)

  • 이서래;강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9-224
    • /
    • 1976
  • 남해안일대(南海岸一帶)에서 1974년 9월에 수집한 패류(貝類), 해조류(海藻類), 저질토(底質土) 및 수질(水質)중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류(貝類)중 잔류농약은 산지(産地) 및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 바 산지(産地)별로는 충무>여수>목포의 순으로, 패류(貝類)별로는 소라>바지락>홍합>백합>꼬막의 순으로, 농약별로는 aldrin> ${\alpha}-BHC$ > heptachlor > ${\gamma}-BHC$ > dieldrin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49\;{\mu}g/kg$ (육질(肉質) 생체중(生體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2) 완도산(莞島産) 해조류(海藻類)중 잔류농약은 미역>파래>김>의 순으로 그리고 ${\alpha}-BHC$ > ${\gamma}-BHC$ > aldrin > dieldrin > heptachlor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60\;{\mu}g/kg$(건물중(乾物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3) 수질(水質) 및 저질토(底質土)중의 잔류농약은 지역별로는 영산강> 낙동강>섬진강>충무양식장의 순으로 수질(水質)에서는 ${\alpha}-BHC$ > ${\gamma}-BHC$ > aldrin >heptachlor >dieldrin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180\;{\mu}g/kl$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저질토(底質土)에서는 ${\alpha}-BHC$ > ${\gamma}-BHC$ > aldrin > dieldrin > heptachlor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7-18\;{\mu}g/kg$(건물중(乾物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특히 영산강 및 낙동강 하류(下流)의 수질(水質)중 BHC함량(含量)은 미국에서의 환경기준치(環境基準値)를 훨신 상회(上廻)하였다.

  • PDF

현미(玄米)의 도정(搗精) 및 취반(炊飯) 과정중 BHC 잔류분(殘留分)의 제거(除去) (Elimination of BHC Residues in the Polishing and Cooking Processes of Brown Rice)

  • 김용화;김혜남;김상순;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5
    • /
    • 1979
  • BHC를 살포하여 재배한 현미(玄米)(BHC잔류량 0.3 ppm)의 도정(搗精), 세미(洗米), 및 취반(炊飯)중 BHC 잔류량(殘留量)을 분석하여 그의 행방을 추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의 도정(搗精)중 BHC는 10분도미에서 8%, 7분도미에서 20%가 잔류하였다. 2) 쌀의 세척(洗滌)중 10분도미에서는 34%, 7분도미에서는 31%가 잔류하였다. 3) 재래식 취반(炊飯)과 전기밥솥에 의한 취반중 10분도미에서는 각각 86%, 77%, 7분도미에서는 각각 69%, 41%가 잔류하였다. 4) 전체적으로 보아 현미로부터 밥으로의 BHC 이행률(移行率)은 10분도미에서 2.3%, 7분도미에서 4.3%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현미의 조리(調理), 가공(加工)중 발생되는 BHC의 제거량(除去量)을 잔류농약 허용량(許容量)설정에 반영(反映)하여 야 될 것이다.

  • PDF

경북지역 인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다성분 분석 (Multi-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inseng at Gyeongbuk, Korea)

  • 박문기;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199
    • /
    • 2005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ginseng, the methods of multi-analysis for BHC's isomer,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alpha-BHC,\;\beta-BHC,\;\delta-BHC\;and\;\gamma-BHC$ is 1.000, 1.025, 1.034 and 1.056, respectively.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o,p-DDE, p,p-DDE, o,o-DDD, o,p-DDT, o,p-DDD, and p,p-DDT is 1.199, 1.230, 1.242, 1.286, 1.329 and 1.333,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separated with multianalysis condition.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Quintozene, Aldrin, Captan, $\alpha-Endosulfan$, and Dieldrin is 0.95ng/g, 0.27ng/g, 1.04ng/g, 0.63ng/g, 0.55ng/g and 0.62ng/g, respectively.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Fenhexamid, Endrin, $\beta-Endosulfan$, o,p-DDT, Endosulfan-sulfate is 5.71ng/g, 0.61ng/g, 0.48ng/g, 0.44ng/g and 0.51ng/g, respectively. BHC, Aldrin, Dieldrin, Endrin and DDT, which we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pesticides, are not detected in soil environment. Also i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not polluted in the ginseng on Sangju Korea.

잠견생산성 개선을 위한 의잠우열분리와 자웅분리의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Hatched Silkworm Dominance Seperation against Sex Seperation to meet Silk Promotion)

  • Choe, Byong-Hee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28
    • /
    • 1973
  • 본 보고는 양잠방법개선을 위하여 의잠의 우열분리효과와 자웅분리효과를 비교연구한 것이다. 교잡종에는 강건한 누에가 있는가하면 허약한 누에가 있으리라는 것은 쉽게 추측될수 있는 문제이며 양잠시에 특히 소잠시에 강건한 누에와 허약한 누에를 분리할수 있게 된다면 잠업증산에 막대한 기여가 되는것으로 확신한다. 필자는 이러한 목적에서 잠아우열분리제(Better Hybrid Controller ……BHC)를 개발함에 이르렀고 본제에 대한 기초조사와 실용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1. BHC 처리시의 기초조사 a) BHC 처리를 한 누에는 교잡종은 원종보다 뽕을 먹기 시작하는 속도가 빨랐다. b) BHC 처리한바 원종은 U자형으로 배열하여 뽕을 먹기 시작했으나 교잡종은 L자형으로 배열하여 뽕을 먹기 시작했다. c) BHC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분포가 둔화되었다. d) 교잡종에서 BHC처리로 2구분되었을때 먼저 섭상분리된 구분은 강건성잠으로 인정되었으며 우열분리비는 약 2 : 1이었다. e) 본제는 감잠비율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었다. 2. 우열분리와 자웅분리결과 비교 a) 자웅분리시의 웅잠 견층비율은 자잠 견층비율보다 불과 0.4%의 차이를 보였다. b) 우열분리시는 양자간의 견층비율 차이가 0.7%였다. c) 우열분리시에는 견층비율이 대조구보다 1.6∼2.4%나 증대하였으며 비록 열구라 하여도 대조구보다 큰 차를 보였다. d) 이와같이 기대이상의 결과를 초래한 이유로서는 BHC 제가 잠체생리에 어떠한 좋은 작용을 한 탓으로 풀이 하였다. e) 한편 자웅분리시의 결과는 기대에 어긋나는 견층비율을 보였다. f) 그러나 생사비율에 있어서는 웅잠구가 자잠구보다 1%나 증대되었는데. 이는 웅잠구의 관계생사량비율이 87.4%나 된 결과에 기인하였다고 생각된다. g) 반면에 웅잠구는 해서율이 63%로서 각시험구중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h) 자웅분리나 우열분리나 간에 원료견 품위를 변화시키는 일은 없었고 다만 우열분리시는 견사장이 약 100m씩 증대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I) 양잠수익성을 분석한 결과로서는 우열분리효과가 약 10%의 증수를 할수있음을 알았고 자웅분리효과는 오히려 부의 증수효과를 보였는데 그 주원인은 웅잠구의 생사비율증대가 용체중 저하로 증수효과를 발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j) 결과적으로 의잠시에 BHC 처리한 것이 잠업증산에 큰 기여를 하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k) BHC 처리는 우열 양구로 분리하여도 좋지마는 양구간 성적이 그렇게 크지 않았으므로 처리후 전례를 사육하여도 무방하다고 보았다. 3. 본시험에서는 웅잠사육은 소기의 증산목적을 달성할수 없음을 알았고 또한 의잠자웅분리의 필요성을 인정할수 없었다. 4. BHC 처리는 의잠을 밀폐기중에서 1∼2분간 방치하는 사이에 본제 증발기체의 작용으로 신경이 둔화되는 탓으로 섭식기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우열이 구분되는 것이며 작업이 극히 용이하여 양잠농가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고치 10% 증수가 가능한 혁신적인 양잠기술의 계기가 된다고 생각된다.

  • PDF

Viruses, Bacteria and Helminths of Invasive Carp: Insights from an In Vitro Assay and a Survey with Native Fishes in a Large Midwestern River

  • Thurner, Kensey;Goforth, Reuben R.;Chen, Shuai;Amberg, Jon;Leis, Eric;Kinsella, John M.;Mahapatra, Cecon;Sepulveda, Maria S.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8
    • /
    • 2017
  • Pathogen introductions associated with aquatic invasive species threaten ecosystems and biodiversity worldwide. Bigheaded carps (BHC), including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Bighead Carp H. nobilis, and their hybrids, are prolific, invasive pests in central US river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pathogen effects on invading BHC or how BHC affect the disease risk profile for native fishes in receiving ecosystems. We therefore conducted, from May 2013-December 2014, a systematic pathogen survey for BHC and native fishes in the Wabash River watershed, Indiana, USA. We found Pseudomonas fluorescens, P. putida, and Salmonella enterica DNA in BHC as well as native fishes, although none of these bacteria were exclusively present in BHC. DNA from other bacterial taxa was detected only in native fishes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No gastrointestinal helminths were detected in BHC, although they were common in most native fishes examined. We also conducted in vitro studies on BHC tissues (skin, gill, fin, and fry) and found high sensitivity to Largemouth Bass virus,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and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We conclude that BHC are not heavily burdened by bacteria, viruses and parasites in the invaded study ecosystems, although they do harbor native bacteria and show potential for high sensitivity to endemic vir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