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 COMMUNITIE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Mt. Namsan, Seoul, Korea

  • Rhim, Shin-Jae;Lee, Ju-Young;Kang, Jeong-H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80-58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from April to June 2005 in Mt. Namsan, Seoul, Korea. Two 10ha areas were selected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Number of breeding bird species, pairs,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with increasing amount of foliage in the forest profile or as forest structures developed compared with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of in coniferous forest. The differences in habitat structure between both study areas are very likely to have influenced how breeding birds used the available habitat. Forest structure and its interactions with birds should be consideration in forest management for birds and their habitat.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Forests of Gwangneung and Mt. Namsan Areas

  • Rhim, Shin-Jae;Kim, Min-Jin;Lee, Ju-Young;Kang, Jeong-H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67-57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forests of Gwangneung and Mt. Namsan areas from April to August 2006. Two 10ha area were selected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both study area. The DBH distribution of trees and average foliag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areas. Also, breeding bird communities were different. Number of breeding species and pairs, breeding 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were higher in Gwangneung area than in Mt. Namsan area. When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y, Number of bird species and breeding pairs belonged to hole and canopy guild were increase as the increase of coverstory coverage and number of large tre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vertical structure more various to plant bushes, and to make DBH distribution more diverse for enhancing bird species diversity in the degraded ecosystem.

Characteristics of Wintering Bird Communities in the Moeyungyi Wetland Wildlife Sanctuary, Myanmar

  • Aung, Hsu Sandar;Kim, Hankyu;Lee, Yoh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95-206
    • /
    • 2022
  • Gaining an understanding of bird communities in different habitat types is essential for the conservation of ecologically important habitats. Wetlands possess different types of habitats and provide an important environment for wintering waterbird communities. This study compares avian communities in five different habitat types in the Moeyungyi Wetland Wildlife Sanctuary (MWWS), Myanmar. From December 2014 to the first week of February in 2015, bird and habitat data were collected from representative areas of five habitat types (i.e., short grassland, tall grassland, lotus fields, open water areas, and rice fields) at MWWS. We established nine sampling plots in each habitat type, and used the point quadrat method to survey habitats and the point count method to survey birds in the habitats. Simpl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hoc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bird communities. We made 95 detections during 19 daily visits to each of the five habitat types. During the survey period, we recorded a total of 10,389 individuals belonging to 52 different bird species, based on 7-min observations at each of the 45 point count stations. Furthermore, we det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habitat structure (i.e., vegetation coverage, height, and density; water depth; and plant species diversity) as well as bird communities (i.e.,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diversity indices). In addition, the detailed analysis of 52 avian spec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45 species with respect to the mean numbers of observed individuals in the survey habita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waterbird communities among the five assessed habitat types. Because natural marshes provide preferable habitats for a larger number and greater diversity of birds, relative to rice fields, natural marshes should be prioritiz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Moeyungyi Wetland Wildlife Sanctuary.

지리산 지역에서 등산로에 의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향 (Effect of Trails on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Chirisan National Park)

  • 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0
    • /
    • 2000
  • 본 연구는 1994년 4월에서 8월까지의 기간 동안 지리산국립공원내 임걸령 지역과 노고단 지역에서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는 지역과 개설되어 있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등산로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등산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가 실시하였다. 조사지역별 서식지 환경은 노고단 등산로 지역과 노고단 지역이 유사하였으며 임걸령 등산로 지역과 임걸령 지역이 각각 유사하였다. 4개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총 25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18종이 번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종 수 및 번식 쌍수와 길드구조에 있어서 산림 지역과 등산로 지역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등산로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등산로의 상층식생이 울폐되어 상층수관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등산로 주변에 하층식생이 발달해 있는 지역이므로 조류 군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등산로의 개설 혹은 현재 등산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의 수관 울페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등산로 주변의 대경목 및 상층임관이 보호 및 관리되도록 해야 하고, 또한 주변의 식생, 특히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보호 및 유지가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ird Communities in Rice Field and Grasslands during the Dry Season in the Mekong Delta, Cambodia

  • Kry, Msphal;Lee, Woo-Shin;Park, Sung Jin;Rhim, Shin-J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97-202
    • /
    • 2009
  • We studied bird communities among in rice field (46 plots), short grallland (47plot), and tall grass mixed shrub (21 plots) during dry season, January 2007 in Boeung Prek Lapouv (BPL) Important Bird Area, Mekong Delta, Cambodia using the point-count method. Water depth, vegetation height and shrub dens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tudy areas. We recorded, 60 bird species, of which 13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bitats. Landbirds such as Grey-breasted Prinia (Prinia hodgsonii) and Oliver-black Sunbird (Nectarinia jugularis) were much more abundant (P<0.0001) in the tall grass mixed shrub, whereas the Sarus Crane (Grus antigone), herons and egrets were more abundant in the short grass (P<0.05). Bir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abundan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habitats. Bird species diversity (H') was higher in grasslands than in rice fields. Mosaic habitat matrix, such as rice field, short grass, and tall grass mixed shrub, should be maintained for the extend and quality of wetlands, and the prevailing human-land use patterns, appear adequate and conductive for waterbirds in the Mekong Delta, Cambodia.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에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 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2-337
    • /
    • 2008
  • 본 연구는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번식기 조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 4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두 지역에서 각각 10ha 크기의 고정조사구를 설치하고 세력권 도식법을 이용해서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와 엽층의 수직적 구조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의 번식기 조류 군집 조사 결과, 번식 종수 및 번식 쌍수, 번식 밀도, 종 다양도 지수 등이 모두 광릉 지역에서 높았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구조에서도 두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군집의 다양성 및 특성이 두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두 지역의 서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산과 같이 훼손된 생태계 내에서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 환경 구조의 다양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산림의 엽층 피도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구조적, 기능적으로 다양한 구조의 환경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릉 지역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ies between a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the Road Area in Gwangneung, Korea)

  • 이주영;강정훈;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2007
  • 본 연구는 광릉 지역의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에서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지역의 서식지 환경은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엽수 천연림은 대경목의 비율이 높고 상층 임관이 잘 발달해 있는 반면, 도로에서는 소경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층임관의 발달이 적은 반면 하층식생의 피도가 높았다. 계절별 조사 결과 활엽수 천연림에서는 모두 37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20종이 기록되었다. 4계절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이 도로보다 관찰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에 있어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드 구조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지역에서는 수관층 및 수동(나무구멍)에서 먹이와 둥지를 얻는 조류들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관목이나 지면을 이용하는 조류가 많이 기록되었다. 두 지 역은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류 군집의 특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 역 간 서식환경의 차이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rd Diversity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eonwangbong to Aghwibong Region)

  • 황현수;노두리;이윤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8-54
    • /
    • 2024
  •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을 대상으로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서식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은 공간적 규모가 736.4km2로 광범위하고 다양한 서식 환경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그에 따라 조사지역은 서식지 동질성 분석을 통해 3km×3km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20개의 조사구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서식지 환경과 조류의 다양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류 군집의 다양성은 육상곤충의 다양성을 비롯하여 경사도, 서식지의 평균 면적, 임상과 해발고도, 농경지와의 거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의 경사도를 비롯한 임상, 농경지로부터의 거리는 먹이원의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서식지의 평균 면적과 임상은 서식지의 구조적 다양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조류 군집의 다양성은 서식지 내 먹이의 발생량과 서식지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조류 군집과 서식지 환경의 관계는 조류 군집의 다양성 증진을 위한 산림의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생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재천에서 생태적 복원구간과 비복원구간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비교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Betwee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and Non-restoration Area in the Yangjae Stream, Korea)

  • 김정수;구태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1
    • /
    • 2005
  • Yangjae stream was divided with Seoul and Gwacheon reach. Seoul reach was ecologically restored; however, Gwacheon reach was not. Similarity index of the bird communities between the two areas was relatively high, 79.9%. The dominant species in Seoul reach were Passer montanus, Pica pica, Paradoxornis webbianus and Anas crecca. The dominant species in Gwacheon reach were Passer montanus, Pica pica, Paradoxornis webbianus and Streptopelia orientalis. The different species was Anas crecca in Seoul and Streptopelia orientalis in Gwacheon. An eco-park was constructed along the stream of Seoul reach since 1996 but was not in Gwacheon reach; the number of species has increased in Seoul area($r^2$=0.846, p<0.01), but Gwacheon was not change($r^2$=0.023, p>0.05) since 1996. The number of individuals, however, was almost constant in both reaches(Seoul : $r^2$=0.211, p>0.05, Gwacheon : $r^2$=0.032, p>0.05). In Seoul reach,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was helpful to increase bird diversity. The number of waterbirds such as herons, plovers, sandpipers and wagtails was higher in Gwacheon reach than in Seoul reach, but the number of ducks and songbirds was higher in Seoul reach than in Gwacheon reach. We suggest th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in Seoul area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sandpipers, plovers and wagtails inhabiting on the flood plain in stream, but positive effects on other species such as herons, ducks and songbirds. Especially, the increasing number of ducks was attributed to an artificial pond in flood plain.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treptopelia orientalis between both reaches was owing to the habitat differences such as forest trees playing a role as patch in high revetment.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local stream must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water channels, sand banks and water front in addition to the high revetment for birds to attract diverse bird communities.

산불 후 복원방법의 차이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y Post-fire Restoration Methods)

  • 김진용;이은재;최창용;이우신;임주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8-515
    • /
    • 2015
  • 산불피해지의 복원과정은 산불 후 장기간에 걸친 천이의 영향으로 조류군집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므로 장기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형 산불 발생 13년 후 복원 방법에 따른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지역에서 산불 미피해지와 산불 후 자연복원지, 산림시업복원지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3년 봄철 번식기 동안 108개 지점의 정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평균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는 모두 자연복원지역이 피해목 벌채 및 식재와 같은 산림시업복원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길드 분석 결과, 수관 탐색 조류(foliage searcher)와 수간 및 나무줄기 천공 조류(timber driller), 일차 수동성 조류(primary cavity nester), 이차 수동성 조류(secondary cavity nester) 모두 산불 후 산림시업복원지역이 다른 두 지역보다 서식 밀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산불 후 개벌 및 조림으로 대표되는 복원 방법은 번식기 조류의 밀도 및 종 다양성 회복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인위적인 산림시업 방법을 지양하고 자연복원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