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cereus spo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6초

Effect of Commercial Antimicrobials in Combination with Heat Treatment on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 Shin, Hye-Won;Lim, Yoon-Hee;Lee, Jong-Kyung;Kim, Yun-Ji;Oh, Se-Wook;Shin, Chul-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03-607
    • /
    • 2008
  • Thirteen commercial antimicrobial products were examined to assess the sporicid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spores at room temperature, 60 and $85^{\circ}C$. Neither the antimicrobials showed detectabl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B. cereus spores nor induced spore germination after the treatment at 0.5 or 1.0%(w/v, v/v) commercial antimicrobial agents at room temperature for 0.5 to 4 hr. However, when the antimicrobials such as chitosan, lactic acid, fermented pollen, grapefruit extract were applied with heat at $85^{\circ}C$ for 30 min, more than 1 log CFU/mL spores were additionally inactivated compared to only heat treatment without antimicrobials. Imposition of $60^{\circ}C$ to B. cereus spores with the higher concentration of 5.0%(v/v) lactic acid or 2.5%(w/v) thiamine dilaurylsulfate for the longer time incubation of 24 hr resulted in 3 log CFU/mL spore inactivation. This work showed that low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antimicrobials by themselves did not inactivate B. cereus spores. However, when physical processes such as heat were combined together, antimicrobials showed a synergistic effect against B. cereus spores.

KHT5 마커를 사용한 Bacillus cereus 그룹에서 Bacillus anthracis의 구별 (Discrimination of Bacillus anthracis from Bacillus cereus Group Using KHT5 Marker)

  • 김형태;김성주;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0-44
    • /
    • 2003
  • 탄저균은 그람양성 아포형성세균으로 탄저를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Bacillus cereus그룹에 속하는 22종을 포함하여 Bacillus 속의 29종에서 탄저균을 검증할 수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B. cereus 그룹에서 탄저균만을 구분하였다. 한국산 탄저균 경주로부터 709 bp마커(KHTS)를 확보하였다. KHTS분절로부터 얻어진 internal primer set의 PCR 산물은 B. cereus 그룹의 다른 종으로부터 탄저균만을 구별하였다.

장류에 접종된 Bacillus cereus 포자의 저감화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urdle Technique for the Reduction of Bacillus cereus Spores in Doenjang and Gochujang)

  • 이남혁;조은지;오세욱;홍상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42-1846
    • /
    • 2012
  • 된장과 고추장에 대하여 Bacillus cereus 포자를 $10^5$ spore/g 접종하고 이의 저감화에 적용 가능한 허들로서 additive(95% ethanol 3%, 1% oregano 추출물 0.3%), Joule 가열($95^{\circ}C$, 5분) 및 초고압처리(500 MPa, $45^{\circ}C$, 5분)를 적용하여 Bacillus cereus 포자의 살균효과와 저장성을 분석하였다. 된장에 있어 AJ(additive+Joule 가열) 및 AJP(additive+Joule 가열+초고압) 처리구는 각각 2.80 log 및 3.74 log 감소효과를 보였고 고추장의 경우에는 각각 4.71 log 및 5.60 log 감소를 보여 Joule 가열처리구는 된장과 고추장에 있어서 additive 처리구와 함께 Bacillus cereus 포자의 살균에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30^{\circ}C$ 저장시험에서 additive, Joule 가열 및 초고압 병행 처리는 된장 및 고추장에서 낮은 수준의 포자를 유지하는 데에도 유효한 효과를 보여 AJ(additive+Joule 가열) 및 AJP(additive+Joule 가열+초고압) 처리기법은 된장 및 고추장의 Bacillus cereus 포자에 대한 효율적인 살균방법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전통 장류를 이용한 소스제품에 접종된 Bacillus cereus spore의 발아에 미치는 온도 및 inosine monophosphate 첨가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and Inosine Monophosphate on Spore Germination of Artificially Inoculated Bacillus cereus in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auces)

  • 이민아;조은지;홍상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2-525
    • /
    • 2014
  • 장류를 이용한 소스 3종류(간장, 된장 및 고추장소스)에 대해 Bacillus cereus spore를 인위적으로 접종하고 $40^{\circ}C$ 혹은 $80^{\circ}C$ 처리구 및 $40^{\circ}C$ 혹은 $80^{\circ}C$에 10 mM IMP 첨가 처리구로 나누어 포자의 발아를 유도한 다음 이들을 다시 $80^{\circ}C$로 처리하는 방법을 통해 발아효과를 측정하였다. 간장소스의 경우 $40^{\circ}C$$80^{\circ}C$ 처리에서 모두 0.8 log CFU/g 수준의 발아효과를 보였고 여기에 10 mM IMP를 첨가 시 $40^{\circ}C$에서는 2.25 log CFU/g, $80^{\circ}C$ 처리에서는 1.21 log CFU/g의 발아수준을 보여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편 된장소스는 $40^{\circ}C$, 10 mM IMP 및 $80^{\circ}C$, 10 mM IMP 처리 시 대조구 대비 각각 0.46 log CFU/g 및 0.85 log CFU/g로서 간장소스의 경우보다 낮은 발아수준을 나타내었고 고추장 소스의 경우에는 발아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통해 열과 IMP 처리는 간장소스 내 B. cereus spore의 발아 유도에 응용이 가능하며 된장소스 및 고추장 소스에서 발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pH 등 다양한 환경인자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RD7-7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 Eom, Jeong Seon;Choi, Hye 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44-55
    • /
    • 2016
  • Bacillus cereus is a gram-positive, rod-shaped, spore-forming bacterium that has been isolated from contaminated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and from the environment. B. cereus produces diarrheal and emetic toxins and has caused many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 amyloliquefaciens RD7-7, isolated from rice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regulates its toxin gene expression. B. amyloliquefaciens RD7-7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B. cereus toxin-related genes (groEL, nheA, nheC, and entFM). We also found that addition of water extracts of soybean and buckwheat soksung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made in a short time) fermented with B. amyloliquefaciens RD7-7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and toxin expression of B. cere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amyloliquefaciens RD7-7 could be used to control B.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in the fermented soybean food industry. Our findings als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andidate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B. cereus to improve the safety of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 병행에 의한 Bacillus cereus 포자 불활성화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EDTA and Heat on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Spore)

  • 양승국;김정지;김석중;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69-1473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천연항균제인 lysozyme,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처리를 병행하여 Bacillus cereus 포자에 대한 저감효과를 측정하였다. B. cereus 포자는 5 ${\mu}g/mL$ $MnSO_4$-$H_2O$을 첨가한 nutrient agar에 접종, 3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제조하였으며 실험 직전 $8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영양 세포는 불활성화 시켰다. Lysozyme, 자몽종자추출물, EDTA를 항균제로 사용하였으며 열은 $70^{\circ}C$, $80^{\circ}C$, $90^{\circ}C$ 온도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단독처리 시 $90^{\circ}C$ 열처리 조건에서만 약 2.3 log 수준의 불활성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단독처리 조건에서 효과가 없었던 1% 자몽종자추출물과 0.5 mM EDTA 농도 조건으로 $80^{\circ}C$ 열처리를 병행한 경우 각각 2.1 log, 3.2 log 수준의 포자 불활성화 효과가 있어 상승효과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농도의 자몽종자추출물, EDTA와 열을 병행처리하면 상승효과에 의해 효율적인 포자 불활성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icrobial Contamination by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nterobacter sakazakii in Sunsik

  • Lee, Eun-Jin;Kim, Sung-Gi;Yoo, Sang-Ryeol;Oh, Sang-Suk;Hwan, In-Gyun;Kwon, Gi-Sung;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48-953
    • /
    • 2007
  • The powdered cereal sunsik is a partially thermal-processed product that required safety evaluations for food-borne pathogens. Thirty-six sunsik products from Korean mark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ntamination by total viable cell counts,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the spore-forming Clostridium perfringens and Bacillus cereus. Enterobacter sakazakii, as a newly emerging pathogen, was also analyzed. Approximately 28% of sunsik were contaminated at 5 log CFU/g for total viable counts. Coliform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33 and 4% of the samples, respectively. The spore-forming B. cereus was found in 42% of the samples at a maximal level of 3 log CFU/g on average. About 6% the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Cl. perfringens at an average level of 15 CFU/g. Forty-five % of sunsik contained E. sakazakii, at levels from 0.007 to over 1.1 cell/g by MPN method. In addition, one sunsik product for infants and children showed over 3 log CFU/g for both B. cereus and E. sakazaki. Therefore, concern should be placed on controlling for microbial hazards such as B. cereus and E. sakazakii in sunsik, particularly for the products fed to infants under 6 months of age.

Bacillus cereus의 농산물 접촉 표면 재질별 생존력 및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 (Survival of Bacillus cereus and Its Transfer from Agricultural Product-Contact Surfaces to Lettuce)

  • 김세리;서민경;김원일;류경열;김병석;류재기;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3-259
    • /
    • 2014
  • 본 연구는 polyvinyl chlroride (PVC)와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B. cereus의 온 습도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고, B. cereus이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를 통하여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가 상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대 재질별 B. cereus의 생존은 온도 $20^{\circ}C$, $30^{\circ}C$, 습도 43%, 69%, 100%에서 각각 노출 시켰을 때, 습도 43%, 69% 조건에서 24시간 이내에 전체 세포수는 약 3.53~4.00 log CFU/coupon이 감소한데 반해 포자수는 약 3.00 log CFU/coupon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한편 온도 $30^{\circ}C$, 상대습도 100%에서는 노출 12시간 후에 포자수가 2.29~2.59 log CFU/coupon정도 증가하였다. 유기물이 작업대 표면에 존재 시, B. cereus의 감소 속도가 느렸다.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에 상추를 접촉시키고 상추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상추 표면에 수분이 존재할 때 B. cereus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B. cereus의 이동수준이 상추에 수분이 없을 때 보다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 cereus에 오염된 작업대는 상추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작업 후에 세척, 소독을 통하여 작업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물막 형성 Bacillus cereus에 대한 유기산, 에탄올 및 NaCl의 제어효과 (Biocontrol of Biofilm-forming Bacillus cereus by Using Organic Acid, Ethanol, and Sodium Chloride)

  • 이영덕;유혜림;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0-125
    • /
    • 2013
  •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B. cereus의 biofilm 형성 조건을 확인한 결과 3시간 이후부터 부착하여 48시간에 biofilm이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제어를 위해 에탄올, NaCl, 유기산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1% 젖산, 아세트산, 구연산을 30분 처리하였을 때 약 5-6 log CFU/g-glass wool 수준 감소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20% 에탄올과 각각의 1% 유기산, 20% 에탄올과 10% NaCl의 두 가지를 혼합 처리의 경우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저감화 효과가 우수했으며, 20% 에탄올과 10% NaCl 및 각각의 1% 유기산을 1-5분 동안 혼합 처리 했을 때 약 7-8 log CFU/g-glass wool 수준이 감소하여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제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기산, 에탄올, NaCl 복합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저감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잠견에서 분리된 미생물에 관한 연구 제 1보 잠견에서 분리된 Bacteria의 분리동정 (The studies on microbe isolated from the cocoon in Kore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 이상원;이철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53-63
    • /
    • 1967
  • 본 실험은 한국산 잠견에 기생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생리학적 형태학적 및 배양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그 미생물을 동정하고 저장중인 잠견에 미생물 침식을 방지하는 과학적인 근거를 모색했다. 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견으로부터 분리된 12 strain의 Bacteria의 형태학적인 실험결과 colony의 형태는 table II와 같다. 종합적인 형태적 특성은 table III과 같으며 gram stain과 spore stain은 Fig, I, II와 같다. 2. 분리된 12 strain의 배양적인 특성은 table IV, V, Ⅵ와 같다. 3. 분리된 12 strain의 생리적인 특성은 table Ⅶ와 같다. 4. 이상, 형태학적 배양적 생리적인 특성에 의거하여 분리균주의 유연관계를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l) No 1 No 8; Bacillus subtilis variation (2) No 2 ; Bacillus stearothermophilus (3) No 3 ; Bacillus circulans (4) No 5 No 6; Bacillus thuringiensis (5) No 7 No 11; Bacillus brevis (6) No 12 No l0; Bacillus cereus vari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