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초

요인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자치구/행정동의 지역균형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egional Balanced Index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Dongs in Seoul using Factor Analysis)

  • 김동근;박귀원;하소미;김도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392
    • /
    • 2021
  • Purpose: Regional gaps and conflicts between regions due to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and the issu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t regional level has been discussed as the size of the region has increased recently. Although evaluation of regional balance was attempted through various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it is inappropriate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regional balance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objective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not existing city and national units. Methods: We looked at exist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and suggested a new regional balanced index reflecting regional development, backwardn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Seoul using fact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dministrative dongs consists of two factors (regional revitalization, financial power) and three factors (commercial density, social security demand, regional retardness), respectively. Then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scores for 116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423 administrative dongs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factor by a weight obtained through experts' survey. Conclusion: The propose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can be used a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basis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ithin a city. Further research may include continuously adding new indicators that reflect the direction and scale of development.

지역간 균형성장을 위한 지역정책의 효과분석 (An Empirical Study on Effectiveness of Korean Regional Policies for Balanced Development)

  • 박양호;김학훈
    • 지역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8
    • /
    • 1994
  •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the nat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is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mitigation of concentration to the Capital region 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other regions. Although various national policies have been formulated so far, the consequences of such policies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unsatisfactory. This paper attempted to estimate regional growth factos through reg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tiated regional policy for promotion and regulation to the location of firms and colleg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been operated only partially but not comprehenisively nor systematically. Especially, much of financial assistance has not been differentiated regio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the rational regional policy in future.

  • PDF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지역균형발전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Public Sector Reloc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A Case of French Experience)

  • 김태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82
    • /
    • 2005
  • 최근 수도권의 집중을 완화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수도권에 입지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추진하려는 정책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의 지방분산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프랑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랑스에서 공공기관의 이전은 지방도시의 전략적 성장, 낙후지역의 고용기회 확대 등 국토균형발전전략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추진되었다. 결과적으로 지방도시의 인구성장, 지방의 과학기술기반의 강화 등 지역균형발전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연구교육기관의 이전과 지방과학기술거점(테크노폴)과의 연계 등은 지역의 혁신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지역균형발전의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발전과 관련된 다른 정책수단과 연계하는 등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지역균형 발전과 농촌 지역사회개발정책 (A Study on the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김태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2호
    • /
    • pp.233-246
    • /
    • 1996
  • Reviewing the meaning aid task of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a examines the causes of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relation to the urbanization process, probes the concept, principle and necessity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d suggests th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Since 1960's, Korea has pursued a growth-oriented economic policy. The focus on the aggregated growth, however, has resulted bo invite some regional dispar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regional disparity problems were quite a large rural areas compared with urban areas relatively.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overcrowding (or overconcentration) phenomena of urban(or metropolitan) areas. The urban-biased policy is the primary cause of the deepening regional imbalance structur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inter-regions equitable and well-balanced development is one of the national policy issues by which the government is confronted, since the issue is closely related with national quality of life. Main thre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were 'the new paradigm of development policy' , 'local-oriented policy' and 'human-oriented policy'.

  • PDF

고속철도가 중국의 지역경제와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호용선(상해-성도) 개통지역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High-Speed Railway on Regional Economy and Balanced Development in China: Focused on Hurong Line(Shanghai-Chengdu))

  • 장하상;강정구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19-32
    • /
    • 2019
  • 2000년대 이후 중국정부는 전 국토를 연결하는 '4+4 8대 간선'을 건설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중·서부지역을 발전시키고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속철도는 지역 간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건설로 인해 지역 간 불균형이 확대될 수 있음을 지적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베타수렴모형(beta-convergence model)을 통해 고속철도가 중국의 지역경제성장과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지역의 발전수준에 따라 고속철도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지역발전 수준이 서로 다른 동·중·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호용선(Shanghai-Chengdu)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중소기업육성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for promot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 장석주;박노국;윤병섭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1호
    • /
    • pp.133-151
    • /
    • 2007
  • 지난 20세기 우리나라는 단시간 내에 산업화를 이룩하여 세계 12위의 주요 경제국으로 올라섰으나, 압축 성장은 사회의 모든 부문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했으며, 특히 수도권과 경부선축 중심의 발전전략은 지역경제 간의 불균형발전, 수도권 과밀화로 인한 각종 사회 경제적 문제를 노정시키고 있다. 국민의 정부 이후 행정수도 이전,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의 지방이전 정책 등을 추진하고, 지역특화산업의 도출을 통한 중소기업의 육성 및 장려,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각종 이해집단의 이견으로 통합적이고 조화로운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지역 간, 산업체간 균형발전이라는 국정목표를 수행함에 있어 우리나라 지역산업 발전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소기업의 자생적, 창의적 발전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조화롭고 통합된 국가산업정책을 도모하고, 나아가 동북아 중심국가 실현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간 우리나라의 지역 중소기업정책은 수도권에 대한 입지규제와 지방에서의 하드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하향식 정책 집행에 의해 추진되어 왔다. 정책의 유기적 연계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부처별로 예산집행이 이루어짐으로써, 지역의 입지여건에 적합한 산업군집의 형성을 통한 지역경쟁력의 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주지의 사실로, 본 연구는 지식기반경제 하에서의 지역 중소기업정책의 의미와 지역균형발전 모형의 구축 방안, 그리고 이에 근거한 지역의 중소기업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가발전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연구 - 경제성장과 지역균형발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ational Development & Balanced Development by Region - Mainly Interrelation between Economic growth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 김남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5-213
    • /
    • 2005
  • 지역균형발전이란 지역간 경제적 생산성 및 소득의 격차를 줄이고 국민들이 어느 지역에서나 비슷한 수준의 소득으로 비슷한 생활수준을 누릴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사회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동안 고도경제성장 위주의 국가경제 정책과 정치, 사회의 구조적 요인으로 인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으로의 경제력 및 개발이 편중되면서 지역간 불균형 성장이 야기되어 국가발전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대두되었다 특히 지역간 불균형성장은 국민경제의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왜곡시키고 특정지역주민들의 소외의식을 야기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로 항상 비화되어 국민통합을 저해하는 사회적 갈등을 심화 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국가발전의 개념을 구성하는 경제성장과 지역균형발전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연구를 구체화하기 위한 분석의 대상을 경제성장과 지역간 인구 및 생활 편의시설의 변화 추이를 통한 지역간 인구격차 분석과 지역간 생활편익시설의 격차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을 위한 공간적 범위는 대한민국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던 1962년부터 지역균형개발을 실시하였던 2001년까지 10년 단위를 설정하였다.

  • PDF

낙후지역 발전을 위한 광역자치단체 특별회계 운영 사례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se of Wide-area Autonomous Communities's Special Accounts Operation for Distressed Region Development)

  • 이성재;김형오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3호
    • /
    • pp.649-672
    • /
    • 2012
  • The government established Special Account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2005, and the Metropolitan Council has enacted and executed ordinance relevant to special accounts to relieve regional unbalanced growth and to promote regional balanced growth. This study derived a political impli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and its purpose, the selection criteria of support target, finance scale and tax revenue finance, appropriation target and finance distribution, etc. on the basis of Chungcheongnam-do Special Accounts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Jeollabuk-do Eastern part Special Accounts among the special accounts implemented in metropolitan council.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from the concept of balanced development to specialized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distressed region. Second, the pure wastefulness ratio of the local government's tax revenue finance of special accounts designed concentrating upon special accounts for Wide-area Autonomous Communities development should be gradually expanded. Third, Special Accounting budget should be supported to promote specialized development through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centering around comparatively advantageous resource within the region. Fourth, the strategic special accounts budget application system of cities and counties to utilize the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e to achieve the goal of cities and counties should be prepared.

기능적 상호작용에 따른 도시권 설정과 성장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lineation of City-Regions Based on Functional Interdependence and Its Relationships with Urban Growth)

  • 김도형;우명제
    • 국토계획
    • /
    • 제54권7호
    • /
    • pp.5-23
    • /
    • 2019
  • The central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for balanced development at the national scale. However, since it is often difficul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partial projects of each jurisdiction, many local governments collaborate at the regional scale. This suggests that a regional approach is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n the one hand, the concept of network city suggests that various functional networks can affect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lineate regional boundaries at national scale and identify their relations of growth by using functional network and Moran's I index. The study uses the Markov-chain model and cluster analysis to delineate the regions, and Moran's I is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interactions between jurisdictions through networks could be crucial factors for growth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while the networks based on passenger travel and freight movement have different 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not only consider local level investments, but also take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s between cities into account for achieving balanced development and developing regeneration policies.

$\cdot$복도시$\cdot$혁신도시$\cdot$기업도시 건설 국가균형발전의 3대 전략사업 전망은 어떤가?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novation city, Enterprise city How to prospect the three leading strategic construction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 정무용
    • 기술사
    • /
    • 제39권1호
    • /
    • pp.58-63
    • /
    • 2006
  • How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will be propelled? We study for the vision of a construction of the three leading strategic business;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novation city, Enterprise city.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of our counr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falling behind area and solves the inefficiency of over crowding from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