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rier-free desig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7초

교통약자의 행동특성과 이동편의시설 설치요소를 통한 여객시설 디자인방법에 관한 연구 - 군산 국제·연안여객선 터미널을 대상으로 - (Barrier Free Design Methods applied in Passenger Termina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Poor & Barrier Free Elements - Focused on the Gunsan International*Coastal Passenger Boat Terminal -)

  • 박병민;심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44-356
    • /
    • 2013
  • Due to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s for translation poor such as handicapped people, elderlies, children most public buildings are now integrating barrier free design methods. However, barrier free design is still considered as constraints of physical elements that only serve to meet functional aspects for minors and conflict with designs of the space. The authors believe that it is time that barrier free design is considered not as constraints but opportunities that both meet functional and aesthetical needs serving the growing population of transportation poor and others as well. This paper has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poor and barrier free design elements of passenger terminals and developed 4 categories of design methods. applied by using human sense, form, furniture, and architectural elements. Then the authors analyzed Gunsan International and coastal passenger terminal existing conditions which is considered to be designed to meet barrier free guidelines and legislations through the developed design categories and elements.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subject in regard of barrier free designs for transportation poor lack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orms that can be used as symbolic and directional elements that assists as wayfinding cues. Also, flexible and multi functional approaches in furniture arrangements, structural approaches are needed.

중국 무장애 디자인 규범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na's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 이우홍;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26
    • /
    • 2019
  • 무장애 설계는 사회적 약자 집단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중국은 인구가 가장 많으면서 노인 인구도 가장 많은 나라로서 무장애 설계에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본 논문의 범위는 1980년대부터 2012년까지로 설정하였으며 현재까지 시행된 두 개의 무장애 설계 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무장애 설계 표준의 발전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 규범의 번호, 장절, 적용범위, 적용대상, 목적 등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2001년 규범이 비해 2012년 규범에서 무장애 발전의 가속화, 규범 적용 범위의 확대, 규범 내용의 보강, 조항의 완화 등의 특징이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어린이를 고려한 무장애공간 계획기준 및 적용실태 연구 - 어린이 재활병원의 외래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sign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s of Barrier-free Space for Children - Focused o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

  • 조민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13-124
    • /
    • 2016
  • This research examines domestic and oversea's barrier-free design guidelines provided exclusively for children and their implementations i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two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hecklist was developed to compare various barrier-free desig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accessibility in space. In addition, four spatial areas in the outpatient clinics of the two hospital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hecklist. As a result, the domestic and Japanese guidelines were aiming primarily to all user groups regardless of ages. Whereas in other oversea's guidelines, a number of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exclusive for children were found in the facility items such as handrail, sink, urine, toilet, water fountain, chair, table, shelve, and so on, throughout the indoor waiting and sanitary spaces. Concerning implementations, most of the items in the indoor passage, waiting, and sanitary spaces of the two hospitals were not sufficiently facilitated enough to meet with the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exclusive for children. As such, it is recommended to review and improve the current domestic barrier-free design guideline to accommodate various physical and spatial needs of children in all age groups and regardless of disability types, in the design of a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 in the future.

지방대학 캠퍼스의 Barrier Free Design을 위한 설계VE 품질모델 및 가중치 제안 (A Proposal of the Quality Models and Additive Value Degrees for the Barrier Free Design in the Rural Campus Design Value Engineering)

  • 민경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06
  • In campus project, "Barrier Free Design" is the essential part for the handicapped. It is necessary to make a quality model that choose effective design value engineering objects. So more effective models, this study examine reques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hecked item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at movement, guidable, safety and territoria parts, and each groups are also divided into detailed items for basic decisional elements. When basis points sets 10, it can be divided that movement parts 2.93pts, guidable parts 2.31pts, safety parts 2.41pts and territoria parts 2.35pts. in this results, we can make additive value and quality model for barrier free design in campus design value engineering.

  • PDF

장애물 없는 주택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국내 공동주택의 무장애(barrier free) 설계수준 평가를 중심으로 - (Design Criteria in Barrier Free Housing)

  • 김상운;박광재;강병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07-115
    • /
    • 2004
  • In this paper, the all units of residential housing that is not legislated in facility development law are analyzed and foreign design criteria that is related to barrier-free unit housing is comparing to domestic. Through the comparison in front door, living room, bathroom, bedroom, and kitchen, this paper aims to suggest internal barrier-free design criteria. This paper is limited to internal housing which are front door, living room, bedroom, bathroom, and kitchen. Also, the objectives of facility development law are U.S, Japan, German, and in case of U.S, UFAS is established by ADA, in Japan, Heart Building law and detail standard drawing are used, in German, DIN is used. The objective of domestic case study is the latest residential housings that are built over 2003. The flow of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internal items of residential housing are abstracted, and each item is checked in facility development law that is legislated in. Next,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facility development law related to housing, common items are abstracted and detail standards are defined. Domestic residential housings are analyzed in those standards. Finally, the problems that is the result of analysis are analyzed and the barrier free design criteria is abstracted in unit housing. Also, more developed items and future study are suggested.

  • PDF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을 활용한 배리어 프리 학술연구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Barrier-free Academic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CONCOR)

  • 이정기;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31
    • /
    • 2023
  • 세계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즉 배리어 프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배리어 프리 연구 동향을 파악해 봄으로써 배리어 프리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의 방향성, 정책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분석 자료는 배리어 프리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96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국내 전문학술지에 개재된 227편의 논문이다. 연구자는 학술 논문의 제목과 주제어, 초록을 텍스트로 전환한 후 논문의 패턴과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 이후 배리어 프리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연평균 17.1편의 논문이 게재됐다. 이는 2008년 7월 15일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 시행지침 시행과 관련성을 가진다. 둘째, 배리어 프리 텍스트 마이닝 결과 i) 상위 주요 키워드 단어 빈도분석 결과 배리어 프리, 장애인,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 접근, 노인, 인증, 개선, 평가, 공간, 시설, 환경 등이 중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ii) TD-IDF 분석결과는 유니버설 디자인, 디자인, 인증, 주택, 접근, 노인, 설치, 장애인, 공원, 평가, 건축물, 공간 등이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iii) N-Ggam 분석결과 배리어프리+인증, 배리어프리+디자인, 배리어프리+배리어프리, 노인+장애인, 장애인+노약자, 장애인+편의시설, 장애인+노인, 사회+노약자, 편의시설+설치, 인증+평가지표, 물리+환경, 삶+질 등이 주요 연관어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 분석결과 군집 1은 배리어 프리의 현안과 과제, 군집 2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공간 활용, 군집 3은 장애인 활용 가능성 제고, 군집 4는 배리어 프리 인증과 평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배리어 프리 연구의 활성화와 바람직한 배리어 프리 환경 구축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 하였다.

무장애 학교도서관 편의시설의 디자인 (Designing the Barrier-Free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1-23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의 통합교육환경에 적합하도록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무장애 학교도서관을 디자인하는 필요한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와 미국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된 법률과 기준을 조사분석한 다음에,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14가지의 편의시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렇게 선정된 편의시설별로 무장애 학교도서관의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자동검토를 위한 BIM 모델링 정보 및 인증 항목 정보의 분류체계 분석 프로세스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Review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Process of BlM Information for an Automatic Review of Certification Method of Health and Barrier Free Environment)

  • 홍사철;김석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54-165
    • /
    • 2018
  • For the foundational study on automatic review of the barrier 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using BIM modeling information, we first confirm the need of the automatic review by analyzing the barrier 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an by investigating the existing studies on barrier 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After that, we select a primary approach for our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related works such as automatic review of the building code. As a next step, we generate the BIM modeling information, extract the classification system, analyze and extract items in the barrier 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according the extracted system, compares the items with the BIM generation information, and allocate them. And, we showed the potential usability of automatic review by deriving a process to prepare the ruleset structure for the automatic review and to prepare a criteria for BIM modeling guide.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rrier Free Composition of Kindergarten)

  • 송정란;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9-17
    • /
    • 2017
  • 본 연구는 단설유치원 교직원과 교육청의 시설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지도와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구축을 위해 강화 또는 완화해야 할 편의시설을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기설 단설유치원의 개선 편의시설에 대해서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현행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유치원의 의무 권장 설치대상 편의시설과 그에 따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기설 유치원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제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 또는 건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항목은 배점을 낮게 조정하여 기설 유치원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 인식적 측면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인증기관을 중심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기존유치원과 신설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 조성 방향의 핵심은 보호능력과 안전의식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다. 모든 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제거하고 자동문을 설치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위생시설은 유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적절한 높이와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 유아기 공동체 활동이 강화됨에 따라 강당이나 도서관의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피난안전시설도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유아들의 교육 생활 공간인 단설유치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기설 유치원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지표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시도된다면 유치원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