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olateral membrane vesicl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가토 신피질 Brush Border Membrane과 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유기이온의 이동에 대한 동력학적 분석 (Kinetics of Organic ion Transport Across Rabbit Renal Brush Border and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 김용근;우재석;이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1권2호
    • /
    • pp.273-282
    • /
    • 1987
  • 가토 신피질에서 분리한 brush border membrane (BBM)과 basolateral membrane vesicle (BLM)에서 유기 음이온인 p-aminohippuric acid (PAH)와 유기 양이온인 tetraethylammonium (TEA)의 이동에 대한 동력학적 분석을 하였다. BLM에서 PAH에 대한 Km과 Vmax값은 각각 $0.34{\pm}0.02\;mM$$0.22{\pm}0.07\;nmol/mg\;protein/20s$였으며 BBM에서 각 값은 $8.46{\pm}0.57\;mM$$4.43{\pm}0.40\;nmol/mg\;protein/20s$였다. BLM에서 용액내 Na의 제거는 PAH에 대한 Km 값에는 영향없이 Vmax 값을 변화시켰다. BBM에서 TEA이동에 대한 Km과 Vmax 값은 각각 $0.55{\pm}0.15\;mM$$1.04{\pm}0.23\;nmol/mg\;protein/20s$였으며 BLM에서 각 값은 $0.46{\pm}0.04\;mM$$0.61{\pm}0.06\;nmol/mg\;protein/20s$였다. BLM에서 측정한 유기 이온들의 이동에 대한 Km 값이 신절편이나 분리된 tubule에서 보고된 값과 일치함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신세뇨관 세포막을 통한 유기 이온들의 이동 특성이 membrane vesicle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았음을 가르킨다.

  • PDF

Cisplatin의 신장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isplatin Nephrotoxicity)

  • 성하정;이창업;이문한;이영재;류판동;김곤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89-193
    • /
    • 1993
  • Cisplatin is useful for various cancers including advanced testicular and ovarian cancers. However, clinical use of cisplatin has been limited due to its dose-related neplrotoxicity. Transport studies across the membrane vesicle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cisplatin nephrotoxicity. In these experiments, after cisplatin was administered to adult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basolateral membrane (BLM) vesicles were prepared from the renal cortex. Para-aminohippurate (PAH) uptakes through BLM vesicle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interactioln of cisplatin on the transports of the substrates. As results of the uptake experiments using the vesicle systems, cisplatin had little effects on PAH transport through BLM vesicle. In conclusion, cisplatin did not cause the damage of basolateral membranes.

  • PDF

가토 신장 근위세뇨관의 Brush Border 및 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PAH 이동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PAH Transport in Brush Border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of Rabbit Proximal Tubule)

  • 김용근;우재석;이상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81-293
    • /
    • 1988
  • 가토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분리한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BBMV)과 basolateral membrane vesicle(BBMV)에서 rapid filtration 방법으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BLMV에서 용액내 Na이 없을 때 외부 $pH(pH_0)$를 8.0에서 5.5까지 감소시켰을 때 probenecid-sensitive PAH 이동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용액내 Na이 있을 때 $pH_0$가 8.0에서 6.0까지 변화하여도 PAH 이동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5.5까지 더욱 감소시켰을 때 PAH 이동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vesicle 내 외에 pH gradient없이 $pH_0$를 내부 $pH(pH_1)$와 동일하게 변화시켰을 때 PAH 이동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PH gradient가 없을 때 시험된 pH범위에서 Na은 PAH 이동을 증가시켰다. BBMV에서도 BLMV에서와 유사한 pH 의존성을 보였으나 Na의 존재는 PAH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BLMV에서 동력학적 분석 결과 일정한 $pH(pH_1)$에서 $pH(pH_0)$ 감소는 Km에 변화없이 PAH 이동에 대한 Vmax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BBMV에서 PAH 이동에 대한 pH의 영향은$OH^-/PAH$교환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나 BLMV에서 pH 의존성은 음이온 교환기전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또한 BLMV에서는 PAH 이동이 Na에 의존하나 BBMV에서는 Na에 의존하지 않음을 가르킨다.

  • PDF

가토 근위세뇨관 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Succinate 이동 특성 (Succinate Transport in Rabbit Renal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 김용근;배혜란;임병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307-318
    • /
    • 1988
  • 가토 신장 피질에서 Percoll density gradient방법으로 분리한 basolateral membrane vesicle (BLMV)에서 rapid filtra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succinate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Na^+$은 succinate의 이동을 증가시켜 "overshoot"현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K^+,{\;}Li^+,{\;}Rb^+,{\;}choline$과 같은 다른 양이온들에 의해 나타나지 않았다. $Na^+$농도변화에 따른 succinate의 이동율은 sigmoid모양을 보였고, $Na^+$에 대한 Hill coefficient는 2.0이었다. soccinate의 이동은 vesicle 내부가 음전압일 때 더욱 증가되었다. BLMV에서 succinate이동은 용액내 pH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나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 (BBMV)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력학적 분석결과 succinate의 Km값은 $15.5{\pm}0.94{\;}{\mu}M$이었고 Vmax는 $16.22{\pm}0.25{\;}n{\;}mole/mg{\;}protein/min$이었다. succinate의 이동은 $4{\sim}5$탄소를 가진 dicarboxylate들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나 monocarboxylate나 다른 유기음이온들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거나 받지 않았다. succinate의 이동은 DIDS, SITS, furosemide와 같은 음이온 이동 억제제와 harmaline과 같은 $Na^+$ 이동 억제제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들 결과들은 BLMV에서 succinate는 $Na^+$에 의존하여 이동하며 다른 Krebs cycle중간 산물들과 동일한 운반기전을 이용함을 가르킨다. 또한 BLMV에서 succinate의 이동은 그 기질특이성에 있어서 다른 연구자에 의해 보고된 BBMV에서 이동특성과 유사함을 보였다.

  • PDF

신장근위곡세뇨관 소포를 이용한 신장독성 실험모델 개발 2.Uranyl acetate가 신장근위곡세뇨관 소포에서의 물질이동에 미치는 영향

  • 이영재;이창업;류판동;박종명;박근식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1992
  • Basolateral and brush border membrance (BLM and BBM) vesicles of renal proximal tubules were prepared from adult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to develop an experimental for assessment of nephrotoxicity. PAH uptakes using BLMV, and glucose and leucine uptakes using BBMV were measured in the rabbits treated uranyl acetate. In addition, urinalysis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hip with the membrance vesicle uptakes.

  • PDF

Effect of Cadmium on Organic Acid Transport System in Renal Basolateral Membrane

  • Kim, Ghi-Chan;Kim, Kyoung-Ryong;Kim, Jee-Yeun;Park, Yang-Sae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0권2호
    • /
    • pp.279-288
    • /
    • 1996
  • Chronic exposure to cadmium impairs various renal tubular functions, including organic acid (anion) secretion.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admium-induced alterations in the organic anion transport system, kinetics of p-aminohippurate (PAH) uptake was studied in renal cortical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BLMV) isolated from cadmium-intoxicated rats (adult male Sprague-Dawley). Cadmium intoxication was induced by subcutaneous injections of $CdCl_{2}$ (2 mg Cd/kg per day) for 3 weeks. The renal plasma membrane vesicles were prepared by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The vesicular uptake of $^{14}C$-PAH was determined by rapid filtration technique using Millipore filter. Cadmium intoxication resulted in a marked attenuation of $Na^{+}$-dependent, ${\alpha}$-ketoglutarate (${\alpha}$KG)-driven PAH uptake with no changes in $Na^{+}$ and ${\alpha}$KG-independent transport component. Ki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Vmax, but not Km, of the $Na^{+}$-dependent, ${\alpha}$KG-driven component was reduced. A similar reduction of $Na^{+}$-dependent, ${\alpha}$KG-driven PAH uptake was observed in normal membrane vesicles directly exposed to inorganic cadmium in vitro,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n inhibition of both $Na^{+}$-dependent ${\alpha}$KG uptake and ${\alpha}$KG-PAH exchange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uring chronic exposure to cadmium, free cadmium ions liberated in the proximal tubular cytoplasm directly interact with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impair the active transport capacity for organic anions, most likely due to an inhibition of both $Na^{+}$-dicarboxylate cotransporter and dicarboxylate-organic anion antiporter activities.

  • PDF

신장근위곡세뇨관 막소포를 이용한 신장독성 실험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Novel Experimental Model for Nephrotoxicity Assessment Using Membrane Vesicles of Rabbit Renal Proximal Tubules)

  • 이영재;이창업;이문한;성하정;류판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5-204
    • /
    • 1993
  • Basolateral and brush border membrane (BLM and BBM) vesicles of renal proximal tubules were prepared from adult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to evaluate as a potential model for assessment of nephrotoxicity. PAH uptakes using BLMV, glucose and leucine uptakes using BBMV were measured in the rabbits treated cephaloridine. In addition, urinalysis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hip with membrane vesicle uptak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e of Na+, K+ -ATPase was enriched 12.3-fold in vasolateral memvrane vesicles (BLMV) and the specific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purified brush border memvrane vesicles (BBMV) was enriched 10.1-fold compared with each of microsomal homogenate. (2) In the uptake experiments, cephaloridine decreased initial and probenecid-sensitive PAH uptakes in BLMV. (3) Cephaloridine tested decreased initial and phlorizin-sensitive glucose uptakes in BBMV. (4) Cephaloridine tested decreased initial and Na+-dependent leucine uptakes in BBMV. (5) Cephaloridine test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urinary excretion of glucose and activity of ${\gamma}$-GTP. (6) Cephaloridine tested caused moderate necrotic changes in renal tubular cells and formation of urinary cast in the lumina of Henle's loop and collecting tubules besides the swelling of renal tubules.

  • PDF

신장 피질 기저막 소포에서 p-Aminohippurate 이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음이온의 효과- (Characteristics of p-Aminohippurate (PAH) Transport in Basolateral Membrane Vesicles of Rabbit Kidney Cortex -Effect of Anion-)

  • 이상호;정진섭;김용근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0권2호
    • /
    • pp.225-235
    • /
    • 1986
  • 가토 근위세뇨관에서 Percoll gradient에 의해 분리한 기저막소포(basolateral membrane vesicle)에서 PAH 이동에 미치는 여러 음이온들의 영향을 rapid filtra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NA-dependent PAH 축적은 용액내 $SO_4$$SSO_3$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Cl,\;SCN,\;HPO_4,\;acetate$ 및 oxalate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용액내의 $SO_4$는 상경적으로 PHA 이동을 억제하였다. 소포내 음이온을 부하시킨 후 PAH 이동을 측정했을 때 $acetate,\;SO_4$ 및 PAH의 부하에 의해 PAH 이동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소포내 부하되는 $SO_4$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AH 축적은 증가되었다. $SO_4$에 의한 PAH의 trans-stimulation은 Na 농도 경사 존재시 더욱 증가되었으며 이들은 2 mM probenecid 및 1mM SITS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들 결과들은 신피질세뇨관 세포의 기저막에 PAH/음이온 교환에 의해 PAH가 이동되는 기전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르킨다. 그러나 PAH 이동에 영향이 없는 음이온들은 PAH/음이온 교환에 기질로써 작용하지 않기 때문인지 아니면 이들 음이온들의 높은 투과성에 인해 나타난 결과인지는 더욱 추구해 보아야 확인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쥐 맥락얼기에 분포하는 ZnT3 및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ZnT3 and Zinc Ions in the Mouse Choroid Plexus)

  • 김성주;김용국;손원재;김수진;정영길;유윤조;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77-383
    • /
    • 2002
  • 본 연구는 BALB/c 생쥐 맥악얼기내 ZnT3 및 zinc 이온을 ZnT3 항혈청을 이용한 면역세포화학법(ABC법)과 autometallography ($ZnSe^{AMG}$)로 각각 동정하였다. 저배율에서 맥락얼기내 ZnT3 면역반응은 미약하였으나, 고배율에서는 맥락상피와 맥락조직에 국한된 뚜렷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된 ZnT3 면역반응은 주로 맥락상피의 자유면쪽 미세융모 및 막성 소기관에 국한되었던 반면 맥락조직내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는 면역반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AMG 염색결과 맥락상피와 맥락조직에서 강한 AMG 과립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모세혈관의 내피상피에서 가장 많이 AMG 과립이 분포하고 있었다. 맥락상피내 AMG 과립은 주로 다소포체에서 관찰되었으며, 소수는 특정 세포질소기관과 상관없이 사이토졸에 산재해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맥락얼기가 일종의 zinc pool의 역할이 있을 것이며, 최소한 뇌척수액과 뇌실질간에 zinc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