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s Diffusion Model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Bass Diffusion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규모 예측: 몽골 사례 (Forecasting the Growth of Smartphone Market in Mongolia Using Bass Diffusion Model)

  • ;신광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3-212
    • /
    • 2022
  • 1969년에 처음 고안되어 확산에 대한 마케팅 연구를 이끈 Bass Diffusion Model은 일반적으로 마케팅 연구 및 경영 과학에서 가장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다. 본 연구는 휴대전화 가입 확산을 토대로 Bass 확산 모델의 사용을 설명하며 Bass 확산 모델을 3대 선진국 시장인 한국, 일본, 중국과 신흥시장인 베트남, 태국, 카자흐스탄, 몽골에 적용했다. 실험에서는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사용하여 Bass확산 모델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고 휴대전화 가입의 확산은 모든 경우에 S 곡선을 따른다. m, p 및 q 매개변수를 획득한 후 국가를 세 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해 k-평균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했으며 국가를 클러스터링함으로써 확산 속도와 패턴이 유사하며 신흥시장이 있는 국가가 선진국의 발자취를 따를 수 있음을 제안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장 성숙도의 시기와 규모를 예측하고 데이터가 Bass 모델의 혁신의 일반적인 확산 곡선을 따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Bass 확산모형의 이분 확장 (Two Pieces Extension of the Bass Diffusion Model)

  • 홍정식;엄석준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26
    • /
    • 2009
  • Bass diffusion model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studying the diffusion of the new products since 1969, the year of publication of Bass model. Almost 750 publications based on the Bass diffusion model have explored extensions and applications. Extension model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model containing marketing-mix variables and the other is the model containing additional parameters. This paper presents another extension model of the latter type. Our model allows the time varying coefficients of innovation and imitation. Two pieces approximation of time varying coefficients is introduced and it's parameters are estimated based on NLS(Non-Linear Mean Square) method. Empirical studies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 that our model is superior to the basic Bass model and the NUI(Non-Uniform Influence) model which is the well-known extension of the Bass model. The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is, also, transformed into the Bass model with the ready potential adopters in order to enhance the descriptive power.

대형할인점 확산에 대한 공간적 영향 (Spatial effect on the diffusion of discount stores)

  • 주영진;김미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4호
    • /
    • pp.61-8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할인점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기업의 정보와 구매자의 구전으로 확산을 설명하는 Bass모형에 제3의 요소로 공간적 영향력을 고려하였다. 국내 대형할인점의 확산은 확산중심지인 서울경인지역에서 저차중심지인 4개 지역권역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보임에 따라 공간적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공간적으로 구분된 시장 A(확산중심지)가 시장 B(저차중심지)에 미치는 영향이 완전히 통제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장 A가 시장 B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을 다국가확산모형(multinational diffusion model)을 확장한 공간확산모형(spatial diffusion model)을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Bass모형과 공간확산모형의 모수추정을 통해 두 가지 정보전달경로와 관련된 혁신계수와 모방계수로 확산을 설명하는 Bass모형보다 공간확산모형이 국내 대형할인점 확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중심지인 서울경인과 4개 지역권역의 소매환경을 나타내는 개념적 거리에 따라 공간확산모형에서 공간적요인의 영향력이 달라질 것이 기대되어 공간확산계수와 소매환경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연구결과 확산중심지에서 저차중심지에 대한 공간적 영향력은 저차중심지의 소매환경이 확산중심지의 소매환경과 유사할수록 크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 PDF

확산이론 관점에서 로지스틱 모형과 Bass 모형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ass Model and the Logistic Model from the Point of the Diffusion Theory)

  • 홍정식;구훈영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3-125
    • /
    • 2012
  • The logistic model and the Bass model have diverse names and formulae in diffusion theory. This diversity makes users or readers confused while it also contributes to the flexibility of modeling. The method of handling the integration constant, which is generated in process of deriving the closed form solution of the differential equation for a diffusion model, results in two different 'actual' models. We rename the actual four models and propose the usage of the models with respect to the purpose of model applications. The application purpose would be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diffusion pattern or the forecasting of future demand. Empirical validation with 86 historical diffusion data shows that misuse of the models can draw improper conclusions for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diffusion pattern.

확산 모형을 이용한 고효율기기의 보급량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cast of Penetration Amount of High-Efficiency Appliance Using Diffusion Models)

  • 박종진;소철호;김진오
    • 에너지공학
    • /
    • 제17권1호
    • /
    • pp.31-37
    • /
    • 2008
  • 현재 에너지 효율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관리 목표량과 투자비는 과거 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일한 Bass 확산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제품 등의 보급량 예측에 널리 사용되는 Bass 확산 모형은 시간과 세 가지 계수들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며, 계수들의 추정에 있어서 제품의 과거 실적 데이터의 충분한 확보가 필수적이다. 국내의 경우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고효율기기의 수요관리 목표량 산정을 위해 기기별 보급량 예측이 선행되어야 하며, 기기별 보급량 예측은 Bass 모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고효율기기 보급 프로그램의 조명기기, 인버터, 자판기와 전동기는 그 진행이 길지 않아 Bass 확산 모형을 이용한 보급량 예측에 필수요건인 충분한 실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기기의 미래 보급량 예측에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보급 예측량에 대한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앞으로의 고효율기기의 보급 예측의 방식에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ass, virtual Bass, Logistic과 Lawrence & Lawton 확산 모형을 이용하여 각 고효율 기기의 미래 보급 확산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기기별 특성에 따른 모형 선호도 평가를 위해 통계랑 기준에 근거하여 실적 데이터와의 오차 범위를 산정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확산 모형을 이용한 기기 보급량 예측에 있어서 확산 모형의 단순 적용에 따른 오차 발생 원인과 기기별 특성에 따른 확산 모형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자기상관 오차항을 고려한 수정된 확산모형: CT-스캐너와 FPD TV에의 응용 (A Modified Diffusion Model Considering Autocorrelated Disturbances: Applications on CT Scanners and FPD TVs)

  • 차경천;김상훈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09
  • 시계열 확산 데이터를 활용하여 Bass 확산모형을 최소자승법(OLS)으로 추정하면, 초기에는 과다 추정하고 변곡점을 지나서는 수요를 낮게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확산모형에서 필요한 변수가 모형에서 빠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설정오류는 잔차의 자기상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기상관이 오차항에 있을 경우, 추정된 모형의 모수들은 불편추정치이나 비효율적 추정치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확산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상관 오차항을 고려한 수정된 확산모형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미국의 CT-스캐너와 우리나라의 FPD TV 판매량를 제안된 모형에 응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모형이 기존 모형에 비해 적합도와 모형의 주요 추정 통계량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 PDF

신제품 및 서비스에 있어 이분조각 Bass모형에 의한 확산 패턴 분석 (Analysis of Diffusion Pattern in New Product and Services Based on Two-pieces Bass Model)

  • 홍석기;홍정식
    • 산업공학
    • /
    • 제23권4호
    • /
    • pp.337-348
    • /
    • 2010
  • The Bass model is the most widely used model in research of new product diffusion because it presents a nice explanation on the diffusion process of new product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its performance of fitness is lower as the available data become less and also, the diffusion curve is bell-shape and so, it can not represent the various diffusion patterns. Recently, a two-pieces Bass model is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diffusion of 10 products. The results are encouraging in terms of fitness. However, diffusion pattern is not dealt with in the paper. In this paper, analysis of diffusion pattern is in depth addressed in two-pieces Bass model. It is shown that the diffusion curves are divided into 3 types with respect to the peak adoption rate and each type is divided into 2 types further. Takeoff time of a diffusion process is analyzed by using the inflection point and regime-change time where it represents the point that imitation and innovation parameters change. Empirical studies for 68 products(28 domestic products and 40 USA product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usion pattern. Findings are that diffusion patterns of all products except 1 USA product show type I and regime-change time becomes shorter as the introduction time of the product is later in domestic products and regime-change time can be regarded as a takeoff time in 47% of total 68 products.

Forecasting the Diffusion of Innovative Products Using the Bass Model at the Takeoff Stage: A Review of Literature from Subsistence Markets

  • Mitra, Suddhachit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1호
    • /
    • pp.141-161
    • /
    • 2019
  •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directed at subsistence markets in the recent past with the belief that these markets can be tapped profitably by marketers. Consequently, such markets have seen the launch of a number of innovative products. However, marketers of such forecasts need timely and accurate forecasts regarding the diffusion of their products. The Bass model has been widely used in marketing management to forecast diffusion of innovative products. Given the idiosyncrasies of subsistence markets, such forecasting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estimation techniques of the Bass model and their use in subsistence markets. This article reviews the literature to achieve this objective and find out gaps in research. A finding is that there is a lack of timely estimates of Bass model parameters for marketers to act on. Consequently, this article sets a research agenda that calls for timely forecasts at the takeoff stage using appropriate estimation techniques for the Bass model in the context of subsistence markets.

Bass 모형을 이용한 인터넷에서의 기술 확산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f Technology Diffusion on the Internet using Bass Model)

  • 남호헌;양광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2호
    • /
    • pp.55-64
    • /
    • 2008
  • The Internet possesses not only features of mass media but also features of word of mout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hannel is considered as one of most important variables in diffusion process. In this paper, we examined functionality of technology diffus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use of meta tags. We have measured the coefficients of the Bass diffusion model which has been well-established in new product diff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Bass model is appropriate for describing technology diffusion on the Internet. The external influence as represented by the coefficient of innovation was found to be much smaller while the internal influence dominates in all meta tag diffusion. In meta tag diffusion, the internal influence as represented by the coefficient of imitation was increased at least twice bigger than that of consumer durabl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llecting necessary data in social sciences research can be a burden. This research shows that it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use of software agents over the Internet. The research made use of software agents for collecting longitudinal data from publicly accessible archive such as Archive.org.

  • PDF

네트워크 기반 확산모형 (Network Based Diffusion Model)

  • 주영진
    • 경영과학
    • /
    • 제32권3호
    • /
    • pp.29-36
    • /
    • 2015
  •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sensitivity of the network density to the estimates for the Bass model parameters with both theoretical model and a simulation. Bass model describes the process that the non-adopters in the market potential adopt a new product or an innovation by the innovation effect and imitation effect. The imitation effect shows the word of mouth effect from the previous adopters to non-adopters. But it does not divide the underlying network structure from the strength of the influence over the network. With a network based Bass model, we found that the estimate for the imitation coefficient is highly sensitive to the network density and it is decreasing while the network density is decreasing.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interpersonal influence can be under-looked when the network density is low. It also implies that both of the network density and the interpersonal influence are important to facilitate the diffusion of an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