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y major stud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Cosmetology Major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profession)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67-1677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미용전문직관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만족은 '전문성' t=4.625(p=.000), '직업인식' t=3.152(p=.002)로, 전공가치는 '전문성' t=2.330(p=.021), '전문활동' t=2.438(p=.015), '직업인식' t=4.843(p=.000)으로, 대학생활적응은 미용전문직관의 하위요인인 '전문활동' t=2.746(p=.006), '직업인식' t=4.303(p=.000)으로 나타나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전공만족은 대학 및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및 헤어 미용 직무 자신감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으로 사회생활을 적응할 수 있게 해주며, 미용전문직관은 헤어 미용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로 미용 전공 대학생 때 전문직관이 생기게 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형성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올바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미용전문직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교수 및 교육관계자들의 전문직업 윤리와 가치관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교육과정 주요요인과 교육만족도 (A Study of Student Satisfaction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Educational Assessments)

  • 권도희;정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43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improve future-orient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n their curriculum and major courses and proposing their basic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in Busan (5 junior colleges and 1 four-year univers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questionnaire items on the curriculum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curriculum development', 'facility and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s', 'instructor/teacher activities', 'educational evaluation activitie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nd 'output evalu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ll positive relations. Seco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output factors in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output factor levels were high as 'academia-industry cooperation activities', 'age', 'teacher/instructor activities', curriculum requirement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were high. In overall, relatively good results (69.0%) were observed. A further study needs to be performed for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urriculum in educating students from beauty art-related departments by applying their educational evaluation to optimum standards.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ir and Beau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임순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15-122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미용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G지역 헤어미용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0일부터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150부를 최종적으로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어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뷰티전공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 구성개념 분석 (Analysis of the Composition Concep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Beauty Major University)

  • 강세령;이영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1-28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가지 통합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육 서비스 품질 구성개념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2년제, 4년제 대학의 뷰티 전공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임의 표집방식으로 250명을 채택하여 조사에 사용하였다. 일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질문지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뷰티 전공 대학의 교육 서비스품질은 전공지식, 교육적 자질, 교수-학생 친밀감, 학생욕구반영, 활용성, 교육과정 구성, 환경효율성, 교육기자재, 명성의 9개 세부 영역과 일반영역으로 교수 전문성, 교수-학생 공감, 교육과정, 교육 환경, 명성의 5개 영역으로 도출 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귀납적 내용분석을 보다 타당성 있게 지적하고 심도 있게 도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뷰티 전공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간접적 직무체험 (Job Shadowing)에서 직업진로 발달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the Job Shadowing of th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조은희;박주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77-1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 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 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이재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1-2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뷰티 전공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유형을 확인하고,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로 준비 행동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2021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질문지는 총 48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이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진로 의사결정 유형은 의존 및 직관적 유형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진로 준비 행동으로 시간 노력, 능력 활동, 정보수집의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으로 수업 만족, 교과 만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형과 의존형이 진로 준비 행동의 하위요인인 능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행동분석 (An Analysis of Fashion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in Dalian, China)

  • 김정원;사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3-10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of fashion behavior and to identify fashion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s' background of male college student in Dalian, China.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50 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lian, China in June 2007. Data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Crombach's a, reliabilt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Sheffe's test for the post hoc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ashion behavior factors were analyzed into 6 factors such as fashion satisfaction oriented, high price oriented, fashion leader oriented, practical fashion oriented, others defendence orien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major and physical variables such as height, weight, clothing size and parents' background such as education, job, and income.

미용대학생들의 성격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Major Students)

  • 고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36-344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충남북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PAI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들과 일반전공 대학생들의 평균척도를 비교하였을 때 미용전공 대학생들은 일반전공 대학생에 비해 임상척도에서 높은 프로파일 유형을 보였으며 특히 신체적 호소(SOM)와 음주문제(ALC)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PAI척도를 탐색하기 위해 미용전공 대학생들과 일반전공 대학생들의 비교에서 유의미했던 신체적 호소(SOM), 망상(PAR), 공격성(AGG), 자살관념(SUI)의 4개 척도를 탐색요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 호소(SOM)의 척도가 추출되어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일반전공 대학생들보다 신체적 문제에 더 집착하며 충동적인 경향이 높은 행동양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선발, 관리, 교육, 상담자료로서 활용하거나 이들이 졸업 후 직업선택 등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3D 특수 분장 마스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제2보)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Ver. 2))

  • 방기정;김진서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63-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training program for utilization of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3D computer graphics software program, for special makeup mask using a variety of creative educational models and case study with comparative analysis. The makeup program applied to the majors and liberal arts classes for program design. Inthis study, the selected major courses included ' stage make up ', make up application', and illustrations and color '. Students were required to take a class targeted to questionnaire completion and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literature search, and Internet naviga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earch targeted select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Korea. ETRI's "3D mask special makeup simulation program" was used in support. A survey of the study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3, to August 30, 2014, showed a total of 94 additional statistical analyses. First, grade 3 44.6% was attained by 91.7% of the first year student majoring in liberal arts classes, Second, students' in the 3D special dress up mask program Interestingly, attained high recognition in its mastering, usability, and creativity. Furthermore, the major student satisfaction was higher for the '3D special makeup mask program. Third, students '3D special dress up was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the program', the mask ' that models 3D ' faces. In addition, the student's delicate dress called for critical technology skills. It is thought to be suitable for practical training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if applied to universities and beauty schools, such as the regular high school curriculum through research.

지속가능한 미용전공 프로보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ono Activation Plan for Sustainable Beauty)

  • 윤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03-415
    • /
    • 2018
  • 본 연구는 뷰티프로보노활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관련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수도권지역 미용전공자 701명의 설문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프로보노 참여동기는 뷰티기술 및 지식을 활용하기 위함이며, 주로 봉사동아리활동을 통하여 참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뷰티프로보노 활동만족도는 기관의 홍보모집과 연관성이 높았다. 봉사주관기관의 신뢰도는 기관운영수준과 참여를 통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신뢰하는 경향이 높았다. 셋째, 뷰티프로보노활동을 통한 만족도, 조직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지속가능의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프로보노 활성화방안은 다양한 홍보채널의 개발, 봉사자들에 대한 교육강화, 봉사주관기관의 투명경영 등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조사대상의 한정이라는 연구의 한계를 갖고 있어 향후 조사대상의 확대와 뷰티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