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aterial metal joi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이종재료 금속조인트의 굽힘에 의한 잔류응력 해석 (Residual Stress Analysis in Bi-material Metal Joint under Bending Moment by Finite Element Method)

  • 백태현;정걸;박태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8-451
    • /
    • 2005
  • It was observed that after unloading or removal of the load from the specimen subjected to bending stress, partial or full elastic spring back occurred and considerable stresses have resulted while plastic deformation was considered. ABAQUS is a suite of powerful engineering simulation program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paper, it was used as the main tool to analyze elastic and plastic deformations of hi-material metal joint. In the case of elastic deformations, the results were comparable to the theoretical data. Plastic deformations and residual stresses of hi-material metal joint under bending moment were obtained by ABAQUS; where the theory needs to be studied and improved further to verify the results.

  • PDF

Bi-2223 초전도선재의 상전도- 및 초전도-접합부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resistive-and supercodncuting-joint of Bi-2223 superconductor tape)

  • 김정호;지봉기;박형상;임준형;오승진;주진호;황보훈;나완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47-253
    • /
    • 2000
  • We evaluated the electric properties of Bi-2223 jointed tapes processed by both resistive-and superconducting-joint methods. For resistive-joint. filler materials of wood metal Pb/Sn. In and silver paste were used whereas for superconductive-joint lap joint method was used. In the resistive joint tape. critical transport property(CCR) n-value and contact resistance were observed to be in the range of 10-85% 1-8,9. and 0.71x10$\^$-6/-0.13x10$\^$-6/Ω,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ir filler materials. Specifically it is believed tha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resistive joint tap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sistivity of filler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CCR of superconductin joint type was varied 55 to 85% with uniaxial pressure probably due to the irregular microstructure in the transition region.

  • PDF

복합재료-탄소강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이종 재료 접합 계면의 파괴 역학적 분석 (Fracture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Bi-material Interface for the Prediction of Load Bearing Capacity of Composite-Steel Bonded Joints)

  • 김원석;신금철;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5-22
    • /
    • 2006
  • 구조물 설계에 복합재료-금속 접착제 결합 조인트의 개발 및 사용을 제한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을 위한 접착 계면의 강도 평가 방법의 부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탄소강의 접착 강도를 계면 모서리에서의 응력강도계수와 파괴 인성 값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시 경화 성형법으로 제작된 복합재료-탄소강 양면 겹치기 접착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을 파괴 역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이종재료 계면 모서리 첨단의 응력 특이성과 그 지수를 제시하고 최종적으로 응력강도계수와 실험을 통한 계면의 파괴인성 값을 획득하였다. 서로 다른 접합 길이를 갖는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비교를 통하여 양면 겹치기 접착 조인트의 파괴 인성치와 혼합 모드에서의 균열 진전 기준을 $K_1-K_{11}$ 평면 내에 도시하였다.

복합재료/금속 접착 계면의 파괴인성치 측정 (Interfacial Fracture Toughness Measurement of Composite/metal Bonding)

  • 김원석;이정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7-14
    • /
    • 2008
  • 접착제 이용 결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 예측 기법은 점착제를 이용한 접합 조인트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본 연구 계면 파괴역학을 이용하여 복합재료/금속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시 능력을 예측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복합재료/탄소강 결합의 접착 강도를 계면 균열의 에너지 방출률과 계면 파괴인성치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 검증하였다. 계면 균열의 에너지 방출률은 유한요소해선 결과를 이용한 가상 균열 닫음 기법 (VCCT)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게면 파괴인성치는 이종재료 ENF (end-notched flexure) 시편을 고안하여 측정하였다. 고안된 이종 재료 ENF 시편을 사용하여 시편의 두께에 상관없이 일관된 Mode II 계면 파괴인성치를 측정할 수 있음과 양면 겹치기 접합 조인트의 특성 에너지 방출률이 측정된 계면 파괴인성치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방출률에 근거한 계면 균열 진전 기준은 접착 조인트의 하중지지 능력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는 실제적인 설계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