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초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지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링크드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링크드 데이터는 웹 공간을 통해 공유 가능한 식별기호와 데이터 구조 및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링크드 데이터는 서지 온톨로지와 결합하여 서지데이터를 확장시키는데 유용하다. 이에 링크드 데이터와 서지 온톨로지를 분석하고, 연계 가능한 링크드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된 기존의 전거 데이터 및 서지 데이터를 연계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연계를 통해 향후 링크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1) 다양한 링크드 데이터 중에서 각 기관에서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하며, 2) 선정된 링크드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3) 자관의 고유한 데이터를 개발하여 이를 다시 공유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내 자료에 대한 서지참조의 기술형식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Bibliographic Reference Forms of Korean Sourc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1-370
    • /
    • 1999
  • This paper aims to study on bibliographic reference forms, especially focused on the forms of korean sources. Although bibliographic reference is one of the critical elements in academic works, it seems every work has it's own forms in Korea. The fact that the bibliographic reference forms in korean works are made up by option causes the present state of diversity which makes difficulty in bibliographic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earch into internal academic journals show the diversity in the entry of title and significant gap of bibliographic reference forms among disciplines.

  • PDF

무전거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Authority Control System)

  • 최석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233-264
    • /
    • 1993
  • The authorized form is called the heading must be unique and consistent. Without both uniqueness and cosistency, retrieval from the bibliographic database will not be optimal and in some cases may even be impossible. But the authority control is extremely expensive, because it is labour-intensive and dependent on professional investigation and judgement. In fact, it is by far the most expensive function in all of bibliographic control. The processes used to determine the form of access points. maintain. use. and evaluate very accurate authority records reduce the efficiency to generate or merge bibliographic items without modification from any national level bibliographic utilities as well as individual library. In this paper non-authority control system was suggest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authority work. The apparent advantages of the non-authority control system are it is easy to determine the heading, input the bibliographic data. integrate the access points into an existing file, and generate and merge bibliographic data without modification. In addition, non-authority control system can be transmitted into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conducted with a mixture of controlled vocabularies and natural language.

  • PDF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Network Prototype for Biology and Life Science)

  • 안부영;송치평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2호
    • /
    • pp.125-151
    • /
    • 2005
  • 국내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는 PubMed와 같은 세계적인 의학 관련 문헌정보 서비스 목록에 8종 정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국내에 있는 문헌정보들도 여러 기관 산하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로 흩어져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생명과학 관련 연구정보의 신속한 획득을 위해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바이오인포매틱스 센터 홈페이지 이용자들의 요구로 Open Access가 가능한 생명과학 관련 문헌정보를 수집하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구축하고 이용자들에게 서비스하고자 한다. 또한 생명과학 관련 주제별 Open Archiving Community를 구성하여 그 운영을 통한 연구자들 간의 정보교환을 유도하고, 더불어 논문뿐만 아니라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 노트, 연구보고서 등의 최신의 연구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생명과학 문헌정보 네트워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서지프레임워크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지데이터와 서비스 데이터의 연계 (Linking Bibliographic Data and Public Library Service Data Using Bibliographic Framework)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93-3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 생산된 '서비스 데이터'를 서지데이터와 연계하여 도서관 목록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우수 도서관으로 선정된 공공도서관 7곳을 대상으로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지데이터와 서비스 데이터를 서지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시범적으로 연계하고, 활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1) 선별적이고 가치 평가가 포함된 서지데이터를 확보하고, 2) 장서의 생애주기 동안 서지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며, 3) 체계적으로 관리되기 어려웠던 서지데이터의 보존성과 공유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4) 시맨틱웹 환경에서 외부 링크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서지데이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이용교육 효과의 집단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ibliographic Instruction with Reference to the Effectiveness Differences among College Student Groups)

  • 장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61-273
    • /
    • 1989
  • The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if the effectiveness of bibliographic 'instruction would be different among student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s, major areas of study, and the level of library skills posessed before the instruction. The focal point of the investigation was the degree of improvement demonstrated by the changes in mean score of each group after taking bibliographic instruction. Sangmyong Women's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aken the bibliographic instruction course for credit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Students' library skills were measured prior to the bibliographic instruction and post-test was followed. And the measured was based on the 'Library skills Test' developed by the Illinois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Three hypotheses in the study were tested statistically by ANOVA.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bliographic instruction effectiveness among student groups divided by grade level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1) in bibliographic instruction effectiveness among student groups divided by major areas of study. Bibliograph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for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majors than for performing arts or physical education major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in bibliographic instruction effectiveness among student groups divided by the initial library skills. Obviously, bibliograph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in bottom quartile than those in top quartile or middle quartil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area for future research are briefly examined.

  • PDF

FRBRoo 분석을 통한 FRBR 개념모형의 확장과 개선 (Expanding and Improving FRBR Conceptual Model through FRBR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1-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FRBRoo 분석을 바탕으로 FRBR 시리즈 개념모형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FRBRoo는 CIDOC CRM과 연계된 플러그인 온톨로지다. FRBR 모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 분야와의 협력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FRBR 시리즈 모형이 IFLA LRM으로 통합 개정되었다. 이에 LRM에 대한 분석도 추가하였다. 서지 정보가 도서관의 업무와 이용자를 지원해야 한다면, 도서관이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서지정보를 분석하는 방식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이벤트 개념이 서지정보의 모델링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서지정보의 구축과 교환 단위를 서지레코드보다 더 작은 단위나 더 큰 단위로도 확대해야 하며, FRBRoo를 서지정보의 공유를 위한 외부와의 연계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문헌 기술을 위한 LRM 기반 서지구조 구축: 에이전트, 장소, 시간 개체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LRM-Based Bibliographic Structure for Describing Old Materials)

  • 박민정;이승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7-219
    • /
    • 2023
  • 자료를 기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AACR 계열의 목록규칙과 서지구조는 한국의 고문헌만이 지니고 있는 서지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것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의 서지적 측면을 분석하고 FRBR LRM 개념적 모형을 기반으로 기술항목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여 고문헌의 고유한 특성에 최적화된 서지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때 관계의 설정은 관련된 고문헌을 서지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문헌, 특히 우리나라의 고문헌이 지닌 서지적 특성과 형태적, 내용적 변형을 충분하게 반영할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이 설정되어야 한다. 단위저록 형태의 단편적인 서지레코드만을 생성하는 기존의 서지 환경에서 벗어나 LRM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서지데이터 단위로 기술항목을 분리 및 통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서지적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고문헌의 조직, 관리,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며, 향후 BIBFRAME 형식의 서지데이터 생성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정보교환용 MARC, CCF, MIBIS, ABNCD의 레코드 포맷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mparison MARC, CCF, MIBIS, ABNCD Records Format)

  • 박재용;박태진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8권1호
    • /
    • pp.25-40
    • /
    • 2001
  • Bibliographic information-based MARC format is using in 66 countries, and it has been keeping the position of acknowledged information system in many national libraries. But the development of exchange format about integrated database to run integration the factual information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integrative is necessary. Actually factual information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are required frequently in the library. This paper was to extract the element field of factual information that will be expanded at the libraries, and to make the basic data of integrated database-based interactive forma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varied record format to be used around the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