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idirectional LSTM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Mention Detection using Bidirectional LSTM-CRF Model (Bidirectional LSTM-CRF 모델을 이용한 멘션탐지)

  • Park, Cheoneum;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24-227
    • /
    • 2015
  • 상호참조해결은 특정 개체에 대해 다르게 표현한 단어들을 서로 연관지어 주며, 이러한 개체에 대해 표현한 단어들을 멘션(mention)이라 하며, 이런 멘션을 찾아내는 것을 멘션탐지(mention detection)라 한다. 멘션은 명사나 명사구를 기반으로 정의되며, 명사구의 경우에는 수식어를 포함하기 때문에 멘션탐지를 순차 데이터 문제(sequence labeling problem)로 정의할 수 있다. 순차 데이터 문제에는 Recurrent Neural Network(RNN) 종류의 모델을 적용할 수 있으며, 모델들은 Long Short-Term Memory(LSTM) RNN, LSTM Recurrent CRF(LSTM-CRF), Bidirectional LSTM-CRF(Bi-LSTM-CRF) 등이 있다. LSTM-RNN은 기존 RNN의 그레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하였으며, LSTM-CRF는 출력 결과에 의존성을 부여하여 순차 데이터 문제에 더욱 최적화 하였다. Bi-LSTM-CRF는 과거입력자질과 미래입력자질을 함께 학습하는 방법으로 최근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멘션탐지에 Bi-LSTM-CRF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며, 각 딥 러닝 모델들에 대한 비교실험을 보인다.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ased on the POS Tag Embedding and the Named Entity Distribution of Syllables (품사 임베딩과 음절 단위 개체명 분포 기반의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개체명 인식)

  • Yu, Hongyeon;Ko, Youngjoo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05-110
    • /
    • 2016
  • 개체명 인식이란 문서 내에서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개체명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개체명 인식 연구에서는 bidirectional LSTM CRFs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LSTM 기반의 딥 러닝 모델은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모델을 사용하고, 그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기 위해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 품사 임베딩 벡터, 그리고 음절 기반에서 확장된 단어 임베딩 벡터를 사용한다. 음절 기반에서 단어 기반 임베딩 벡터로 확장하기 위하여 bidirectional LSTM을 이용하고, 그 입력으로 학습 데이터에서 추출한 개체명 분포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만 사용한 것보다 4.9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ased on the POS Tag Embedding and the Named Entity Distribution of Syllables (품사 임베딩과 음절 단위 개체명 분포 기반의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개체명 인식)

  • Yu, Hongyeo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05-110
    • /
    • 2016
  • 개체명 인식이란 문서 내에서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개체명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개체명 인식 연구에서는 bidirectional LSTM CRFs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LSTM 기반의 딥 러닝 모델은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모델을 사용하고, 그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기 위해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 품사 임베딩 벡터, 그리고 음절 기반에서 확장된 단어 임베딩 벡터를 사용한다. 음절 기반에서 단어 기반 임베딩 벡터로 확장하기 위하여 bidirectional LSTM을 이용하고, 그 입력으로 학습 데이터에서 추출한 개체명 분포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만 사용한 것보다 4.9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Song, Chi-Yun;Yang, Sung-Min;Kang, Sangw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Song, Chi-Yun;Yang, Sung-Min;Kang, Sangwo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
    • Journal of KIISE
    • /
    • v.44 no.1
    • /
    • pp.36-43
    • /
    • 2017
  • Syntactic information represents the dependency relation between predicates and arguments, and it is helpfu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s. However, syntax analysis can cause computational overhead and inherit incorrect syntactic inform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exclude syntactic information and use only morpheme information to construct Semantic Role Labeling system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nd-to-end SRL system that only uses morpheme information with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model by extending the LSTM RNN that is suitable for sequence labeling problem.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odel has better performance, as compare to other models.

Expansion of Word Representation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Based on Bidirectional LSTM CRFs (Bidirectional LSTM CRF 기반의 개체명 인식을 위한 단어 표상의 확장)

  • Yu, Hongyeon;Ko, Youngjoong
    • Journal of KIISE
    • /
    • v.44 no.3
    • /
    • pp.306-313
    • /
    • 2017
  •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seeks to locate and classify named entities in text into pre-defined categories such as names of persons, organizations, locations, expressions of times, etc. Recently, many state-of-the-art NER systems have been implemented with bidirectional LSTM CRFs. Deep learning models based on long short-term memory (LSTM) generally depend on word representations as inpu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expand word representation by using pre-trained word embedding, part of speech (POS) tag embedding, syllable embedding and named entity dictionary feature vector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creates useful word representations as an input of bidirectional LSTM CRFs. Our final presentation shows its efficacy to be 8.05%p higher than baseline NERs with only the pre-trained word embedding vector.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ion Performance of Aperiodic Time Series Data using LSTM and Bi-LSTM (LSTM과 Bi-LSTM을 사용한 비주기성 시계열 데이터 예측 성능 비교 분석)

  • Ju-Hyung Lee;Jun-Ki Ho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7 no.2
    • /
    • pp.217-224
    • /
    • 2022
  • Since online shopping has become common, people can easily buy fashion goods anytime, anywhere. Therefore, consumers quickly respond to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weather and sales prices. Therefore, utilizing big data for efficient inventory management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sales volume of fashion goods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is analyzed via the proposed big data analysis algorithm by utilizing actual big data from Korean fashion company 'A'.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Bidirectional-LSTM(Bi-LSTM) compared to LSTM(Long Short-Term Memory) takes more simulation time about more than 50%, but the prediction accuracy of non-periodic time series data such as clothing product sales data is the same.

Predic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b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Ocean Buoy (해양관측부위 자료 기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해양 혼합층 수온 예측)

  • Ko, Kwan-Seob;Byeon, Seong-Hyeon;Kim, You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3
    • /
    • pp.299-309
    • /
    • 2022
  • Recently, The sea water temperature around Korean Peninsula is steadily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changes not only affect the fishing ecosystem, but also are closely related to military operations in the 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ich model is more suitable for the field of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by attempting short-term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through various prediction model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The data used for prediction are water temperature data from the East Sea (Goseong, Yangyang, Gangneung, and Yeongdeok) from 2016 to 2020, which were observed through marine observation by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we use Long Short-Term Memory (LSTM), Bidirectional LSTM, and Gated Recurrent Unit (GRU) techniques that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predicting time series data as models for prediction. While the previous study used only LSTM,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accuracy of each technique and the performance time were compared by applying various techniques in addition to LST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idirectional LSTM and GRU techniques had the least error between actual and predicted values at all observation points based on 1 hour prediction, and GRU was the fastest in learning tim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a method using Bidirectional LSTM was required for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to improve accuracy while reducing prediction errors. In areas that require real-time prediction in addition to accuracy, such as anti-submarine operations, it is judg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GRU technique will be more appropriate.

Spatial Entities Extraction using Bidirectional LSTM-CRF Ensemble (Bidirectional LSTM-CRF 앙상블을 이용한 공간 개체 추출)

  • Min, Tae Hong;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33-136
    • /
    • 2017
  • 공간 정보 추출은 대량의 텍스트 문서에서 자연어로 표현된 공간 관련 개체 및 관계를 추출하는 것으로 질의응답 시스템, 챗봇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에 나타나 있는 공간 개체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앙상블 기법이 적용된 Bidirectional LSTM-CRF 모델을 소개한다. 한국어 공간 정보 말뭉치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 모델보다 매크로 평균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공간 관계 추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