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signal Monitoring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농업 로봇 용 수평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orizontal Attitude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al Robots)

  • 김성득;김청월;권익현;이영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1
    • /
    • 2019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ment of horizontal attitude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al robots. A two-axis gyro sensor and a two-axis accelerometer sensor are used to measure the horizontal attitude angle. The roll angle and pitch angle were measured through the fusion of the gyro sensor signal and the acceleration sensor signal for the horizontal attitude monitoring of the robot. This attitude monitoring system includes GPS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remote monitoring. The roll angle and pitch angle can be measured by the error of less than 1 degree and the linearity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output signal are excellent.

생체 신호를 활용한 영아 돌연사 알람 시스템 (Alarm System for Sudden Infant Death using Bio-Signals)

  • 윤수정;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97-20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영아 돌연사를 방지하기 위해 영아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호자에게 위험신호를 알려주는 영아 돌연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영아 돌연사(SID)는 생후 한 달에서 일년 사이의 건강한 아기가 원인불명으로 사망하는 것을 말한다. 제안한 영아 돌연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부분과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부와 모니터링 및 알람부분으로 구성된다. PPG 센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센싱하고 프로세서부에서는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신호를 동잡음을 제거하여 부모에게 알람 및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영아의 심박동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인 경우 보호자에게 모니터링 및 경고 알람을 보내게 된다. 시스템의 실제 구현을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계열 DB를 이용한 생체신호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 (Bio-Signal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ime Series DB.)

  • 강동윤;주문일;;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1-212
    • /
    • 2021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웨어러블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체신호를 통한 원격의료와 헬스케어 서비스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IoT 장비를 통해 수집한 생체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웹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서비스를 소개한다. 생체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 다양한 건강관리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노약자와 장애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형 저 전력 휴대용 Bio-signal 측정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Power-Efficient Bio-Signal Monitoring System using Bluetooth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 송길섭;정현권;송민;변증남;이희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76-179
    • /
    • 2001
  • A portable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24-hours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is presented. The measurement system has the functions of acquisition of various bio-signals such as ECG, EMG and EEG,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ive and adjustment of parameters such as gain and cut-off frequency. The data is sent to a host computer or other device via a Bluetooth. The design targets of the developing system for volume and power consumption are $20{\times}30{\times}5(mm^3)$ and 8mW.

  • PDF

24시간 건강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Bluethooth를 사용한 소형 저전력 휴대형 Bio-signal 측정 장치를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Bluetooth for 24-hours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 정현권;송길섭;나승유;이희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81-8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potable bio-signal measurement system using Bluetooth for the 24-hours continuous health state monitoring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measurement system has the functions of acquisition of various bio-signals,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adjustment of parameters such as gain and cut-off frequency. This measurement system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pecifications of the recommendation of AAMI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The design targets of the developing system about volume and power consumption are 20x30x5mm$^3$ and 8mW.

  • PDF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다중접속 모니터링 시스템 (Multi-access Monitoring System for Biological Signal Collection)

  • Kim, Tae-Woong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45-148
    • /
    • 2020
  • Wearable computing is growing rapidly as research on body are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is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smart clothing measuring unrestrained and insensitive bio signals, a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smart clothing is mainly based on 1: 1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access monitoring system that can measure bio-signals by multiple users wearing smart clothing.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wireless access device, multiple access control server and monitoring system. It also provides a service that allows multiple users to monitor and measure bio signals at the same time.

착용형 단말에서 다수 생체신호의 동시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모듈 (The Plug-in Module for Simultaneous Monitoring of Multi Bio-signal in Wearable Devices)

  • 최문식;최동진;강순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5-200
    • /
    • 2016
  •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발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1]. 하지만 한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여러 가지 생체신호 센서를 내장하게 되면 디바이스 자체 크기와 같은 제한적인 자원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새로운 생체신호 센서를 추가 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가속도 센서, ECG 센서, PPG 센서를 Cradle형태의 모듈에서 동작시킨 후 사용한 센서에서 측정되는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플러그인(Plug-in) 모듈인 Bio-Cradle을 제안한다. Bio-Cradle은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플러그인하면, 디바이스의 종류에 무관하게 동기화 된 다수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Bio-Cradle을 사용함으로써, 다수 생체신호의 동시 측정이 가능해지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생체신호 센서를 내장 할 필요가 없어진다.

원격 진료를 위한 실시간 생체 신호 취득, 전송 및 압축, 저장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Bio-signal Obtaining, Transmitting, Compressing and Storing System for Telemedicine)

  • 정인교;김영준;박인수;이인성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4호
    • /
    • pp.42-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한 생체 신호 취득 및 전송 시스템의 실시간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ZigBee와 SIP/RTP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생체 신호 전송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은 ZigBee기반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ECG 및 기타 생체 신호를 수집한다. 이 때 연속된 ECG 전송에 의하여 채널이 과다하게 점유되어 ECG 이외의 생체 신호를 전송할 때 패킷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RTP 세션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과 ECG 및 기타 생체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과중한 전송 스레드 부하와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CG 전송 모듈의 채널 점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luetooth를 보조 전송 수단으로 사용하고 복수의 RTP 세션과 전송 스레드를 사용하여 전송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산 웨이블릿 리프팅과 다단계 벡터 양자화 기반의 압축 방법을 적용하여 전송 및 저장되는 ECG를 압축하여 관리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ECG의 압축은 데이터의 전송량을 감소시켜 시스템의 실시간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시스템에 대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실시간 전송 모듈의 프로세스 점유율을 약 2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실제 측정한 ECG를 압축한 결과 25.6:1의 압축률에서 약 3.25%의 PRD를 가지는 효율적인 ECG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u-Health System을 위한 생체신호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of Bio-Signal for u-Health System)

  • 한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15
    • /
    • 2011
  • u-healthcare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대량의 생체신호를 신속히 처리 분석하여 의료진에게 전달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환자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존하는 u-healthcare 시스템들은 단지 환자의 건강 상태만을 모니터링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 기반한 u-health 모니터링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이 시스템은 수집된 생체 신호를 신속히 분석하여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검자의 이상 데이터 수집 시에만 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니터링부와 서비스 제공자사이의 무선 데이터 패킷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함으로 유-헬스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고 의료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비접촉식 심장활동 모니터링 기능 의복형 웨어러블 시스템의 모듈 효과 탐색 (Effect of Module Design for a Garment-Type Heart Activity Monitoring Wearable System Based on Non-Contact Type Sensing)

  • 구혜란;이영재;지선옥;이승표;김경남;강승진;이정환;이주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9-378
    • /
    • 2015
  • Various forms of wearable bio-signal monitor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Acquisition of stable bio-signal data for health care purposes needs to be unconscious and continuous without hindrance to the users' daily activities. The garment type is a suitable form of a wearable bio-signal monitoring system; however, motion artifacts caused by body movement degrade the signal quality during the measurement of bio-signals. It is crucial to stabilize the electrode position to reduce motion artifacts generated when in motion. The problems with motion artifacts remain unresolved despite their significant effect on bio-signal monitoring. This research creates a foundation for the design of garment-type wearable systems for everyday use by finding a method to reduce motion artifacts through modular design. Two distinct garment-type wearable systems (tee-shirt with a motion artifact-reducing module (MARM) and tee-shirt without a MARM) were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odular design on the measurement of heart activity in terms of electrode position displacement, signal quality index value, and morphological quality. The tee-shirt with MARM showed superior properties and yielded higher quality signals than the tee-shirt without MARM. In addition, the tee-shirt with MARM showed a better repeatability of the heart activity signals. Therefore, a garment design with MARM is an efficient way to acquire stable bio-signals while in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