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absorbable suture anch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제 2형 SLAP병변에서 생체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 봉함; 수술 술기와 임상 결과 (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 Surgica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 이재칠;김성재;황창호;서동교;고상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9-64
    • /
    • 2007
  • 목적: 이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독으로 발생한 제2형 SLAP 병변을 가진 14예의 환자가 관절경 하 생체흡수성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적 봉합을 시행받았다. UCLA 및 통증에 대한 VAS, ASD가 평가에 이용되었으며, 술 후 추시 최소 2년째 견관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27.1 개월의 추시기간 동안 평균 UCLA 점수는 술 전 14.4에서 최종 추시에는 31.2로 향상되었다. 통증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4.9에서 최종 추시에는 1.0이었다. 불안정성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2.6에서 최종 추시에서는 0.5였다. 평균 ADL은 10.4에서 최종 추시에 25.0이었다. 12예의 환자가 우수, 우량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14예 중 단 10예만이 수상 전 운동 범위로 돌아갔다(P<0.05). 결론: 생체흡수성 knotless suture anchor를 사용하는 관절경적 봉합술은 단독 제2형 SLAP 병변의 치료에 대해 효과적인 수술 술기이다. 전체 만족도는 단지 85.7%였으며, 게다가 1예에서는 심한 강직을, 1예에서는 활액막염으로 인한 장기간의 견관절 통증을 보였다.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using Bioabsorbable Knotless Anchor for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이용재;이동주;임광열;김명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08
    • /
    • 2004
  • 목적: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하여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Bankart복원술을 시행하고 평균 12개월 추시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구성은 남자가 14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세 (16세${\sim}$42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12개월${\sim}$18개월)이었다. 수술시간은 같은 저자에 의해 2002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하여 관절경하 Bankart 복원술을 시행한 20예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탈구의 재발이나 아탈구의 발생은 없었으며 Rowe등에 의한 기능적 평가에서 평균 89.4점이었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평균 87.5였다. 최종 추시시의 견관절 운동 범위는 각각 굴곡이 평균 171도, 외회전이 평균 54도로 측정되었고 전 예에서 결과에 만족하였으나 3예에서 운동시 불안감각이 남아 있었다. 수술시간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한 Bankart 복원술에서 1개의 매듭 당 평균 25.5분이 소요되었지만,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시 1개의 anchor당 소요 시간은 평균 16.5분으로 의미 있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P<0.05).결론: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원인인 Bankart병변의 치료에 있어 knotless anchor 술식은 관절낭의 적절한 긴장을 획득하고 수술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으며 탈구나 아탈구의 재발없이 견관절 불안정성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발생한 골용해 (Osteolysis-Related Bioabsorbable Suture Anchor Fixation in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Avulsion Fract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홍성확;박준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5-549
    • /
    • 2020
  •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는 보조기나 캐스트 등의 보존적 치료, 금속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은 생체 적합성, 방사선 투과성,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 등으로 여러 부위에서 금속 고정물을 대체해 사용되고 있으나 골용해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중 발생한 내측 측부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후 심각한 골용해 소견을 경험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봉합 나사와 PushLock Anchor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ith Suture Anchor & PushLock Anchor in Lateral Ankle Instability)

  • 신성일;김갑래;조주성;이효범;권재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1-24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perform a comparison of the outcomes of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using only a suture anchor compared with using a suture anchor with a pushlock anchor.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that underwent a modified Brostrom procedure using a bioabsorbable suture anchor & a pushlock anchor,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A total of 8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function of the patient's ankles were scor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visual analogue scale (VAS) both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means between the group A and group B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better in the group B, and there were more complications in the group A. Conclusion: The technique presented here uses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ith pushlock anchors to preven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ubcutaneous knot irritation.

Long-term Follow-up of Extensive Peri-anchor (Poly-L/D-lactic Acid) Cyst Form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 Case Report

  • Kim, Jong-Ho;Kim, Jong-Ick;Lee, Hyo-Jin;Kim, Dong-Jin;Sung, Gwang Young;Kwak, Dong-Ho;Kim, Yang-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2호
    • /
    • pp.100-105
    • /
    • 2019
  • Suture anchors are commonly used in shoulder surgeries, especially for rotator cuff tears. Peri-anchor cyst formation, however, is sometimes detected on follow-up radiologic image after surger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iscuss the case of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regression of extensive peri-anchor cyst on postoperative 4-year follow-up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ad good clinical outcome despite peri-anchor cyst form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Cranioplasty and temporal hollowing correction with a three-dimensional printed bioresorbable mesh and double vertical suture anchor muscle sling: a case report

  • Choi, Jae Hyeok;Roh, Tai Suk;Lee, Won Jai;Baek, Wooyeol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8-182
    • /
    • 2022
  • Postoperative temporal hollowing is a common complication of craniotomy. Damage and repositioning of the temporalis muscle can lead to a depression in the temporal side of the skull with inferior bulging, worsening aesthetic outcomes. We report a case of cranioplasty with three-dimensional (3D) printed mesh involving an additional correction using a temporalis muscle sling to help address this problem. A 3D-printed bioabsorbable mesh was prepared based on preoperative facial computed tomography, and was fixed to the hollowed area for tissue augmentation. The temporalis muscle was elevated and fanned ou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sling was attached to a screw that was fixed to the mesh. For reinforcement, an additional sling was attached to another screw fixed to the mesh 2-3 cm vertically above the first screw. Aesthetic results were confirme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later during outpatient follow-up. Both depression and lateral bulging were resolved, and there was no delayed drooping of the temporalis muscle on 6-month follow-up.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appearance. This is a simple yet effective technique with a low risk of complications, and should be considered for postoperative temporal hollowing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severe lateral bul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