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m%27s taxonom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진;류춘렬;최진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35
    • /
    • 2017
  •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by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하소현;곽대오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591-612
    • /
    • 2008
  • 본 연구에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시된 수업목표는 13개 주제에 총 217개였고 영역별로는 에너지 27개, 물질 68개, 생명 52개, 지구 70개였다.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으며 '적용하다', '창안하다', '분석하다'와 '평가하다' 순이었고 '기억하다'는 매우 적었다. 수업목표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지식 차원에서는 에너지, 물질, 지구 분야의 경우 개념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명 분야는 절차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개념적 지식, 사실적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네 영역 모두 '이해하다'에 해당하는 수업목표가 가장 많았는데 그 비율은 지구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물질, 에너지, 생명 순으로 나타났다. '기억하다' 범주에 해당하는 수업목표는 네 영역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K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는 복잡한 지적 조작을 요구하는 상위 수준의 사고 기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s Status in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Item's Type, Subject Unit, and Evaluation Object)

  • 노은실;김용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98-213
    • /
    • 2018
  •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교사 27명을 면담한 결과, 서술형 문항의 개발 능력 부족과 채점에서의 어려움이 올바른 서술형 평가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수를 통해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 허약노인 방문간호 교육 요구도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the frail elderly)

  • 안준희;양영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8-7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frail, elderly peopl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home visiting nurse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14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home visiting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10, 2018. Results: Bloom's taxonomy of learning objectives, namely,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used as a framework for data analysis. The defined educational needs for each domain were as follows: "understanding frail, elderly people" for the cognitive domain; "intervention for mental health" and "build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the affective domain; and "nursing skills", "health education for healthy lifestyles", "referral to the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protection for visiting nurses" for the psychomotor domai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frail, elderly people can be developed and used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to strengthen the capacity for home visiting care.

기본간호학 학습목표 및 문제집 문항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 김경희;강규숙;김금순;김원옥;변영순;손영희;양선희;조현숙;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2002
  • Purpose: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for Fundamentals in Nursing which were established between 1999 and 2000 and to develop these items toward a nationwide faculty workshop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Korean nurses Results: 1.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1999 mainly consisted of two domains, comprehension (56 1%) and knowledge (27.7%). The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2000, mainly consisted of comprehension (45.2%) and application (25.4%). 2. According to McGuire's taxonomy,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1999 consisted of recall (66.7%). interpretation (28.0%) and problem solving (4.9%).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consisted of recall (65.1%), interpretation (22.0%) and problem solving (12.9%). 3. The propor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knowledge and comprehens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 decreased from 27.7% to 13.5%, and from 56.1% to 45.2% respectively over that of 1999. But the domain of application Increased from 5.3% to 25.4% over that of 1999. 4. With regard to McGuire's taxonomy, the proportion for the recall and interpretat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66 7% to 65.1%, and from 28.0% to 22.0% respectively. But the proportion for the problem solving domain increased from 4.9% to 12.9% over that of 1999. For type of test items, the proportion of A type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47.2% to 37 6%, and K type increased from 52.1% to 60.8% over that of 1999. Conclusi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compared to those established in 1999. For better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essential content and standardization of job analysis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nurses in Korea.

  • PDF